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SQ케이블이 통신트레이로 포설이 되었다.
*통신용 모선접지는 50SQ를 포설하고 있고
*일반용은 95SQ로 모선접지를 사용하고 있다.
*트레이 본딩접지는 30M마다 분기하여 트레이 조인트에 물리지만 사실상 도면에는 30M보다는 훨씬 짧은 구간마다 시공하라고 한다. 도면에 나와 있는대로 시공을 해야 한다.
●작업 시에 가장 먼저 따라야 하는 것은 시키는 사람의 작업 지시이다. 그 다음으로는 도면이다. 가장 마지막으로 참고하여야 하는 것이 시방서나 과거의 경험이나 지식이다. 물론 사실 현장에서 작업을 하다보면 역시 경험의 비중이 많이 차지하는 것이 사실이다.

●통신용 본딩접지는 50SQ접지케이블 동일하게, 트레이 조인트로부터 3번째 칸에서 모선접지와 연접하고
*2번째 칸 아래로 빠져나와 외부 트레이 조인트 상단 샹크볼트에 물린다
*샹크볼트는 홀다운클램프용으로 조금 긴 것으로 교체하여 사용한다.
*통신용은 분기케이블이 낮은열 3번째칸에서 찍고 2번째 아래로 빠져나와 높은열쪽으로 전진하게 한다
*연접 시에 슬리브는 50/50슬리브를 사용한다
*고마 사이즈는 120으로 압착을 한다.
*압착 시에 중간에 한방 그리고 양쪽에 한방 모두 3방을 찍는다.
*슬리브의 방향은 정해져 있지 않다.
*슬리브의 벌어진 부분을 눈으로 확인하면서 압착을 하는 것이 좋다.
* 그러므로 슬리브의 방향은 작업자의 방향에 따라 달라지는 경우가 많다.
*압착 시에 눈으로 확인하지 않으면 케이블의 멸 개가 밖으로 삐져 나올 수가 있다.
●슬리브를 케이블에 끼우는 방향은 정해져 있지는 않지만 케이블이 삐져나오지 않도록 하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
*첫번째 한 방 압착시 눈으로 확인할 수가 있으면 좋다.
●연접 후에 피터치 붙이는 것 잊지 말자
*피터치 방향은 from/to가 높은열쪽을 향하도록 한다.
'단말작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본딩접지 말단은 3번째칸에서 빠져 나오자 (0) | 2025.02.20 |
---|---|
동그랗게 말아서 트레이에 올려둔 접지케이블 다시 잘 펴기 (0) | 2025.02.16 |
접지피터치 수평구간은 from,to가 높은 열쪽으로... good. (0) | 2025.02.13 |
녹빔에 길이400.700편조선으로 접지 시공하다 (1) | 2025.01.25 |
악세스플로어의 규격과 정전기 접지(빔접지) 시공 (0) | 2025.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