단말작업

비정상적으로 포설된 케이블 상 바꾸기.역행홀홀짝짝항3문 순행 반대.천안삼성저압단말작업

손으로 쓰는 성경 2025. 4. 9. 19:37
반응형

•삼성천안캠퍼스에서 전기 저압 단말 작업하는 일상을 기록하여 보는 천안삼성저압단말작업이다.
•역시 전기실에서 입선작업 중이다.
•케이블 포설이 케이블번호와 케이블의 상이 비정상적으로 포설되어져서 케이블의 상 2개를 바꾸어야 하는 경우에 대해 알아 본다.
●역시 역행트레이와 순행트레이로 나누어서 알아 본다.
●먼저 역행트레이일 경우이다.

역행트레이일 때

●역행트레이의 경우에는 위에처럼 포설되어져 오면 정상이다.

●그렇지않고 반대로 비정상적으로 포설하는 경우도 많다.
•아래처럼 포설되는 경우이다.

2번 3번이바뀌었다.

●정상적인 경우와 비교해 보면 L2와 L3가 바뀌어져 있다.
●위의 그림처럼 케이블의 모양이 바뀌어서 포설된 경우에는 아래처럼 상을 바꾸어 주어야 한다.

●라운드 지는 구간이나 잘 안보이는 구간에서 상을 바꾸어 준다.
•삼각이 완전 무너지기 때문이다.
•L3(회색)은 언제나 높은 번호쪽(판넬문쪽)에 위치한다.
•홀수번호는 L1번(갈색)이 위에.
•짝수번호는 L2번(흑색)이 위에 오도록

홀홀짝짝항3문(외우기)
•역행트레이에서 단자대 홀수번호(케이블번호가 홀수/1.3.5.7번)일 때는 L1(갈색)이 위로 가게 하고
•단자대 짝수번호(케이블번호가 짝수/2.4.6번)일 때는 L2(흑색)이 위로 가게 한다.
•L3(회색)은 항상 판넬 문쪽(높은 번호쪽)이다.

●다음은 순행트레이일 경우를 보자.

순행트레이/ 정상적인 경우

●순행트레이 경우 위의 그림처럼 포설되어져 있다면 정상이다.

●그러나 아래처럼 홀수와 짝수가 바뀌는 경우, 즉 비정상적으로 포설된 경우도 있다.

순행트레이/비정상적인 경우

●위에처럼 홀수와 짝수의 케이블이 서로 바뀌어서 비정상적으로 포설된 경우에는  아래처럼 상을 바꾸어 준다.
•L2번과 L3번이바뀌었음을 알 수 있다. 아래처럼 바꾸어야 한다.

●라운드 지는 구간이나 잘 안 보이는 구간에서 상을 바꾸어 준다.
•L3(회색)은 역시 동일하게 높은 번호쪽(판넬문쪽)에 위치한다.
•홀수번호는 L2번(흑색)이 위에.
•짝수번호는 L1번(갈색)이 위에 오도록

●홀짝짝홀항3문(외우기)-->반대.
•순행트레이에서 단자대 홀수번호(케이블번호가 홀수/1.3.5.7번)일 때는 L2(흑색)이 위로 가고.
•단자대 짝수번호(케이블번호가 수/2.4.6번)일 때는 L1(갈색)이 위로 간다.
•역시 여기서도 L3(회색)은 항상 판넬 문쪽(높은 번호쪽)이다.

●정리
•이 경우는 모두 다 케이블 2개를 서로 바꾸어 주어야 한다.
•상이 완전 무너진다.
역행:홀홀짝짝항3문
•순행:반대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