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말작업 (195) 썸네일형 리스트형 피터치 교체 작업 쉽지 않다.도를 수련하는 사람처럼 내면을 잘 컨트롤해야 한다. •피터치 교체 작업 쉽지 않다.사람마다의 의견이 다를 수는 있다. 저의 경우에서는 쉽지 않다. 어떤 때는 인내하고 참아야 한다. 도를 수련하는 사람처럼 내면을 잘 컨트롤해야 한다.•단말작업 공정 중에 가장 많이 수정하는 작업이 피터치 교체 작업이다.•어려운 작업은 아니다. •케이블에 피터치를 붙인다.•그 위에 덧테이프를 붙인다.•사실 누구나 할 수가 있은 쉬운 일이다.그런데 어찌된 영문인지 자꾸만 교체를 한다.•처음 피터치 작업은 쉽다. 그러나 피터치 교체작업은 쉽지않다.•교체하기 위해서는 케이블에 붙어있는 피터치를 제거해야 한다.•또 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케이블을 고정시켜 둔 케이블타이를 제거해야 한다.●피터치를 붙이고 교체하는 작업을 해 보자•분전반안으로 케이블 입선 완료•케이블 클리닝완료-->내.. 케이블을 돌릴 수가 없다.트레이 렁을 제거하여 공간부터 확보하자. •트레이를 타고 오던 케이블을 5층에서 바닥ㅇ에 내려 놓았다. 여기까지 포설팀이 작업을 한 것이다. •우리는 여기에서부터 이어받아 6층에 있는 분전반으로 입선을 하는 것이다. •5층에서는 입선 준비 작업을 한다. - 대부분의 경우 포설팀이 원다구리를 쳐서 둔다.-이것을 굴려서 바닥에 쭉 깔아둔다.- 아래에서 트레이로 올릴 때 케이블을 U자 형태를 유지하여 케이블이 꼬이지 않도록 한다.-케이블 입선작업 실시 전에 보양작업을 한다. 대부분은 트레이 전산볼트와 트레이 날개, 트레이 렁 ..등 입선 시에 간섭될만한 부분을 미리 보양하여 케이블에 흠집(스크래치)가 나지 읺도록 한다.-케이블을 바닥에 내려둘 때, 최대한 넓은 공간에서 빼서 내려두어야 한다. 그래야 입선작업 시에 케이블의 꼬임을 방지할 수 있고.. 분전반 구서마감 작업(변경사항).천안삼성저압단말작업 중 ●천안삼성에서 저압단말 작업 중이다. 그 중에 분전반 구서마감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케이블이 아랫층에서 올라온다. 분전반 하부 베크판을 통해 입선되어 상부에서 꺽어져 중앙에 단말을 한다.•분전반 하부 베크판을 열고 손을 아래로 집어 넣어서 피터치와 덧테이프를 부착한다. •하부 베크판 아래에 실리콘패드로 보양을 한다.•분전반 안에 피터치는 하부베크판에서 300정도에 하나, 눈높이 정도에 하나, 단말한 케이블 끝에서 50에 하나, 단자대함에 메인피터치를 부착한다.●제일 먼저 케이블을 닦는 작업을 실시하는 것이 좋다. 그렇지만 여러 가지 여건상 이 작업은 미루어지기가 쉽다. 단말작업이 메인 작업이다보니 케이블을 정리를 급히 하면서 바로 단말 작업으로 이어진다. 그 외에 모든 작업은 뒤로 미루어진다.•케.. 트레이 아래로 포설, 트레이 중앙으로, 끝단에서 측면으로 위로.천안삼성저압단말작업 •포설팀이 50SQ 3C 케이블을 트레이 위로 포설하다가 바닥에 내려놓았다.•6층에서 5층으로 내려서 5층 트레이를 타고 가서 다시 6층으로 올라가는 것이다.•지금 우린 5층이다.•포설팀이 포설을 분전반 위치보다 더 지나쳐서 포설하고 케이블타이까지 쳤다.●일단 이 부분부터 해결하기로 한다.먼저 케이블타이를 따서 분전반 위치 전까지 다시 되돌려놓는다.●직선 구간에서 T자 트레이를 따라 90도로 꺽어가야 한다. •90도로 꺽어들어가는 구간에서는 트레이를 가로 질러가야 한다.•다른 케이블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트레이 아래로 가로 질러간다.•그리고는 트레이 중앙으로 간다.(트레이 중앙으로 가느냐? 측면으로 붙어서 가느냐?에 대한 의견이 있었지만, 역시 기존대로 중앙으로 가기로 했다)●트레이 끝단에서 트레이 .. 테스트용 접지 케이블 작업.천안삼성저압단말. ●테스트용 접지케이블 작업을 하고 있다. •이 작업에 대해서 자세한 내용은 모르겠다. 처음 접하는 작업이다. 그냥 작업한 것을 기록하여 둔다. •일단은 6SQ 접지 케이블을 포설한다.•6SQ접지케이블 2가닥을 같이 동시에 포설했다.•트레이 위에 포설한다.•포설은 하되 케이블타이는 치지 않는다.(테스트가 끝나면 바로 철거를 해야 하기 때문이다.)•트레이는 이미 시공되어져 있다.•빔에 시공하는 정전기 접지 작업도 되었다.•이 빔에 테스용 접지 케이블을 물린다.●위에처럼 6SQ접지케이블 2가닥을 함께 트레이 위에 포설한다.•9번처럼 케이블끼리 만나는 곳은 살짝 까서 연접한다.까서 서로 꼬고 테이핑한다.•케이블 끝에는 두 케이블을 까서 서로 꼬아서 빔에 정전기접지한 볼트에 같이 말아서 붙여둔다.(1,2,3,.. 트레이 본딩접지 95SQ 말단 단말작업.천안삼성저압단말작업 •천안삼성 전기현장에서 저압단말작업 중이다.•케이블트레이(cable tray) 위에 95접지 케이블이 쭉 깔렸다. 모선접지라고도 한다. •등전위 본딩접지를 트레이에 시공하고 있다.•모선접지 중간 중간에서 분기시켜서 트레이 조인트에 단말하여 물려준다.•35SQ로 분기(점프선)시킨다.●위에처럼 트레이말단에는 말단을 시공한다.•95SQ접지케이블을 트레이에 쭉 깔고 트레이 말단 부분에서는 이 케이블을 단말하여 트레이에 물려주는 것이다.•95SQ 접지케이블 말단을 시공하여 보자.•위에처럼 트레이 말단에는 말단에 트레이앤드캡을 단다•트레이 끝에서부터 100에 렁 하나있고 그 다음은 200 간격으로 렁이 이어진다.●어디서 케이블을 밖으로 빼어내면 작업이 용이할까?•위에처럼 트레이 끝에서 300렁~500렁 사이에서.. 120SQ케이블 베크판 가공은 22홀쏘로 타공하자.천안삼성저압단말 작업 •역시 천안삼성현장 전기실에서 저압단말 작업 중이다.•금일 작업은 120SQ 두 피더를 단말작업하는 것이다.•먼저 케이블 입선을 모두 다 했다. •한 피더를 먼저 터미널을 찍었다.똑같이 갈,흑,회이다. 이렇게 한 세트를 ,한 피더' 또는 '한 피다'라고 한다.•단말자는 다음 분전반으로 이동하여 또 다른 피더를 단말하려고 준비하고 있다.•방금 찍은 것은 터미널에 생긴 날개를 먼저 정리해 주어야 한다.•가위나 칼로 살짝 깍아 제거하고 쇠줄(야스리)로 정리를 한다. 너무 과하게하면 재단말해야 한다.그러니 조심해야 한다. 너무 깔끔하게하려고 욕심부리지 않는 것이 좋다. 어느 정도 수준에서 마무리해야 한다.●이제는 피터치하고 구서마감 작업을 한다.•일단은 케이블 위치를 잡아서 단자대에 케이블타이로 고정을 한다.•.. 망가진 분전반손잡이 교체 작업.천안삼성저압단말작업 중에. ●금일은 망가진 분전반 손잡이를 교체하는 작업이다.•먼저 작업 전 준비물부터 챙겨보자. •익숙한 작업이 아니다. •생각해서 잘 챙겨야 한다.•일단 기본은 휀스와 쓰레기봉투다.•그 다음은 드라이버와 스패너다. •요즘은 대부분 십자 드라이브이니 십자 드라이브로...•스패너는 현장에서 일반적인 사용 빈도가 많은 13,14,17,19로 일단 챙긴다.•이 일에 대한 현장 경험이 없으니 정보도 없다. •일단은 추측으로... 평소에 본 것을 기준으로....●작업을 순서대로 진행하여 보자•먼저 기존의 괜찮은 것을 떼어 가져온다.•고장난 분전반 손잡이를 떼어내고 떼어온 기존의 괜찮은 것으로 교체한다.•교체한 후 고장난 손잡이를 기존의 괜찮은 손잡이의 자리였던 분전반에 일단 설치하여 둔다.•새 것이 오면 고장난 손잡이를 .. LTG,ELTG,ULTG 입선작업 준비물.천안삼성저압단말작업에서 ●LTG,ELTG,ULTG 입선작업 준비물.•말비계•1단발판•휀스•타이거보양지•300SQ케이블외피•절연테이프•300케이블타이•쓰레기봉투•필요시 4SQ 케이블 상별로.●삼성 천안캠퍼스 현장에서 LTG,ELTG,ULTG 입선작업을 준비를 위해 기록한다. ●천안삼성저압단말 작업이다●그 외에 생각나는 것은 댓글에 기록하기로 한다. 분전반 덕트 커버 가공 및 시공.천안삼성저압단말 작업 •케이블이 트레이를 타고 쭉 오다가 90도방향을 바꾸면서 분전반 덕트로 떨어진다.•계속해서 덕트를 타고 수평구간으로 간다.•90도 덕트 버티칼엘보를 따라 자연스럽게 떨어진다.• 분전반 안으로 입선이 된다.•분전반덕트는 커버가 있다. •밀폐형이다.•계획된 케이블이 모두 다 입선되고나면 커버를 덮어야 한다.●지금은 분전반덕트 커버를 가공하여 덮는 작업을 진행 중이다.●먼저 커버(덮개) 가공을 한다.•말비계에 올라가서 케이블 상태를 보며 재단할 치수를 잰다.•재단은 직소로 한다.•재단 후에 진공청소기로 정리한다.•위에 1번처럼 직각 모서리 부분 재단 시에 애로사항이 발생하면 드릴과 홀쏘로 먼저 타공한 후에 모서리 부분을 따낸다.•덮개가 너무 길면 작업이 어렵다.•위에처럼 케이블이 입선되는 부분을 짧게 잘라준다.. LTG,ELTG,ULTG케이블 분전반에 입선하는 작업.천안삼성저압단말작업 중 •분전반덕트 측면에 타공하여 레이스웨이를 부착되었다.•레이스웨이팀이 레이스웨이(R/W)에 2.5SQ LTG,ELTG,ULTG케이블(지선)을 넣고 등을 달았다. •LTG등을 일반등, ELTG등은 비상등, ULTG등은 ups등이라고 부른다.•2.5SQ 등선을 회로별로 구분하여 4SQ메인케이블(간선)과 쪼인(결선)한다.•간선은 계속해서 레이스웨이 언으로 포설하여 분전반(판넬)로 들어온다.•그러면 단말팀이 단말하고 전원을 공급한다.•역시나 여기 레이스웨이팀도 역시 메인케이블(4SQ,간선)을 분전반 근처까지 깔아놓고 말아두었다. •여기서부터 분전반으로의 입선은 우리 단말팀의 몫이다.•우린 먼저 레이스웨이의 행거를 연다.•행거를 통과하여 케이블을 넣는 경우에는 손상을 입을 가능성이 많아진다. 특히 우리처럼 전.. 전기실 판넬 상부에서 입선 후 케이블타이 치고 피터치 붙이는 작업. 천안삼성저압단말작업. •아침마다 분주하다.특히 우리는 더욱 그렇다. 작업을 시작 전에 작업에 필요한 것을 챙긴다. •TBM시간에 금일의 작업과 인원배정이 대충 나온다.•금일작업도 역시 전기실에서 케이블을 입선하는 작업이다.•다음은 알아서 금일 작업에 필요한 것을 챙긴다. 담당할 내용을 누군가가 분배하면 좋겠지만, 대부분은 그렇지 못하다. 왁자찌껄 시장 바닥처럼 분주하게 챙긴다•전기실로 출발, 전기실에서 포설되어진 것을 입선한다.•포설과 입선의 차이는 뭘까?•포설은 포설팀이 케이블을 쭉 펴면서 목적지까지 가는 것이다.•입선은 포설과 비슷하지만 조금 다르다. 단말팀에서 판넬 안에서 단말하기 위해서 거기에 맞추어서 케이블을 판넬 안으로 집어 넣는 것을 말한다. •그래서 단말에 필요한 조건에 맞는 케이블 상태를 만들어 주어야 한다.. 실리콘 작업 완료 후 실리콘노즐에 전산캡 끼우고 절연테이핑하자. 천안삼성저압단말작업 중에서 •삼성 천안 캠퍼스 현장에서 저압단말작업을 하는 천안삼성저압단말이다. •금일 작업도 역시 전기실에서 케이블을 입선하는 것부터 시작한다.•먼저 베크판 볼트 5개를 풀어서 관통부가 드러나게 한다.•판넬 안으로 3상 케이블입선을 한다.•그 다음은 케이블을 닦는다(케이블 크린 작업)•클린작업은 대부분 매직폼과 물파스로 진행한다.•계속적으로 판넬 안에서는 단말을 한다.•동시에 판넬 위에서는 구서마감 작업을 한다.•구서작업은 베크판(베크레이트판)을 제작부터 진행을 한다.•베크판 크기는 585×170이다•앞쪽 50, 옆쪽 뒷쪽을 각각 20씩 잘라내서 직사각형의 관통부를 만든다.•관통부는 실리콘패드를 가공하여 막는다.•실리콘패드를 580×140으로 준비하여 가공한다.•실리콘으로 마감을 한다.•3상 케이블 주위, 실리.. 판넬 안의 단자대 번호가 바뀌었다.단자대 모양 확인 후에 입선하기 .천안삼성저압단말 •삼성 천안 캠퍼스 현장에서 전기 단말 작업 중인 천안삼성저압단말이다.•전기실에서 포설된 삼각케이블을 판넬 안으로 입선하는 작업을 진행 중이다.•판넬 안 단자대 번호의 배열이 바뀌었다.•보통은 위에서부터 아래로 가면서 1번 2번....7번이 된다.•여기는 0번부터 시작하고 1번 2번 ...6번까지이다.•번호만 바뀌었을 뿐 단말할 단자대의 모양은 그대로다.●판넬 안 단자대의 모양을 보자.•단자대 모양은 홀수, 짝수 번호로 나누어서 제작되어져 있다.•제작된 것을 현장에서 바꾸지는 않고 •현장 상황에 맞게 번호를 바꿀 수는 있다.•단자대 홀수번호는 위에서부터 아래로 내려가며 갈색 아래, 흑색 위,회색 아래이다•단자대 짝수번호는 위에서부터 아래로 내려가며 갈색 위,흑색 아래,회색 위이다.•단자대 모양은 1.. 95SQ접지포설작업준비물.천안삼성저압단말작업에서 •천안삼성현장에서 저압단말 작업 중에서 필요한 것을 기록하여 둔다.•금일의 작업은 95SQ접지 포설 작업을 한다.●작업 시작 전 준비물부터 챙기자.무전기케이블말비계휀스컷팅기선통대Y자 쇠파이프보양지 및 보양용 파이프(필요시)제전비닐 370케이블타이pp로프 (케이블고정용)쓰레기봉투가위(개인)보안경(개인)자상방지장갑(개인)핸드자키(필요시)파레트(필요시)•그 외에 생각나는 것은 댓글에 기록하기로 한다. 케이블상(L1,L2,L3)이 정상적으로 포설되도록 하려면 .천안삼성저압단말 작업. ●천안삼성현장에서 전기저압단말작업이다●전기실에서 입선 작업 중에 빈번하게 접하는 비정상적인 케이블상에 대한 개선 점에 대해 알아본다.●포설시에 비정상적인 케이블 상을 바로 잡으려면 먼저 시작이 중요하다.●시작부터 맞은 확률은 거의 50%이다.●실제 현장에서는 거의 90%가 비정상적이다●정상적 또는 비정상적 케이블 상이란?●실제적으로 케이블의 3개 상을삼각으로 묶고, 트레이 위에 태운다. 판넬 근처에 왔을 때 한 세트는 그대로 판넬 안으로 입선하고 또 다른 한 세트는 케이블 상 3개를 한꺼 번에 한 번 돌려서 입선하면 되는 경우라면 '포설이 정상적이다'라고 한다. 이 경우에는 삼각이 그대로 유지된다.●포설된 케이블을 3개의 상 중에 2개만 서로 바꾸어야 경우라면 '비정상적인 포설'이라고 한다. 이 경우에.. 비정상적으로 포설된 케이블 상 바꾸기.역행홀홀짝짝항3문 순행 반대.천안삼성저압단말작업 •삼성천안캠퍼스에서 전기 저압 단말 작업하는 일상을 기록하여 보는 천안삼성저압단말작업이다.•역시 전기실에서 입선작업 중이다.•케이블 포설이 케이블번호와 케이블의 상이 비정상적으로 포설되어져서 케이블의 상 2개를 바꾸어야 하는 경우에 대해 알아 본다.●역시 역행트레이와 순행트레이로 나누어서 알아 본다.●먼저 역행트레이일 경우이다.●역행트레이의 경우에는 위에처럼 포설되어져 오면 정상이다.●그렇지않고 반대로 비정상적으로 포설하는 경우도 많다. •아래처럼 포설되는 경우이다.●정상적인 경우와 비교해 보면 L2와 L3가 바뀌어져 있다.●위의 그림처럼 케이블의 모양이 바뀌어서 포설된 경우에는 아래처럼 상을 바꾸어 주어야 한다.●라운드 지는 구간이나 잘 안보이는 구간에서 상을 바꾸어 준다.•삼각이 완전 무너지기 때문이.. 전기실 단말작업 준비물.천안삼성 저압 단말 작업 ●천안삼성캠퍼스현장에서 저압 단말 작업 중이다.●전기실 판넬 상부에서 입선 및 구서마감 작업, 하부에서 클린,단말,구서마감작업이다.●준비해서 가져가야 할 준비물들을 기록하여 본다.[판넬 상부 입선작업]헤드용활선경보기(개인)손목형활선경보기(개인)A형 사다리협착방지장갑×2컬레유도원:유도봉 및 유도업무세트보안경(개인)개인생명줄×3개 이상깔깔이바(라쳇바)×2완강기(안전블럭)와 전산볼트추락방지대×1검은색 고무판×3개 이상덧신수평생명줄 PP로프 및 전산볼트추락방지대×2(필요시)승강방지용 합판×2트레이 상승용 합판 ×1(필요시)자재부쉬 또는 타이거 보양지(필요시)보양용 실리콘패드450케이블타이370케이블타이케이블뭉치(고무망치 대용)제전비닐말비계(필요시)[구서마감세트]직소기(문의 후)귀마개진공청소기실리콘패드(위에 참.. 전기실 베크판(베크레이트판)가공과 실리콘패드 가공.천안삼성저압단말 작업 중 ●천안삼성캠퍼스에서 저압단말 작업 중이다.●전기실 판넬 위에 케이블을 입선하기 위한 개구부가 있고 그 주위를 베크레이트판(베크판)으로 막아져 있다.* 입선 전에 이 베크판을 풀어야 한다. *베크판을 미리 가공해 둔다.*베크판을 제거한 개구부로 케이블을 입선한다.*판넬 위에서 입선하고 판넬 아래, 즉 판넬 안에서 케이블을 받아준다.*이렇게 입선이 끝나면 *다시 가공한 베크판을 다시 부착한다.*베크판 위에 다시 실리콘패드를 대고 가공하여 구멍을 최소화 한다.*그 다음은 회색실리콘으로 빛이 새지 않을 만큼 구서마감작업을 한다.*아래도 실리콘을 쏘고 구서마감작업을 한다.●베크판(베크레이트판) 가공과 실리콘패드 가공에 대해 보자.●베크판 가공*베크판 크기:585×170*가공: 위에 그림처럼 뒷쪽(볼트3개 ) .. 전기실 케이블 입선 중 케이블 상 바꾸기 .천안삼성저압단말작업. *천안삼성캠퍼스에서 저압단말작업 중이다.* 지난 번에 이어서 전기실 케이블 입선 중 케이블 상 바꾸는 것에 대해 계속 포스팅을 한다.*아래는 이전 글이다.https://myhandbible.tistory.com/m/1003 전기실 케이블 입선.천안삼성저압단말작업*천안삼성저압단말 작업하는 중에서 알게된 것을 기록하여 둔다.*전기실에서 케이블을 입선하는 작업이다.*전기실에서 트레이가 쭉 오다가 수직으로 떨어져 판넬로 들어간다.* 판넬 측면을 타myhandbible.tistory.com*역행트레이와 순행트레이로 구분하여 적고자 한다.●역행트레이의 경우*홀수번호는 문제가 없다.*짝수번호는 위에처럼 한 번 돌려준다.*L3(회색)번은 그대로 둔다*위에 것 L1(갈색)을 낮은 번호쪽으로 내린다.*L2(흑색)을 위로.. 전기실 케이블 입선.천안삼성저압단말작업 *천안삼성저압단말 작업하는 중에서 알게된 것을 기록하여 둔다.*전기실에서 케이블을 입선하는 작업이다.*전기실에서 트레이가 쭉 오다가 수직으로 떨어져 판넬로 들어간다.* 판넬 측면을 타고 내려 오다가 오른쪽 옆으로 휘어서 단자대에 단말한다.●트레이와 단말자가 단말하기 위해서 서는 방향에 따라 나누어서 알아 본다.*역행트레이와 순행트레이 *그리고 역행트레이의 홀수번호와 짝수번호*순행트레이의 홀수번호와 짝수번호로 구분하여 기록한다.●단말자가 판넬 안에서 판넬 측면을 보고 선다. ●트레이가 단말자 뒷쪽에서부터 와서 수직으로 떨어져 판넬과 연결되는 경우.(역행 트레이)* 이 경우는 수직버티칼에 짧은 트레이(단관 또는 단강)를 아래, 위를 바꾸어서 연결하고 판넬 위에 고정한다.*이것은 케이블의 방향을 살짝.. 포설시 동상다조 유지와 단말팀의 입선, 천안삼성저압단말작업 중에서 ■천안삼성에서 저압 단말 작업 중이다.■아래는 포설팀이 적어둔 중요 포인트이다.■그 중에 동상다조 유지라는 말은 잘 이해가 안되지만 우리 단말작업의 입선 작업에도 많은 영향이 있다. 물론 다른 부분도 다 중요하다.****피터치 부착***수평관통부 양쪽 300이내판넬상부 500수직관통구간 바닥에서 1500이내수평구간1,3,5,10..... 10,5,3,1****케이블타이***하부에서 2시 40분 상부에서 10시 20분수평일 때삼각포설(단심) 2000이내일반포설(다심) 4000이내목부분에 잡기엘보구간은 3점 지지 x자로수직구간은 600에 하나씩**포설시 동상다조유지(아래처럼)*포설팀이 단심케이블 3개를 포설할 때 이와같이 삼각포설로 포설을 한다는 것이다. * 이렇게 와서 판넬 안으로 들어간다.●지금은 .. 분전반덕트 안에도 케이블타이는 2시 40분으로.천안삼성저압단말작업중에서 * 천안삼성저압단말 작업 중이다 .특별히 우리가 준비한 분전반의 덕트에 입선하는 작업이다.역시 예전대로 포설팀이 케이블을 분전반 근처까지 만 포설한 채 바닥에 늘어뜨려 놓았다.*맞는 지는 모르겠지만 내가 보기로는 계속 이렇다. 포설팀이 대충 던져두면 우리 단말팀이 입선하고 단말.구서마감 등의 작업을 한다.*어떤 때는 우리가 포설인지 단말인지 헷갈릴 때도 있다.●케이블이 트레이를 쭉 타고 오다가 분전반 덕트 안으로 떨어지고 또 계속 입선을 진행하여서 분전반 안으로 떨어뜨린다.*이제는 케이블타이로 정리하며 고정을 한다.●분전반 덕트 안에도 여전히 케이블타이를 치고 피터치를 붙인다.*덕트 안에서는 케이블타이 방향은?*덕트는 트레이와 달리 밑에서는 타이를 칠 수가 없다. 밀폐형이다*덕트 덮개를 열고 케이블타.. 95SQ 차단기용터미널은 홀이 위로 치우쳐있다. *95SQ 터미널의 종류가 다른 것이 있다. 전에부터 들어온 말이다. 어떻게 다른가?*사실은 별거 아니다.*일반적으로 대부분의 터미널의 홀(볼트를 체결하는 구멍)은 보기 좋게 중앙에 위치한다. 일반적인 생각일 것이다.*차단기용터미널은 차단기에 사용하는 터미널이라는 것이다.*차단기에는 일반용터미널을 사용하면 홀을 맞추어서 체결할 수가 없다. 그래서 홀(구멍)을 살짝 위로 맞추어서 제작을 하는 것이다.*현장에서는 차단기용이라고 적어두고서 구분하여 사용하고 있다.●일반용과 차단기용을 구분하는 방법은 홀의 위치가 센터이냐? 아니면 위쪽으로 치우쳤냐라는 것이다.*알고보면 눈으로도 충분히 구분이 가능하다.*그냥 무심코 주워 담다보면 섞일 가능성도 많다. 조금의 주의가 필요하다. 래핑튜브를5,8,10,12사이즈로 구분하기.쿠팡래핑튜브 *래핑튜브를 구분하여 정리하고자 한다. *분류는 색상별로, 사이즈(크기)별로이다.*먼저 사이즈별로 구분한다. *지금 우리 현장에는 5파이,8파이,10파이,12파이가 있다.*파이는 지름을 표시하는 단위이다. 그래서 줄자를 지름을 확인하니.... 역시 쉽지않다.*일단은 제품봉투에 적힌 사이즈를 보고 그 제품들과 사이즈를 대조해 보며 분류를 했다. 눈으로 딱 보고 바로 분류를 하는 것이다. 지금은 이 방법 밖에는 다른 방법을 찾지 못했다.*현장근로자 분들이 가장 좋아하는 말, '딱 보면 알지'로 가야한다. 어쨌든 눈에 많이 익혀 구분을 해야 한다.*사용할 때, 사용 후에 잘 분류하여 구분하여 두는 것이 좋다. 사실 이것이 어려운 거지만....●이 래핑튜브를 쿠팡에서 찾아보았다. 원래는 너저분하게 흩어져있는 .. 본딩접지 말단은 3번째칸에서 빠져 나오자 *트레이 위로 95SQ접지가 쭉 깔려있다.* 트레이 온장의 길이가 3000이다.*트레이와 트레이를 연결하여 계속 쭉 가고있다.*트레이와 트레이 사이를 조인트를 사용하여 연결을 한다.*조인트로 연결하는 것으로 마무리가 되는 것이 아니다. 트레이와 트레이 사이를 본딩접지로서 연결하여 준다. 요즘 나오는 신형 트레이조인트에는 이 본딩접지가 내장되어 있어서 따로 본딩작업은 하지 않는다.*레이스웨이의 경우에는 지상에서 레벨 2500이하의 것은 여전히 접지를 하고 있다. 레이스웨이에는 트레이와 같은 접지가 내장된 조인트가 아직 시중에 나오지 않았기 때문이다.*트레이 경우에는 95SQ접지를 쭉 깔고 트레이말단 부분에서 이 접지와 트레이조인트를 연겷한다.*30M마다 분기시켜서 트레이조인트에 연결하면 된다고 하나 실제적.. 50/50 연접시 슬리브는 120고마로 압착한다. *50SQ케이블이 통신트레이로 포설이 되었다.*통신용 모선접지는 50SQ를 포설하고 있고*일반용은 95SQ로 모선접지를 사용하고 있다.*트레이 본딩접지는 30M마다 분기하여 트레이 조인트에 물리지만 사실상 도면에는 30M보다는 훨씬 짧은 구간마다 시공하라고 한다. 도면에 나와 있는대로 시공을 해야 한다.●작업 시에 가장 먼저 따라야 하는 것은 시키는 사람의 작업 지시이다. 그 다음으로는 도면이다. 가장 마지막으로 참고하여야 하는 것이 시방서나 과거의 경험이나 지식이다. 물론 사실 현장에서 작업을 하다보면 역시 경험의 비중이 많이 차지하는 것이 사실이다.●통신용 본딩접지는 50SQ접지케이블 동일하게, 트레이 조인트로부터 3번째 칸에서 모선접지와 연접하고*2번째 칸 아래로 빠져나와 외부 트레이 조인트 상단.. 동그랗게 말아서 트레이에 올려둔 접지케이블 다시 잘 펴기 *트레이 위에 접지케이블을 쭉 포설한다. *트레이가 다 완성되지 않았다면 트레이 끝에 접지케이블을 동그랗게 원형으로 말아서 올려둔다.*아래에서 말아서 케이블타이로 1,2개 치고*말비계에 올라가서 케이블을 받아서 트레이에 올려두면 된다.●케이블을 원형으로 말아서 정리할 때의 방향과 나중애 다시 펼 때의 방향은 어떠하면 좋을까?*위에처럼 원형으로 케이블을 정리할 때 방향을 잘 정리하여 올린다.*트레이 위에 오려둔 케이블을 다시 펼 때는 트레이 옆면(레일)을 타고 원을 굴리면서 펼치면 된다.*원형의 케이블이 꼬이지 않게 잘 풀리게 하려면 굴리는 방법이 가장 좋다. 모두 다 아는 사실일테지만.....●만약에 올려둔 케이블의 방향이 반대라면?*어쩔 수 없이 케이블을 트레이 반대편 옆면을 타고가면서 굴려야 한.. 접지피터치 수평구간은 from,to가 높은 열쪽으로... good. *요즘은 모든 공정이 느리게 간다.*트레이도 느릿 느릿*트레이가 어느 정도 진행되면 우린 95SQ접지케이블을 포설한다.*사실 접지케이블 포설은 어떤 팀이 맡아서 해도 무방하다.이것을 전문포설팀이 하기도 한다.*트레이팀도 하고... 우리처럼 단말팀도 한다.*접자케이블 포설이 다 되었다.●이제는 수평 구간에 접지피터치를 10M 간격마다 붙이는 작업이다.●별 것도 아니지만 여기서 서로 의견 차이가 생기기도 한다.*문제는 피터치 방향이다.*피터치의 from.to가 어느쪽을 향하게 붙이는가?*수평구간에는 좌에서 우로, 시인성이 좋은 곳에 붙이는 것으로 한다.*이 말이 좀 애매하다.* 좌에서 우로, 읽기 편하게 글자가 뒤집히지 않게.... 이러한 의미..... 그런데 사람이 보는 방향에 따라 좌에서 우로가 달.. 녹빔에 길이400.700편조선으로 접지 시공하다 *녹색 H빔에 길이 400과 700 편조선으로 정전기접지를 시공하고 있다.*녹색 빔을 길게 쭉 연결하면 좋지만... 그렇게하기엔 너무 무겁고 길다. 그래서 잘라서 사용한다..*2990정도의 길이의 것을 길게 연결하여 사용한다.*2990과 2990사이에는 400편조선으로 접지를 하고 있다.*모든 빔에 이렇게 접지를 시공하여야하니 양이 꽤나 많다.●빔에는 타공을 하고난 후에 마스킹테이프를 바르고 그 위에 페인트로 도색되어져 있다.*접지 시공 시에 이 마스킹테이프를 떼어낸다. 가위를 벌리고 납짝한 면으로 긁고 손으로 벗겨낸다.*맞은 편에 것은 떼어낸 곳에서 구멍으로 찔러 넣으면 테이프가 밀려나면서 떼어진다. *산부육각볼트를 사용한다.※현장에 흔한 샹크볼트를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샹크볼트는 케이블트레이에 전.. 이전 1 2 3 4 ···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