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단말작업

(184)
전기실 판넬 상부에서 입선 후 케이블타이 치고 피터치 붙이는 작업. 천안삼성저압단말작업. •아침마다 분주하다.특히 우리는 더욱 그렇다. 작업을 시작 전에 작업에 필요한 것을 챙긴다. •TBM시간에 금일의 작업과 인원배정이 대충 나온다.•금일작업도 역시 전기실에서 케이블을 입선하는 작업이다.•다음은 알아서 금일 작업에 필요한 것을 챙긴다. 담당할 내용을 누군가가 분배하면 좋겠지만, 대부분은 그렇지 못하다. 왁자찌껄 시장 바닥처럼 분주하게 챙긴다•전기실로 출발, 전기실에서 포설되어진 것을 입선한다.•포설과 입선의 차이는 뭘까?•포설은 포설팀이 케이블을 쭉 펴면서 목적지까지 가는 것이다.•입선은 포설과 비슷하지만 조금 다르다. 단말팀에서 판넬 안에서 단말하기 위해서 거기에 맞추어서 케이블을 판넬 안으로 집어 넣는 것을 말한다. •그래서 단말에 필요한 조건에 맞는 케이블 상태를 만들어 주어야 한다..
실리콘 작업 완료 후 실리콘노즐에 전산캡 끼우고 절연테이핑하자. 천안삼성저압단말작업 중에서 •삼성 천안 캠퍼스 현장에서 저압단말작업을 하는 천안삼성저압단말이다. •금일 작업도 역시 전기실에서 케이블을 입선하는 것부터 시작한다.•먼저 베크판 볼트 5개를 풀어서 관통부가 드러나게 한다.•판넬 안으로 3상 케이블입선을 한다.•그 다음은 케이블을 닦는다(케이블 크린 작업)•클린작업은 대부분 매직폼과 물파스로 진행한다.•계속적으로 판넬 안에서는 단말을 한다.•동시에 판넬 위에서는 구서마감 작업을 한다.•구서작업은 베크판(베크레이트판)을 제작부터 진행을 한다.•베크판 크기는 585×170이다•앞쪽 50, 옆쪽 뒷쪽을 각각 20씩 잘라내서 직사각형의 관통부를 만든다.•관통부는 실리콘패드를 가공하여 막는다.•실리콘패드를 580×140으로 준비하여 가공한다.•실리콘으로 마감을 한다.•3상 케이블 주위, 실리..
판넬 안의 단자대 번호가 바뀌었다.단자대 모양 확인 후에 입선하기 .천안삼성저압단말 •삼성 천안 캠퍼스 현장에서 전기 단말 작업 중인 천안삼성저압단말이다.•전기실에서 포설된 삼각케이블을 판넬 안으로 입선하는 작업을 진행 중이다.•판넬 안 단자대 번호의 배열이 바뀌었다.•보통은 위에서부터 아래로 가면서 1번 2번....7번이 된다.•여기는 0번부터 시작하고 1번 2번 ...6번까지이다.•번호만 바뀌었을 뿐 단말할 단자대의 모양은 그대로다.●판넬 안 단자대의 모양을 보자.•단자대 모양은 홀수, 짝수 번호로 나누어서 제작되어져 있다.•제작된 것을 현장에서 바꾸지는 않고 •현장 상황에 맞게 번호를 바꿀 수는 있다.•단자대 홀수번호는 위에서부터 아래로 내려가며 갈색 아래, 흑색 위,회색 아래이다•단자대 짝수번호는 위에서부터 아래로 내려가며 갈색 위,흑색 아래,회색 위이다.•단자대 모양은 1..
95SQ접지포설작업준비물.천안삼성저압단말작업에서 •천안삼성현장에서 저압단말 작업 중에서 필요한 것을 기록하여 둔다.•금일의 작업은 95SQ접지 포설 작업을 한다.●작업 시작 전 준비물부터 챙기자.무전기케이블말비계휀스컷팅기선통대Y자 쇠파이프보양지 및 보양용 파이프(필요시)제전비닐 370케이블타이pp로프 (케이블고정용)쓰레기봉투가위(개인)보안경(개인)자상방지장갑(개인)핸드자키(필요시)파레트(필요시)•그 외에 생각나는 것은 댓글에 기록하기로 한다.
케이블상(L1,L2,L3)이 정상적으로 포설되도록 하려면 .천안삼성저압단말 작업. ●천안삼성현장에서 전기저압단말작업이다●전기실에서 입선 작업 중에 빈번하게 접하는 비정상적인 케이블상에 대한 개선 점에 대해 알아본다.●포설시에 비정상적인 케이블 상을 바로 잡으려면 먼저 시작이 중요하다.●시작부터 맞은 확률은 거의 50%이다.●실제 현장에서는 거의 90%가 비정상적이다●정상적 또는 비정상적 케이블 상이란?●실제적으로 케이블의 3개 상을삼각으로 묶고, 트레이 위에 태운다. 판넬 근처에 왔을 때 한 세트는 그대로 판넬 안으로 입선하고 또 다른 한 세트는 케이블 상 3개를 한꺼 번에 한 번 돌려서 입선하면 되는 경우라면  '포설이 정상적이다'라고 한다. 이 경우에는 삼각이 그대로 유지된다.●포설된 케이블을 3개의 상 중에 2개만 서로 바꾸어야 경우라면 '비정상적인 포설'이라고 한다. 이 경우에..
비정상적으로 포설된 케이블 상 바꾸기.역행홀홀짝짝항3문 순행 반대.천안삼성저압단말작업 •삼성천안캠퍼스에서 전기 저압 단말 작업하는 일상을 기록하여 보는 천안삼성저압단말작업이다.•역시 전기실에서 입선작업 중이다.•케이블 포설이 케이블번호와 케이블의 상이 비정상적으로 포설되어져서 케이블의 상 2개를 바꾸어야 하는 경우에 대해 알아 본다.●역시 역행트레이와 순행트레이로 나누어서 알아 본다.●먼저 역행트레이일 경우이다.●역행트레이의 경우에는 위에처럼 포설되어져 오면 정상이다.●그렇지않고 반대로 비정상적으로 포설하는 경우도 많다. •아래처럼 포설되는 경우이다.●정상적인 경우와 비교해 보면 L2와 L3가 바뀌어져 있다.●위의 그림처럼 케이블의 모양이 바뀌어서 포설된 경우에는 아래처럼 상을 바꾸어 주어야 한다.●라운드 지는 구간이나 잘 안보이는 구간에서 상을 바꾸어 준다.•삼각이 완전 무너지기 때문이..
전기실 단말작업 준비물.천안삼성 저압 단말 작업 ●천안삼성캠퍼스현장에서 저압 단말 작업 중이다.●전기실 판넬 상부에서 입선 및 구서마감 작업, 하부에서 클린,단말,구서마감작업이다.●준비해서 가져가야 할 준비물들을 기록하여 본다.[판넬 상부 입선작업]헤드용활선경보기(개인)손목형활선경보기(개인)A형 사다리협착방지장갑×2컬레유도원:유도봉 및 유도업무세트보안경(개인)개인생명줄×3개 이상깔깔이바(라쳇바)×2완강기(안전블럭)와 전산볼트추락방지대×1검은색 고무판×3개 이상덧신수평생명줄 PP로프 및 전산볼트추락방지대×2(필요시)승강방지용 합판×2트레이 상승용 합판 ×1(필요시)자재부쉬 또는 타이거 보양지(필요시)보양용 실리콘패드450케이블타이370케이블타이케이블뭉치(고무망치 대용)제전비닐말비계(필요시)[구서마감세트]직소기(문의 후)귀마개진공청소기실리콘패드(위에 참..
전기실 베크판(베크레이트판)가공과 실리콘패드 가공.천안삼성저압단말 작업 중 ●천안삼성캠퍼스에서 저압단말 작업 중이다.●전기실 판넬 위에 케이블을 입선하기 위한 개구부가 있고 그 주위를 베크레이트판(베크판)으로 막아져 있다.* 입선 전에 이 베크판을 풀어야 한다. *베크판을 미리 가공해 둔다.*베크판을 제거한 개구부로 케이블을 입선한다.*판넬 위에서 입선하고 판넬 아래, 즉 판넬 안에서 케이블을 받아준다.*이렇게 입선이 끝나면 *다시 가공한 베크판을 다시 부착한다.*베크판 위에 다시 실리콘패드를 대고 가공하여 구멍을 최소화 한다.*그 다음은 회색실리콘으로 빛이 새지 않을 만큼 구서마감작업을 한다.*아래도 실리콘을 쏘고 구서마감작업을 한다.●베크판(베크레이트판) 가공과 실리콘패드 가공에 대해 보자.●베크판 가공*베크판 크기:585×170*가공: 위에 그림처럼 뒷쪽(볼트3개 ) ..
전기실 케이블 입선 중 케이블 상 바꾸기 .천안삼성저압단말작업. *천안삼성캠퍼스에서 저압단말작업 중이다.* 지난 번에 이어서 전기실 케이블 입선 중 케이블 상 바꾸는 것에 대해 계속 포스팅을 한다.*아래는 이전 글이다.https://myhandbible.tistory.com/m/1003 전기실 케이블 입선.천안삼성저압단말작업*천안삼성저압단말 작업하는 중에서 알게된 것을 기록하여 둔다.*전기실에서 케이블을 입선하는 작업이다.*전기실에서 트레이가 쭉 오다가 수직으로 떨어져 판넬로 들어간다.* 판넬 측면을 타myhandbible.tistory.com*역행트레이와 순행트레이로 구분하여 적고자 한다.●역행트레이의 경우*홀수번호는 문제가 없다.*짝수번호는 위에처럼 한 번 돌려준다.*L3(회색)번은 그대로 둔다*위에 것 L1(갈색)을 낮은 번호쪽으로 내린다.*L2(흑색)을 위로..
전기실 케이블 입선.천안삼성저압단말작업 *천안삼성저압단말 작업하는 중에서 알게된 것을 기록하여 둔다.*전기실에서 케이블을 입선하는 작업이다.*전기실에서 트레이가 쭉 오다가 수직으로 떨어져 판넬로 들어간다.* 판넬 측면을 타고 내려 오다가 오른쪽 옆으로 휘어서 단자대에 단말한다.●트레이와 단말자가 단말하기 위해서 서는 방향에 따라 나누어서 알아 본다.*역행트레이와 순행트레이 *그리고 역행트레이의 홀수번호와 짝수번호*순행트레이의 홀수번호와 짝수번호로 구분하여 기록한다.●단말자가 판넬 안에서 판넬 측면을 보고 선다. ●트레이가 단말자 뒷쪽에서부터 와서 수직으로 떨어져 판넬과 연결되는 경우.(역행 트레이)* 이 경우는 수직버티칼에 짧은 트레이(단관 또는 단강)를 아래, 위를 바꾸어서 연결하고 판넬 위에 고정한다.*이것은 케이블의 방향을 살짝..
포설시 동상다조 유지와 단말팀의 입선, 천안삼성저압단말작업 중에서 ■천안삼성에서 저압 단말 작업 중이다.■아래는 포설팀이 적어둔 중요 포인트이다.■그 중에 동상다조 유지라는 말은 잘 이해가 안되지만 우리 단말작업의 입선 작업에도 많은 영향이 있다. 물론 다른 부분도 다 중요하다.****피터치 부착***수평관통부 양쪽 300이내판넬상부 500수직관통구간 바닥에서 1500이내수평구간1,3,5,10..... 10,5,3,1****케이블타이***하부에서 2시 40분 상부에서 10시 20분수평일 때삼각포설(단심) 2000이내일반포설(다심) 4000이내목부분에 잡기엘보구간은 3점 지지 x자로수직구간은 600에 하나씩**포설시 동상다조유지(아래처럼)*포설팀이 단심케이블 3개를 포설할 때 이와같이 삼각포설로 포설을 한다는 것이다. * 이렇게 와서 판넬 안으로 들어간다.●지금은 ..
분전반덕트 안에도 케이블타이는 2시 40분으로.천안삼성저압단말작업중에서 * 천안삼성저압단말 작업 중이다 .특별히 우리가 준비한 분전반의 덕트에 입선하는 작업이다.역시 예전대로 포설팀이 케이블을 분전반 근처까지 만 포설한 채 바닥에 늘어뜨려 놓았다.*맞는 지는 모르겠지만 내가 보기로는 계속 이렇다. 포설팀이 대충 던져두면 우리 단말팀이 입선하고 단말.구서마감 등의 작업을 한다.*어떤 때는 우리가 포설인지 단말인지 헷갈릴 때도 있다.●케이블이 트레이를 쭉 타고 오다가 분전반 덕트 안으로 떨어지고 또 계속 입선을 진행하여서 분전반 안으로 떨어뜨린다.*이제는 케이블타이로 정리하며 고정을 한다.●분전반 덕트 안에도 여전히 케이블타이를 치고 피터치를 붙인다.*덕트 안에서는 케이블타이 방향은?*덕트는 트레이와 달리 밑에서는 타이를 칠 수가 없다. 밀폐형이다*덕트 덮개를 열고 케이블타..
95SQ 차단기용터미널은 홀이 위로 치우쳐있다. *95SQ 터미널의 종류가 다른 것이 있다. 전에부터 들어온 말이다. 어떻게 다른가?*사실은 별거 아니다.*일반적으로 대부분의 터미널의 홀(볼트를 체결하는 구멍)은 보기 좋게 중앙에 위치한다. 일반적인 생각일 것이다.*차단기용터미널은 차단기에 사용하는 터미널이라는 것이다.*차단기에는 일반용터미널을 사용하면 홀을 맞추어서 체결할 수가 없다. 그래서 홀(구멍)을 살짝 위로 맞추어서 제작을 하는 것이다.*현장에서는 차단기용이라고 적어두고서 구분하여 사용하고 있다.●일반용과 차단기용을 구분하는 방법은 홀의 위치가 센터이냐? 아니면 위쪽으로 치우쳤냐라는 것이다.*알고보면 눈으로도 충분히 구분이 가능하다.*그냥 무심코 주워 담다보면 섞일 가능성도 많다. 조금의 주의가 필요하다.
래핑튜브를5,8,10,12사이즈로 구분하기.쿠팡래핑튜브 *래핑튜브를 구분하여 정리하고자 한다. *분류는 색상별로, 사이즈(크기)별로이다.*먼저 사이즈별로 구분한다. *지금 우리 현장에는 5파이,8파이,10파이,12파이가 있다.*파이는 지름을 표시하는 단위이다. 그래서 줄자를 지름을 확인하니.... 역시 쉽지않다.*일단은 제품봉투에 적힌 사이즈를 보고 그 제품들과 사이즈를 대조해 보며 분류를 했다. 눈으로 딱 보고 바로 분류를 하는 것이다. 지금은 이 방법 밖에는 다른 방법을 찾지 못했다.*현장근로자 분들이 가장 좋아하는 말, '딱 보면 알지'로 가야한다. 어쨌든 눈에 많이 익혀 구분을 해야 한다.*사용할 때, 사용 후에 잘 분류하여 구분하여 두는 것이 좋다. 사실 이것이 어려운 거지만....●이 래핑튜브를 쿠팡에서 찾아보았다. 원래는 너저분하게 흩어져있는 ..
본딩접지 말단은 3번째칸에서 빠져 나오자 *트레이 위로 95SQ접지가 쭉 깔려있다.* 트레이 온장의 길이가 3000이다.*트레이와 트레이를 연결하여 계속 쭉 가고있다.*트레이와 트레이 사이를 조인트를 사용하여 연결을 한다.*조인트로 연결하는 것으로 마무리가 되는 것이 아니다. 트레이와 트레이 사이를 본딩접지로서 연결하여 준다. 요즘 나오는 신형 트레이조인트에는 이 본딩접지가 내장되어 있어서 따로 본딩작업은 하지 않는다.*레이스웨이의 경우에는 지상에서 레벨 2500이하의 것은 여전히 접지를 하고 있다. 레이스웨이에는 트레이와 같은 접지가 내장된 조인트가 아직 시중에 나오지 않았기 때문이다.*트레이 경우에는 95SQ접지를 쭉 깔고 트레이말단 부분에서 이 접지와 트레이조인트를 연겷한다.*30M마다 분기시켜서 트레이조인트에 연결하면 된다고 하나 실제적..
50/50 연접시 슬리브는 120고마로 압착한다. *50SQ케이블이 통신트레이로 포설이 되었다.*통신용 모선접지는 50SQ를 포설하고 있고*일반용은 95SQ로 모선접지를 사용하고 있다.*트레이 본딩접지는 30M마다 분기하여 트레이 조인트에 물리지만 사실상 도면에는 30M보다는 훨씬 짧은 구간마다 시공하라고 한다. 도면에 나와 있는대로 시공을 해야 한다.●작업 시에 가장 먼저 따라야 하는 것은 시키는 사람의 작업 지시이다. 그 다음으로는 도면이다. 가장 마지막으로 참고하여야 하는 것이 시방서나 과거의 경험이나 지식이다. 물론 사실 현장에서 작업을 하다보면 역시 경험의 비중이 많이 차지하는 것이 사실이다.●통신용 본딩접지는 50SQ접지케이블 동일하게, 트레이 조인트로부터 3번째 칸에서 모선접지와 연접하고*2번째 칸 아래로 빠져나와 외부 트레이 조인트 상단..
동그랗게 말아서 트레이에 올려둔 접지케이블 다시 잘 펴기 *트레이 위에 접지케이블을 쭉 포설한다. *트레이가 다 완성되지 않았다면 트레이 끝에 접지케이블을 동그랗게 원형으로 말아서 올려둔다.*아래에서 말아서 케이블타이로 1,2개 치고*말비계에 올라가서 케이블을 받아서 트레이에 올려두면 된다.●케이블을 원형으로 말아서 정리할 때의 방향과 나중애 다시 펼 때의 방향은 어떠하면 좋을까?*위에처럼 원형으로 케이블을 정리할 때 방향을 잘 정리하여 올린다.*트레이 위에 오려둔 케이블을 다시 펼 때는 트레이 옆면(레일)을 타고 원을 굴리면서 펼치면 된다.*원형의 케이블이 꼬이지 않게 잘 풀리게 하려면 굴리는 방법이 가장 좋다. 모두 다 아는 사실일테지만.....●만약에 올려둔 케이블의 방향이 반대라면?*어쩔 수 없이 케이블을 트레이 반대편 옆면을 타고가면서 굴려야 한..
접지피터치 수평구간은 from,to가 높은 열쪽으로... good. *요즘은 모든 공정이 느리게 간다.*트레이도 느릿 느릿*트레이가 어느 정도 진행되면 우린 95SQ접지케이블을 포설한다.*사실 접지케이블 포설은 어떤 팀이 맡아서 해도 무방하다.이것을 전문포설팀이 하기도 한다.*트레이팀도 하고... 우리처럼 단말팀도 한다.*접자케이블 포설이 다 되었다.●이제는 수평 구간에 접지피터치를 10M 간격마다 붙이는 작업이다.●별 것도 아니지만 여기서 서로 의견 차이가 생기기도 한다.*문제는 피터치 방향이다.*피터치의 from.to가 어느쪽을 향하게 붙이는가?*수평구간에는 좌에서 우로, 시인성이 좋은 곳에 붙이는 것으로 한다.*이 말이 좀 애매하다.* 좌에서 우로, 읽기 편하게 글자가 뒤집히지 않게.... 이러한 의미..... 그런데 사람이 보는 방향에 따라 좌에서 우로가 달..
녹빔에 길이400.700편조선으로 접지 시공하다 *녹색 H빔에 길이 400과 700 편조선으로 정전기접지를 시공하고 있다.*녹색 빔을 길게 쭉 연결하면 좋지만... 그렇게하기엔 너무 무겁고 길다. 그래서 잘라서 사용한다..*2990정도의 길이의 것을 길게 연결하여 사용한다.*2990과 2990사이에는 400편조선으로 접지를 하고 있다.*모든 빔에 이렇게 접지를 시공하여야하니 양이 꽤나 많다.●빔에는 타공을 하고난 후에 마스킹테이프를 바르고 그 위에 페인트로 도색되어져 있다.*접지 시공 시에 이 마스킹테이프를 떼어낸다. 가위를 벌리고 납짝한 면으로 긁고 손으로 벗겨낸다.*맞은 편에 것은 떼어낸 곳에서 구멍으로 찔러 넣으면 테이프가 밀려나면서 떼어진다. *산부육각볼트를 사용한다.※현장에 흔한 샹크볼트를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샹크볼트는 케이블트레이에 전..
악세스플로어의 규격과 정전기 접지(빔접지) 시공 *빔과 빔 사이 간격 600인데 700크기로.*빔과 빔을 일직선으로 연결하는 사이가 300간격인데 400크기로 *이미 작업을 많이 해 두었다.*정전기를 잡기 위한 접지이지만 빔에 시공을 하는 관계로 빔접지라고도 한다.*이 모든 것을 95SQ접지로 모아서 정전기접지함으로 보낸다.*정전기접지함에서는 기둥을 타고 매설되어서 올라온 접지도 도착해 있다.*95SQ접지케이블로 모아온 정전기접지를 정전기 접지함에서 매설되어온 매쉬접지와 단말하여 연결한다.●지금은 95SQ접지 케이블을 시공중이다.*바닥에 악세스플로어로 시공되어져 있다.●그럼, 이 악세스플로어의 규격은?*600×600 정사각형이다.●도면에서의 95SQ접지케이블 단말위치는?*기준으로 할 것이 기둥과 악세스플로어의 크기이다.*낮은 열 기둥에서 낮은 쪽으로..
케이블트레이본딩접지 말단은 위치에 조심하자 *케이블트레이가 설치되었는데 마지막엔드카바(엔드플레이트)를 시공하지 않았다.*우리팀이 미리 본딩접지 말단을 단말하여 준비해 두었다.*우리의 계획은 엔드카바를 시공하면서 생크너트를 체결할 때 같이 시공한다는 것이다.*계획은 좋은 듯..... 트레이팀에는 부탁을 하지 않았나보다.*아침부터 우리 단말팀이 직접 투입되어 작업할 계획이다.●그런데 문제가 생겼다.*트레이엔디카바의 샹크너트의 위치를 제대로 고려하지 않았다.*미리 단말해 둔 것이 짧다.*위에처럼 상부의 앞쪽, 위에처럼 빨간색 부위를 맞추어서 단말을 미리 한 것이다*실제로는 상부 뒷쪽에 샹크너트로 본딩접지를 체결한다.●수정이다.*자르고 재단말이다.●본딩접지말단부의 위치를 잘 확인하고 말단을 하자
정전기접지작업 자재의 크기 *정전기작업이다.*다른 작업처럼 먼저 도면을 보자. 모든 작업자에게 열람 가능하도록 한 것이 도면이다. 그래서 뭔가가 의심스럽거나 궁금한 것이 있으면 이 도면에게 물어보면 된다.*정전기 접지의 자재의 크기는 어느정도여야 할까?*도면에서 답을 찾아본다.●아래는 정전기접지 도면에 나오는 내용이다.*모든 AF 그린빔 양 말단에는 정전기접지용 타공 및 마스킹테잎 부착 필요.-지금 현장에 시공된 그린빔(녹색빔)에는 정전기접지 시공용으로 타공이 되어져 있다. 또한 그 곳을 마스킹테잎 처리하여 두었다. 우린 이 마스킹테잎을 제거하고 정전기접지를 시공하고 있다.*시공간격 300mm 편조선 22SQ,*간격 600mm 시공 F-GV 35SQ적용.**Ground bonding jumper copper wire L:400 2..
트레이 본딩접지 말단도 트레이조인트 위에 샹크너트에 체결한다. *케이블 트레이 본딩접지 말단은 어떻게 되나?*트레이조인트의 상단에 체결하는가? 또는 하단에 체결을 하는가?*이 부분에 대한 규정은 없다.*이럴 때는 그냥 물어보고 하는 것이 최고다.*지금 여기 현장에서는 트레이 조인트의 상부 샹크너트 부위에 체결을 하고 있다.*이 전 현장에서는 트레이조인트의 하단에 체결했다. ●그럼 왜 이 현장에서는 말단을 조인트 상부에 체결을 하는가?*답은 언제나 단순하다.*본딩접지는 조인트 상단 샹크너트에 체결하기로 통일을 했다는 것이다.*특별한 규정이 없으니 팀에서 통일시킨 것이다.●말단은 체결할 부위로부터 앞에 2번째 트레이렁에서 아래로 빼어내서*밖으로 그리고 위로 그리고 옆으로 접어서 모양을 잡는다.*말단은 트레이 위에 포설된 95SQ모선접지를 그대로 사용한다.*95SQ라서 ..
트레이본딩접지 작업 시에 전산볼트와 행거가 간섭이 될 때에 *잠깐 중지되었던 트레이 본딩접지 작업을 재개했다.*95SQ 모선접지에 35SQ접지케이블을 연접하고 *35를 트레이 아래로 그리고 밖으로 빼어내서 *35터미널을 찍고 *트레이 조인트 상부 샹크너트에 체결한다.●35케이블을 트레이면에 밀착시키기*35케이블이 수평이 나오도록 하는 것이 좋다.*대부분의 경우는 큰 간섭없이 작업을 하게 된다.●금일처럼 35SQ터미널을 물리는 곳에 전산볼트와 행거가 있어 작업에 간섭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대부분의 작업자들은 이 정도의 간섭은 그냥 쉽게 작업을 한다. *그러기에 큰 문제가 되는 것은 아니다.*그리고 작업자마다의 각자의 주장이 있고 그렇게들 다 잘 한다. 또한 그렇게 작업하는 것도 맞다.●위에처럼 35터미널을 물리는 곳 주위에 전산볼트와 행거로 인해 작업에 간섭..
실리콘 구서마감작업 시에 퐁퐁물(비눗물)이 없어서 물파스로 하다. *전기실에서 단말작업이다.*케이블을 판넬 입구까지 포설해 두었다.*케이블을 입선부터해야 한다.*케이블 정리를 한다. 위에서 아래로 내려가서 옆으로 꺽어서 단말하는 곳이다.*3번 회색이 바깥쪽에 위치하여 1번,2번과 간섭이 안 되도록 한다.●갈짝갈(흑)삼으로 한다.*수평구간에서 짝수(2,4,6)번은 삼각포설 삼번 위치에 오게하고 회색은 삼각포설 위에*밑으로 떨어지는 구간에서 반시계방향으로 뒤틀어서 회색이 바깥쪽으로 위치하게 한다.●홀수 번은?*회색은 동일하게 *수평구간에서 흑색이 삼번 위치에*밑으로 떨어지는 구간에서는 동일하게 반시계방향으로 뒤튼다.●케이블 사이에 미리 실리콘을 조금 쏘고●피터치와 케이블타이를 병행해서 작업을 한다.*케이블을 딱고●구서마감이다.*실리콘패드를 살짝 댄다.*실리콘을 쏜다*퐁퐁..
매쉬접지함이 너무 적어서 케이블 전체를 수용하기 어렵다. *매쉬접지케이블이 기둥에서 빠져나와 있고 동일한 위치에 매쉬 접지함을 설치되었고, 그 박스에서 배관을 하여 정전기 접지함까지 연결되었다.*배관에 95SQ접지케이블 2개를 입선 완료했다.* 매쉬접지함에서 벽에서 나온 접지 케이블 2개와 입선한 케이블 2개를 단말한다.* 롱슬리브나 C형슬리브를 사용하여 단말한다.●매쉬접지함이 케이블을 수용하기엔 크기가 작다.*일단은 C형슬리브로 단말하기로 한다.●단말 전에 먼저 고려해야 할 것이 있다.*어떻게 케이블을 배열해야 단말 후 케이블을 박스 안에 집어 넣을 수 있을까?이다.*고민 후에 어렌지(배열)를 잡고 단말을 실시한다.●접지함 커버를 덮어야 한다.*케이블에 비해 접지함이 너무 작아서 제대로 덮개를 덮을 수가 없다.●그냥 덮개를 누르고 밀어서 억지로 볼트를 채..
요비선(연락선)에 pp로프 충분히 그리고 케이블.배관에 케이블 입선 작업 *기둥에 매시접지가 있고 그 곳을 매쉬 접지함을 만들었고*거기서 부터 배관을 하여 다음 기둥의 정전기접지함까지 연결되어져 있다.*매쉬접지함에서 정전기접지함까지 95SQ접지 2가닥을 한꺼번에 같이 입선을 하려고 한다.●먼저 요비선(연락선)을 넣고*요비선에 pp로프를 묶고*pp로프에 케이블 2개를 한꺼번에 묶는다.●pp로프가 짧다. 배관 1/4정도이다.*그래서 요비선을 당기면 pp로프가 배관을 빠져나오기도 전에 2개의 케이블이 배관을 들어간다.●괜찮을까? 괜찮지 않다. 중간에 자꾸 터진다.●다시 pp로프를 길게 연결하여 *요비선 다 나온 후에*pp로프가 배관으로 진입하고 *pp로프가 다 빠져나온 후에*다시 2개의 케이블이 배관으로 진입하고*우리의 목표인 2개의 케이블이 입선이 완료된다.●이 번에는 무리없..
실리콘과 라인테이프 *설치한 분전반이 기울었다. 수평과 수직을 제대로 잡지 못한 것이다. 다시 재작업을 진행하여야 한다.*밑바닥에 사각철편을 대어가며 수평과 수직을 잡아야 하므로 먼저 바닥에 시공된 실리콘을 제거해야 한다.*칼로 실리콘을 제거하고 다시 사각철편을 대고 맞추었다.*역시 쉬운 작업은 아니다.●자 이제 실리콘 작업이다.*마스킹 테이프가 없어서 라인테이프로 대신하여 직선을 잡았다.*마스킹테이프 대신에 라인테이프 괜찮은가?*괜찮다. 임시로 절연테이프로도 많이 사용하니까?*실리콘을 쏘았다.*실리콘헤라로 정리를 했다●라인테이프를 제거해야 한다.*그런데 ....*조금 있다가 실리콘이 마른 후에 제거하자고 한다. 가능할까?*좀 더 마른 후라니.... 일단 좀 더 기다려 본다.* 시간이 살짝 흘렀다.*좀 더 있다가 마른 후에..
단말작업 후 피터치부착 50mm, 대체 어디서부터 일까? *단말작업 후에는 피터치를 붙이게 된다. *단말시험 필기를 준비하며 생긴 의문이다.*아래의 문제이다.*위에서보는 바와 같이 절연튜브 끝에서 50mm 이격 부착이라고 있다. 그렇다. 시험 가이드라인에도 동일하게 안내를 하고 있다.*현장에서는 터미널의 끝단부에서 50mm로 하고 있다.*쇠자로 50을 마킹하고 거기서부터 피터치를 부착하는 것이다.*어느 것이 맞는 것일까?●분명한 사실은 현재 현장에서 모두 다 적용하고 있는 것은 단말한 터미널의 끝단부에서 50mm이격하여 피터치를 붙이는 것으로 하고 있다.
95SQ롱슬리브 접지케이블 압착하기 *95SQ 접지케이블을 포설했다.*95SQ롱슬리브를 찍고 *케이블타이로 케이블을 정리한다.-수평구간에는 2000이내로.-버티칼 구간은 ×자로 3점 지지.●금일은 95SQ롱슬리브를 압착하여 보자.*우리 품질에서 말하는대로 해 본다.*먼저 케이블 피복 제거 위치를 확인한다.*2개의 케이블을 일자로 놓는다.*트레이의 렁과 렁 사이의 중간을 마킹하고 절단한다.*각각의 케이블의 끝단에서 38되는 지점에 마킹하고 피복을 제거한다.*95롱슬리브를 각각 케이블에 끼운다*위에처럼 케이블을 일자로 놓고 렁과 렁에 케이블타이로 잡아준다.*압착을 한다. *위에처럼 중간부터 케이블쪽으로 들어가며 찍어주어서 롱슬리브가 케이블쪽으로 늘어나게 한다.*5번을 압착한다.●테이핑 작업*위에처럼 케이블의 10mm부터 반대쪽 10mm까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