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단말작업

전기동력 케이블 곡률반경은 케이블 굵기(직경)의 6~8배 이상

반응형

●단말팀에서 케이블 판넬(분전반외함)에 입선 시에 케이블의 곡률반경을  생각하게 된다.
●흔히 아르(라운드)가 어떻다라고 한다.

●아르,R값, 라운드 또는 케이블 곡률반경, 케이블곡률반지름  등으로 불리고 있다.
*현장에서 가장 흔히 쓰는 말은 아르 또는 R이다.
*그렇지만 가장 쉽게 알아 들을 수 있는 개념은 그래도 곡률반경인듯 하다.
●저압 단말 필기 시험에도 나오기도 하는 내용이다.
●곡률이란 휘어짐의 정도.bending의 정도를 말한다.

●대한민국이 정한 법에 의하면 동력케이블의 곡률반경은 케이블 굵기( 즉 , 케이블 외경,케이블 지름)의 6배~8배이상이라고 말하고 있다.

●케이블을 90도로 꺽을 때에 적어도 케이블 굵기의 6~8배 이상의 곡률이 나와야 전기적 흐름에 안정적이다라는 것이다.

●모든 전기작업에서 고려하는 것은 3가지이다.
****
1.가장 중요한 첫째 항목이 전기적 안전이다.
2.동작
3.그리고 마지막으로 미관 즉, 보기에 좋을 것이다.
***
●우리 현장의 반장님들도 전기적으로 안전하게 제대로 동작되겠는지에 집중하고 있고 이것이 품질이 되어진다.

●그러면 현장에서 흔히 사용하는 300SQmm 케이블의 곡률반경과 케이블타이 지점을 확인해 보자.

300SQ 곡률반경

●일반적으로 90도로 벤딩하여 곡률반경을 잡게 된다.
*300SQ의 지름(D)은 30이다.
*곡률반경= 6D=6×30=180

그러므로 180+15=195(원 중심에서 케이블센터까지)

●케이블 트레이  렁의 간격이 200이므로
트레이 렁 한 칸 부분에 케이블타이를  치면 된다는 것이다.

* 이것은 역시 이론적인 수치라는 생각이 많이든다.
*실제 현장에서 이것보다 더 큰 아르(라운드)가 이루어진다.
*케이블 지름의6배 이상이므로  좀 더 아르(라운드)가 생성되어져도 문제는 없다.
*또한 포설 시에는 아르를 좀 더 크게 잡아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손의 힘으로 이 정도의 아르(라운)드를 잡기가 쉽지 않을 것이다.

●이론적으로 한다면
*먼저 판넬에서 나오는 직선 구간과 수직으로 포설된 케이블이 만나는 지점을  확정한다.

*케이블이 트레이를 타고 직선으로 쭉 온다.

*확정한 지점에서  포설된 케이블의 200정도 지점에 케이블타이를 치고

*90도로 벤딩한다.

*수직으로 벤딩한 후에 또 다시 200지점에 케이블타이를 친다.

*200지점 부터는 직선을 유지하며 판넬로 입선한다.

●곡률반경을 좀 크게 잡더라도 케이블타이 잡는 부분은 가능하면 비슷한 부분에 양쪽으로 잡아주면 좋다.

*사실 이 부분도 쉽지 않다.

*트레이의 렁 간격과 케이블의 위치가 모두 제각각이기 때문이다.  

●참고로
*195+195=390

*원둘레 =지름×3.14
              =(360+15+15)×3.14
              =1225
*원둘레/4=306

*360-306=54

*300SQ케이블을 90도 한 번 벤딩하면 그 길이는 54정도 길어진다.

●참고로
*파이프 배관의 곡률반경 구하는 방법은 조금 다르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