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단말작업

(168)
동그랗게 말아서 트레이에 올려둔 접지케이블 다시 잘 펴기 *트레이 위에 접지케이블을 쭉 포설한다. *트레이가 다 완성되지 않았다면 트레이 끝에 접지케이블을 동그랗게 원형으로 말아서 올려둔다.*아래에서 말아서 케이블타이로 1,2개 치고*말비계에 올라가서 케이블을 받아서 트레이에 올려두면 된다.●케이블을 원형으로 말아서 정리할 때의 방향과 나중애 다시 펼 때의 방향은 어떠하면 좋을까?*위에처럼 원형으로 케이블을 정리할 때 방향을 잘 정리하여 올린다.*트레이 위에 오려둔 케이블을 다시 펼 때는 트레이 옆면(레일)을 타고 원을 굴리면서 펼치면 된다.*원형의 케이블이 꼬이지 않게 잘 풀리게 하려면 굴리는 방법이 가장 좋다. 모두 다 아는 사실일테지만.....●만약에 올려둔 케이블의 방향이 반대라면?*어쩔 수 없이 케이블을 트레이 반대편 옆면을 타고가면서 굴려야 한..
접지피터치 수평구간은 from,to가 높은 열쪽으로... good. *요즘은 모든 공정이 느리게 간다.*트레이도 느릿 느릿*트레이가 어느 정도 진행되면 우린 95SQ접지케이블을 포설한다.*사실 접지케이블 포설은 어떤 팀이 맡아서 해도 무방하다.이것을 전문포설팀이 하기도 한다.*트레이팀도 하고... 우리처럼 단말팀도 한다.*접자케이블 포설이 다 되었다.●이제는 수평 구간에 접지피터치를 10M 간격마다 붙이는 작업이다.●별 것도 아니지만 여기서 서로 의견 차이가 생기기도 한다.*문제는 피터치 방향이다.*피터치의 from.to가 어느쪽을 향하게 붙이는가?*수평구간에는 좌에서 우로, 시인성이 좋은 곳에 붙이는 것으로 한다.*이 말이 좀 애매하다.* 좌에서 우로, 읽기 편하게 글자가 뒤집히지 않게.... 이러한 의미..... 그런데 사람이 보는 방향에 따라 좌에서 우로가 달..
녹빔에 길이400.700편조선으로 접지 시공하다 *녹색 H빔에 길이 400과 700 편조선으로 정전기접지를 시공하고 있다.*녹색 빔을 길게 쭉 연결하면 좋지만... 그렇게하기엔 너무 무겁고 길다. 그래서 잘라서 사용한다..*2990정도의 길이의 것을 길게 연결하여 사용한다.*2990과 2990사이에는 400편조선으로 접지를 하고 있다.*모든 빔에 이렇게 접지를 시공하여야하니 양이 꽤나 많다.●빔에는 타공을 하고난 후에 마스킹테이프를 바르고 그 위에 페인트로 도색되어져 있다.*접지 시공 시에 이 마스킹테이프를 떼어낸다. 가위를 벌리고 납짝한 면으로 긁고 손으로 벗겨낸다.*맞은 편에 것은 떼어낸 곳에서 구멍으로 찔러 넣으면 테이프가 밀려나면서 떼어진다. *산부육각볼트를 사용한다.※현장에 흔한 샹크볼트를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샹크볼트는 케이블트레이에 전..
악세스플로어의 규격과 정전기 접지(빔접지) 시공 *빔과 빔 사이 간격 600인데 700크기로.*빔과 빔을 일직선으로 연결하는 사이가 300간격인데 400크기로 *이미 작업을 많이 해 두었다.*정전기를 잡기 위한 접지이지만 빔에 시공을 하는 관계로 빔접지라고도 한다.*이 모든 것을 95SQ접지로 모아서 정전기접지함으로 보낸다.*정전기접지함에서는 기둥을 타고 매설되어서 올라온 접지도 도착해 있다.*95SQ접지케이블로 모아온 정전기접지를 정전기 접지함에서 매설되어온 매쉬접지와 단말하여 연결한다.●지금은 95SQ접지 케이블을 시공중이다.*바닥에 악세스플로어로 시공되어져 있다.●그럼, 이 악세스플로어의 규격은?*600×600 정사각형이다.●도면에서의 95SQ접지케이블 단말위치는?*기준으로 할 것이 기둥과 악세스플로어의 크기이다.*낮은 열 기둥에서 낮은 쪽으로..
케이블트레이본딩접지 말단은 위치에 조심하자 *케이블트레이가 설치되었는데 마지막엔드카바(엔드플레이트)를 시공하지 않았다.*우리팀이 미리 본딩접지 말단을 단말하여 준비해 두었다.*우리의 계획은 엔드카바를 시공하면서 생크너트를 체결할 때 같이 시공한다는 것이다.*계획은 좋은 듯..... 트레이팀에는 부탁을 하지 않았나보다.*아침부터 우리 단말팀이 직접 투입되어 작업할 계획이다.●그런데 문제가 생겼다.*트레이엔디카바의 샹크너트의 위치를 제대로 고려하지 않았다.*미리 단말해 둔 것이 짧다.*위에처럼 상부의 앞쪽, 위에처럼 빨간색 부위를 맞추어서 단말을 미리 한 것이다*실제로는 상부 뒷쪽에 샹크너트로 본딩접지를 체결한다.●수정이다.*자르고 재단말이다.●본딩접지말단부의 위치를 잘 확인하고 말단을 하자
정전기접지작업 자재의 크기 *정전기작업이다.*다른 작업처럼 먼저 도면을 보자. 모든 작업자에게 열람 가능하도록 한 것이 도면이다. 그래서 뭔가가 의심스럽거나 궁금한 것이 있으면 이 도면에게 물어보면 된다.*정전기 접지의 자재의 크기는 어느정도여야 할까?*도면에서 답을 찾아본다.●아래는 정전기접지 도면에 나오는 내용이다.*모든 AF 그린빔 양 말단에는 정전기접지용 타공 및 마스킹테잎 부착 필요.-지금 현장에 시공된 그린빔(녹색빔)에는 정전기접지 시공용으로 타공이 되어져 있다. 또한 그 곳을 마스킹테잎 처리하여 두었다. 우린 이 마스킹테잎을 제거하고 정전기접지를 시공하고 있다.*시공간격 300mm 편조선 22SQ,*간격 600mm 시공 F-GV 35SQ적용.**Ground bonding jumper copper wire L:400 2..
트레이 본딩접지 말단도 트레이조인트 위에 샹크너트에 체결한다. *케이블 트레이 본딩접지 말단은 어떻게 되나?*트레이조인트의 상단에 체결하는가? 또는 하단에 체결을 하는가?*이 부분에 대한 규정은 없다.*이럴 때는 그냥 물어보고 하는 것이 최고다.*지금 여기 현장에서는 트레이 조인트의 상부 샹크너트 부위에 체결을 하고 있다.*이 전 현장에서는 트레이조인트의 하단에 체결했다. ●그럼 왜 이 현장에서는 말단을 조인트 상부에 체결을 하는가?*답은 언제나 단순하다.*본딩접지는 조인트 상단 샹크너트에 체결하기로 통일을 했다는 것이다.*특별한 규정이 없으니 팀에서 통일시킨 것이다.●말단은 체결할 부위로부터 앞에 2번째 트레이렁에서 아래로 빼어내서*밖으로 그리고 위로 그리고 옆으로 접어서 모양을 잡는다.*말단은 트레이 위에 포설된 95SQ모선접지를 그대로 사용한다.*95SQ라서 ..
트레이본딩접지 작업 시에 전산볼트와 행거가 간섭이 될 때에 *잠깐 중지되었던 트레이 본딩접지 작업을 재개했다.*95SQ 모선접지에 35SQ접지케이블을 연접하고 *35를 트레이 아래로 그리고 밖으로 빼어내서 *35터미널을 찍고 *트레이 조인트 상부 샹크너트에 체결한다.●35케이블을 트레이면에 밀착시키기*35케이블이 수평이 나오도록 하는 것이 좋다.*대부분의 경우는 큰 간섭없이 작업을 하게 된다.●금일처럼 35SQ터미널을 물리는 곳에 전산볼트와 행거가 있어 작업에 간섭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대부분의 작업자들은 이 정도의 간섭은 그냥 쉽게 작업을 한다. *그러기에 큰 문제가 되는 것은 아니다.*그리고 작업자마다의 각자의 주장이 있고 그렇게들 다 잘 한다. 또한 그렇게 작업하는 것도 맞다.●위에처럼 35터미널을 물리는 곳 주위에 전산볼트와 행거로 인해 작업에 간섭..
실리콘 구서마감작업 시에 퐁퐁물(비눗물)이 없어서 물파스로 하다. *전기실에서 단말작업이다.*케이블을 판넬 입구까지 포설해 두었다.*케이블을 입선부터해야 한다.*케이블 정리를 한다. 위에서 아래로 내려가서 옆으로 꺽어서 단말하는 곳이다.*3번 회색이 바깥쪽에 위치하여 1번,2번과 간섭이 안 되도록 한다.●갈짝갈(흑)삼으로 한다.*수평구간에서 짝수(2,4,6)번은 삼각포설 삼번 위치에 오게하고 회색은 삼각포설 위에*밑으로 떨어지는 구간에서 반시계방향으로 뒤틀어서 회색이 바깥쪽으로 위치하게 한다.●홀수 번은?*회색은 동일하게 *수평구간에서 흑색이 삼번 위치에*밑으로 떨어지는 구간에서는 동일하게 반시계방향으로 뒤튼다.●케이블 사이에 미리 실리콘을 조금 쏘고●피터치와 케이블타이를 병행해서 작업을 한다.*케이블을 딱고●구서마감이다.*실리콘패드를 살짝 댄다.*실리콘을 쏜다*퐁퐁..
매쉬접지함이 너무 적어서 케이블 전체를 수용하기 어렵다. *매쉬접지케이블이 기둥에서 빠져나와 있고 동일한 위치에 매쉬 접지함을 설치되었고, 그 박스에서 배관을 하여 정전기 접지함까지 연결되었다.*배관에 95SQ접지케이블 2개를 입선 완료했다.* 매쉬접지함에서 벽에서 나온 접지 케이블 2개와 입선한 케이블 2개를 단말한다.* 롱슬리브나 C형슬리브를 사용하여 단말한다.●매쉬접지함이 케이블을 수용하기엔 크기가 작다.*일단은 C형슬리브로 단말하기로 한다.●단말 전에 먼저 고려해야 할 것이 있다.*어떻게 케이블을 배열해야 단말 후 케이블을 박스 안에 집어 넣을 수 있을까?이다.*고민 후에 어렌지(배열)를 잡고 단말을 실시한다.●접지함 커버를 덮어야 한다.*케이블에 비해 접지함이 너무 작아서 제대로 덮개를 덮을 수가 없다.●그냥 덮개를 누르고 밀어서 억지로 볼트를 채..
요비선(연락선)에 pp로프 충분히 그리고 케이블.배관에 케이블 입선 작업 *기둥에 매시접지가 있고 그 곳을 매쉬 접지함을 만들었고*거기서 부터 배관을 하여 다음 기둥의 정전기접지함까지 연결되어져 있다.*매쉬접지함에서 정전기접지함까지 95SQ접지 2가닥을 한꺼번에 같이 입선을 하려고 한다.●먼저 요비선(연락선)을 넣고*요비선에 pp로프를 묶고*pp로프에 케이블 2개를 한꺼번에 묶는다.●pp로프가 짧다. 배관 1/4정도이다.*그래서 요비선을 당기면 pp로프가 배관을 빠져나오기도 전에 2개의 케이블이 배관을 들어간다.●괜찮을까? 괜찮지 않다. 중간에 자꾸 터진다.●다시 pp로프를 길게 연결하여 *요비선 다 나온 후에*pp로프가 배관으로 진입하고 *pp로프가 다 빠져나온 후에*다시 2개의 케이블이 배관으로 진입하고*우리의 목표인 2개의 케이블이 입선이 완료된다.●이 번에는 무리없..
실리콘과 라인테이프 *설치한 분전반이 기울었다. 수평과 수직을 제대로 잡지 못한 것이다. 다시 재작업을 진행하여야 한다.*밑바닥에 사각철편을 대어가며 수평과 수직을 잡아야 하므로 먼저 바닥에 시공된 실리콘을 제거해야 한다.*칼로 실리콘을 제거하고 다시 사각철편을 대고 맞추었다.*역시 쉬운 작업은 아니다.●자 이제 실리콘 작업이다.*마스킹 테이프가 없어서 라인테이프로 대신하여 직선을 잡았다.*마스킹테이프 대신에 라인테이프 괜찮은가?*괜찮다. 임시로 절연테이프로도 많이 사용하니까?*실리콘을 쏘았다.*실리콘헤라로 정리를 했다●라인테이프를 제거해야 한다.*그런데 ....*조금 있다가 실리콘이 마른 후에 제거하자고 한다. 가능할까?*좀 더 마른 후라니.... 일단 좀 더 기다려 본다.* 시간이 살짝 흘렀다.*좀 더 있다가 마른 후에..
단말작업 후 피터치부착 50mm, 대체 어디서부터 일까? *단말작업 후에는 피터치를 붙이게 된다. *단말시험 필기를 준비하며 생긴 의문이다.*아래의 문제이다.*위에서보는 바와 같이 절연튜브 끝에서 50mm 이격 부착이라고 있다. 그렇다. 시험 가이드라인에도 동일하게 안내를 하고 있다.*현장에서는 터미널의 끝단부에서 50mm로 하고 있다.*쇠자로 50을 마킹하고 거기서부터 피터치를 부착하는 것이다.*어느 것이 맞는 것일까?●분명한 사실은 현재 현장에서 모두 다 적용하고 있는 것은 단말한 터미널의 끝단부에서 50mm이격하여 피터치를 붙이는 것으로 하고 있다.
95SQ롱슬리브 접지케이블 압착하기 *95SQ 접지케이블을 포설했다.*95SQ롱슬리브를 찍고 *케이블타이로 케이블을 정리한다.-수평구간에는 2000이내로.-버티칼 구간은 ×자로 3점 지지.●금일은 95SQ롱슬리브를 압착하여 보자.*우리 품질에서 말하는대로 해 본다.*먼저 케이블 피복 제거 위치를 확인한다.*2개의 케이블을 일자로 놓는다.*트레이의 렁과 렁 사이의 중간을 마킹하고 절단한다.*각각의 케이블의 끝단에서 38되는 지점에 마킹하고 피복을 제거한다.*95롱슬리브를 각각 케이블에 끼운다*위에처럼 케이블을 일자로 놓고 렁과 렁에 케이블타이로 잡아준다.*압착을 한다. *위에처럼 중간부터 케이블쪽으로 들어가며 찍어주어서 롱슬리브가 케이블쪽으로 늘어나게 한다.*5번을 압착한다.●테이핑 작업*위에처럼 케이블의 10mm부터 반대쪽 10mm까지 ..
95 2홀 엠보싱 간격은 3+13+3+13+5=37 *단말실기시험의 중 하나가 95SQ 2H×3C이다.*아래에서 올라와서 옆으로 어렌지(정리,배열)를 잡고서 L1,L2,L3를 단말하는 것이다.●95SQ 2H(투홀)의 엠보싱 간격을 확인하여 본다.*이 터미널의 길이는 37이다. *모든 터미널에 엠보싱 간격을 계산할 때 먼저 고려해야 할 것이 있다. 압착 시 터미널의 날개가 흠집이 나지 않도록 공간을 확보해 주어야 한다.*최소한 5mm이상이어야 한다.*95 2홀 엠보싱 간격. 3+13+3+13+5=37*마지막이 5이므로 터미널 날개에 흠집이 생기지 않는 조건에 부합한다.●실제로 터미널에 그리자.*36에 맞추고 36부터 시작한다. (37부터 시작해도 괜찮다)363320174*위의 숫자에 마킹하고 케이블타이로 맘추어서 금을 긋는다.*고마를 사용하여 세로 선..
분전반 외함 설치 작업의 오류 *분전반외함 작업에 대한 오류를 기록하여 다음 작업 시에 도움이 되도록 하고자 한다.●분전반 베이스 설치 시에 삼부 앙카로 고정한다.●분전반 베이스의 수평을 잡을 때에 레이저를 사용한다. -우리는 수평계를 사용했다.●분전반 베이스의 접지볼트 구멍과 분전반외함의 하부 접지볼트 구멍을 맞추어야 한다. 정면 앞에서 보고 오른쪽이다. - 하부의 본딩접지 시공을 위한 것으로 베이스와 분전반외함에 테이프를 붙여서 도색이 되지 않도록 막고 있다. -분전반 외함의 상부에는 편조선접지로 본딩접지를 시공하나-하단부에는 볼트를 채우는 것만으로 대신하고 있다.●수평은 분전반외함의 문을 보고 맞춘다.-2개의 문짝 윗부분이 제대로 맞게 수평을 잡아준다.●분전반외함과 분전반외함 사이를 붙게 수평을 잡아준다.●분전반외함의 앞과..
분전반외함 설치 작업 *전에 분전반 베이스 작업을 해 두었다.*어제는 분전반외함 양중 작업을 했다.*금일은 분전반 베이스 위에 분전반 외함을 설치하는 작업이다.*핸드쟈키로 분전반 외함을 작업 위치까지 운반한다. 이 때 도면을 확인하고 번호에 맞는 것을 운반한다.*분전반 베이스에 보양해 둔 것을 제거한다.*작업 부근의 공간을 많이 확보하는 것.*그리고 핸드쟈키를 어떻게 사용할 지를 잘 판단하는 것이 중점이다.*엄청 무겁기에 최대한 짧은 거리로, 한 번에 끝낼 수 있도록 작업 계획을 잘 짜야한다.*분전반의 앞면, 뒷면을 확인하는 것도 중요하다.*분전반외함의 앞면은 도면에 표시되어져 있다. *위에처럼 문이 열리는 쪽이 앞면이다.●핸드쟈키로 최대한 그리고 적당할 만큼의 분전반베이스 근처에 접근시킨다.*위에처럼 되도록 방향을 잡..
케이블트레이의 단관 최소한 얼마 정도일까?160 *역시 통신트레이 작업 중이다.*타공을 해 나가고 있다. * 못다한 바닥 먹매김 작업도 진행하고 있다.*작업 중 아래와 같은 도면이 나왔다.*1번은 호리엘보이다.*2번은 버티칼엘보이다.*3번은 호리엘보와 버티칼엘보 사이의 트레이단관(맞는 명칭?)이다.●이 단관의 치수가 125이다.●문제는 케이블트레이의 최소단관 길이가 얼마여야 하나이다.●적어도 160 이상은 되어야 한다*조인트 길이가 160이다.*최소한 조인트를 연결할 수 있어야 한다.*125는 최소 길이보다 더 작다.
정전기 접지함 시공하기 *정전기 접지함을 큰 기둥에 시공하는 작업이다. 간단히 기록하여 둔다.*준비해야 할 것을 보자.*앙카작업-삼부 세트앙카-망치-삼부펀칭기-앙카드릴-삼부앙카비트-삼부전산볼트캡-레이저-수평계-진공청소기*회색실리콘세트-라인테이프-종이마스킹테이프*보양-플로베니아●작업을 진행해 보자.*현장에 도착하여 구획부터 잡는다.*도면을 보고 위치를 확인한다.●앙카자리 마킹하기*큰기둥에 바닥에서 1000 센터이다.*일반적으로 높이 1000은 정해져 있다. 정해져 있는 높이를 가져와서 높이 1000을 잡는 것이 일반적이지만.*정전기접지함 1개를 시공하는 것이라서 그냥 바닥에서 1000을 큰 기둥에 한 점을 표시를 한다.*한 점을 기준으로 하여 레이저 또는 수평계를 사용하여 수평선을 하나 긋는다. *큰 기둥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
정전기접지 도면 대충 숙지하기 *정전기접지 작업을 진행 중에 있다.*반도체처럼 작은 전기에도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곳에는 이처럼 정전기접지 작업을 해 준다고 한다.*정전기접지 도면이 나왔다. 도면을 어떻게? 어느 정도로? 보아야 할까?*도면을 보는 것에 대한 작업자들의 반응은 어떠할까?*도면을 마땅히 보아야 할 사람도 있겠고, 도면보다는 다른 일에 집중해 주었으면 하는 기대를 하는 사람도 있다.*도면은 무조건 보아야 하는 것이다. *일을 지시하는 사람은 당연히 필수다.*지시를 받아 일을 하는 사람은? 이런 류의 작업자는 도면을 보고 숙지하고 머리 속에 어느 정도는 그리고 있어야 한다. 이런 류의 작업자는 어떻게 도면을 파악하고 해석하고 있어야 하는지에 대해 나누어 본다.●먼저 도면을 보고 해석하고 파악해야 한다. 2가지에 집중..
sop(표준작업절차서)이란 뭔가? *작업 중에 짬이 생겨서 휴식을 하고 있다. 휴식 중에 이말 저말 여러 말 하다가 SOP에 대해서 나누게 되었다.*sop란 한국말로는 표준작업절차서라는 말이다. 이것은 대부분 알고 있다고 본다.*문제는 sop이 무엇의 약자인가이다.*Standard Operating Procedures이라고 나온다.*예규,내규,절차이행지침서라고도 한다고 한다.*우리 현장에서는 표준작업지침서라고 한다.*사실 우리 단말팀에서는 아직 SOP를 보지 못했다.*또한 품질체크리스트나 시방서 역시 보지 못 하였다.*보통은 SOP와 품질체크리스트를 함께 비치하여 한 번씩 읽어보라고들 하는데...*지금 우리 단말팀은 아무 것도 없다.*SOP에 대해서 제대로 알고 있지 못하다가 이렇게 찾아보아 알게 되었다.
라인체크 시에 ELCB(누전차단기)는 볼트를 풀어 케이블을 분리한다. ● 차단기의 종류-누설전류를 감지할 수 있는 누전차단기(ELB)-단락 및 과전류로부터 기기를 보호하는 배선용 차단기(MCCB)-두 가지 기능이 함께 들어가 있는 ELCB ● 누전차단기 ELB(Earth Leakage Breaker)-선로에 이상전류, 누설전류가 발생되었을 경우 트립이 되고-과전류 시에도 차단기 트립된다-기기 또는 선로에 누설전류가 발생되면 사람으로 하여금 감전피해를 줄 수가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누전차단기가 설치가 된다.-누전, 이상전류, 과전류 등의 위험으로부터 보호범위가 넓은 편이다. ●배선차단기 MCCB(Molded Case Circuit Breaker)-과부하, 단락 사고가 발생되었을 경우 차단기가 트립이 되면서 기기의 파손을 막아준다.-회로 및 기기의 보호 목적 -고..
3C케이블 220볼트 조인(결선) 시에 접지라인을 선택하고 기억하자. *가설 케이블을 콘센트와 플러그를 만들고 플라스틱 조인트박스를 달고 3방조인(결선)하는 작업을 한다*케이블은 6×3C이다.*오징어줄등, CCTV 케이블 가설되어져 있다. *여기에 콘센트와 플러그를 만들어 연결한다.*중간에는 플라스틱 조인트 박스를 3개의 3C 케이블을 넣고 조인한다, 와이커넥터로 고정한다. 테이핑한다.●이러한 작업 시에 접지케이블을 잘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위에처럼 3C케이블 3개를 3방조인(결선)하려고 한다.*3방조인 시에 먼저 접지선을 잘 선택하여야 한다. 헤갈리면 안된다.*접지선 외에 2가닥은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다. ●220볼트 교류라서 서로 바뀌어도 문제가 되지 않는다.*3방 조인(결선)시에 먼저 접지를 3개 모아 조인(결선)한다.*나머지도 되도록이면 색상을 잘 맞추어서 3..
분전반외함베이스(받침대) 작업에 대한 기록 *우리팀이 분전반외함베이스 작업을 하고있다. 이 작업에 대한 것을 간단히 기록해 두고자 한다.*분전반베이스란? 바닥에 분전반외함을 세우기 전에 바닥에 받침대를 먼저 시공하고 그 위에 분전반외함을 올리고 고정한다. 바닥에 먼저 시공하는 이 받침대를 말한다.*벽체에도 고정하는 분전반외함도 있지만 우리가 하는 작업은 그냥 바닥만 고정하는 형태이다.●분전반외함 받침대(베이스)작업에 관한 것이다.*일단 우린 이 일에 대한 전문이 아니다라는 것도 알린다.*필요한 공구는 앙카드릴, 연부앙카셋트4개(4/8 or 1/2세트앙카), 연부앙카펀칭기,망치,임팩및 복스알19,진공청소기,실리콘세트,레이저,먹줄,줄자, 수평계이다.*보호구로는 진동방지장갑, 방진마스크,보안경.*4각철편조각.케이블타이,랩,눈관리.휀스●작업 내용을 간단..
연부앙카볼트 제거하기,앙카슬리브에 집중하자 *판넬베이스 작업을 위해서 베이스의 구멍에 맞추어서 연부앙카(4/8,1/2)를 박았다.*그런데 이 위치가 변경되었다.*베이스를 들어내고 다른 곳에 위치를 잡아서 설치를 하여야 한다. *먼저 판넬베이스를 들어내야한다. 철거작업이다.*임팩으로 앙카너트를 풀고 원형와샤 스프링와샤 앙카너트를 제거한다.* 그 다음에는 베이스를 들어내면 된다. 간단한 작업이다.●문제는 박아놓은 앙카를 어떻게 할 것인가이다. 자르거나 뽑는 거?*자르고나서 그 위에 실리콘작업하는 것, 괜찮은 방법이다 쉽고 일반적인 방법이다.●그런데 금일의 작업은 뽑아서 완전 제거하는 것이다.*망치와 첼라가 필요하다.*요령은 간단하다. -연부앙카의 슬리브를 잡아서 뽑으면 된다.-다른 부분에 집중하면 어려운 작업이 된다.●연부앙카를 제거해 보자.*일..
천안삼성현장에서 저압단말시험준비를 하다 *아래처럼 단말시험 일정을 알려왔다 카톡으로 보내온 것이다.*아래는 천안삼성현장 저압단말필기시험 준비 자료이다.            1·단말 자격 취득자는 식별스티커를 어디에 부착하여야 하는가?  ① 절연복[답:4 ]  ② 안전화8735  ③ 안전대   ④ 안전모 2·BUS간 체결 볼트가 고장력 M12인경우 체결토크는?  ① 600Kgf· cm[답:3 ]  ② 300Kgf· cm8769  ③ 800Kgf· cm   ④ 200Kgf· cm 3·3상 3선식 저압 단말시 TUBE 색상 선정 방법중 접지 색상은?  ① 흑색[답: 4]  ② 갈색8553  ③ 회색   ④ 녹색 4·T.B(MCC) 단자대 체결 볼트가 M10인경우 체결토크는?  ① 100Kgf· cm[답: 3]  ② 600Kgf· cm8947  ③ ..
수평으로 포설된 본딩접지 케이블의 피터치 작업과 방향 *케이블 트레이 위에 모선접지가 포설되었다. *이 모선접지에서 연접하여 판넬 외함접지도 하고 케이블트레이의 본딩접지도 한다. *트레이와 트레이 사이는 본딩접지가 내장된 조인트로 연결한다. 이 조인트를 현장에서는 쉽게 돼지코라고도 한다. 형상을 따라 그렇게 부르는 것이다. *그러므로 모선접지에서 연접해서 본딩접지 하나만 물려주어도 되지 않늘까? *어떤 현장에서는 트레이의 30M마다 본딩접지를 연결하라고 한다. *도면에는 10M에 정도에 하나씩 본딩접지를 연접하게 나왔다. 그러므로 무조건 도면에 있는대로 작업을 하면 된다. ● 포설 케이블 피터치 간격은 케이블 시작단에서 1M,3M,5M,10M.......10M,5M,3M,1M 케이블 끝단. *관통부 양쪽300~500(?:현장마다 조금 다른 듯...) ●그래..
가설분전반 작업 시에 래핑튜브로 케이블을 래핑하기 *16SQ×3C 케이블을 먼저 외피를 제거하고 안에 있는 내용물을 모두 제거하고 16SQ 내피케이블만 남겨둔다. *다른 현장에서는 보통 외피를 제거한 후에 테이프를 감아서 보양한다. *테이핑은 갈, 흑, 회 각각 50%겹쳐서 위에서 아래로, 아래에서 위로, 또 다시 위에서 아래로 내려가며 감아둔다. *이렇게 겹처서 감으면 6회를 감는 것이 된다. ●이 현장에서는 래핑튜브라는 것을 테이핑 대신한다. *래핑튜브란 컴퓨터 케이블등의 지저분하게 흩어져있는 케이블을 한꺼번에 모아 정리하는 용도로 개발되었다. 래핑이란 말은 감싼다는 의미이다. *현재 우리 현장에서는 케이블을 임의적으로 손댄 후에 그 두께 이상으로 보양하는 테이핑작업을 대신하는 용도로 이 래핑튜브를 사용한다. ●래핑튜브로 케이블을 래핑해 보자. *터..
95-95 C형 슬리브 연접작업 *95SQ모선접지가 포설되었다. 모선접지는 메인접지라고도 한다. *크로스 케이블트레이로도 모선접지가 각각 90도로 교차하면서 지나간다. 짧은 95접지케이블을 잘라와서 각각의 모선접지에 추가하여 연접하여준다 ●95 모선접지에 95 접지케이블을 추가하여 연접하여 보자.*c형 슬리브 길이는 40이다. * 모선접지 피복 탈피는 위에서 보는 바와 같이 45~50정도로 탈피하면 된다. *추가접지케이블도 끝단부를 깐다 *그러나 대부분은 슬리브 길이만큼 깐다. *케이블이 분기 전인 부분을 앞, 분기한 부분이 있는 쪽을 뒷쪽이라고 편의상 이렇게 부른다. *슬리브 끼우기 --- *모선접지에 370 가타이를 쌀짝 치고 *추가접지케이블 가타이에 끼운다. *슬리브를 끼운다. 추가접지케이블은 옆에서 살짝 밀어 넣는다. *가타이를..
안에 자상장갑 밖에 내화학장갑 착용하면 가위 사용이 가능한가? *사내에서 구서마감 작업 중에서 생긴 일이다. *가위는 일단 뽀족한 끝단을 연마해서 사용해야 한다. *연마하는 방법은 드릴에 작은 연마석을 끼우고 가위의 뽀족한 끝을 갈아낸다. 몰래한다. *구서마감을 진행해 본다. *방독마스크,보안경,헤드랜턴, 자상방지장갑을 안에, 그리고 밖에 또다시 내화학장갑을 착용하고 작업을 한다. ●작업 도중에 실리콘을 모두 다 사용 완료했다. 갈아야 한다. *새 실리콘 1통을 받아서 입구를 가위로 자르려고 한다. *가능할까? 안에 자상방지장갑, 밖에 내화학장갑인데 가위 사용 가능한가? 당연히 가능하다고 생각했다. * 가위 사용 시에는 자상방지장갑을 착용하는 거.... 나름의 생각으로는 제대로 했다. ●삐~~~ 그런데 No..... *안된다고 한다. 왜? 이유는? *자상방지장갑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