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중작업이다.파레트에 분전함이 올려져 있고 6층에 있다. 이것을 5층 샵장으로 옮겨서 정리하는 작업이다.
*먼저 핸드쟈키를 구하고
*라쳇바 2개를 구했다.
*핸드쟈키로 파레트를 넣어야 한다.그냥 쭉 밀어넣으면 되지만 그렇게 쉽기만한 것은 아니다.
*핸드자키가 파레트에만 전문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제작된 것은 아니다.
*그래서 파레트에 사용할 때에도 파레트의 구조를 쬐금 알아야 한다.
![](https://blog.kakaocdn.net/dn/JaGM8/btsLfAO9h5k/DsjxPDg8kI3V5ssBFMG9Ok/tfile.jpg)
*위는 파레트의 아랫면이다.모두 다 동일한 것은 아니지만 대부분 비슷한 형태이다.
*그리고 핸드쟈키는 이러한 형태의 파레트에 맞추어서 제작한 것이 아니다라는 사실부터 인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파레트와 핸드쟈키의 올바른 맞춤은 대부분 다르다.
*이것을 하루에도 수십 번 사용하는 작업자라면 감각적으로 쑥 밀어넣으면 된다.
*몇 달에 겨우 한 번 정도나 어쩌다가 한 번
정도 사용하는 작업자가 많이 보고 들은대로 쑥 밀어넣으면 문제가 발생할 수가 있다.
●위에서 보는 바와 같이 1번처럼 핸드 쟈키를 넣으려고 한다. 이렇게해도 되는 핸드쟈키도 있다. 쑥 밀어 넣어서 바퀴가 파레트 밖으로 나오게 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경우는 2번처럼 되는 경우이다. 파레트의 아랫면에 있는 구멍 사이에 핸드쟈키의 바퀴가 위치하게 하여야 한다.
●만약에 바퀴가 제대로 위치를 잡지 않으면 쟈키의 발을 위로 올리는 순간 파레트가 부셔진다. 이렇게는 사용할 수가 없다.
*핸드자키를 쑥 밀어넣고 앞뒤로 살짝살짝 움직여서 감각으로 위치를 제대로 잡으면 된다.
●감각적으로 어려우면 아래에 엎드려 눈으로 바퀴 위치를 확인하면 된다.
'기타작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레트에 구멍이 있네 (0) | 2024.12.13 |
---|---|
INO로그인이 안될 때 (0) | 2024.08.16 |
전자카드근무관리앱에서 현장변경하고 출,퇴근 찍기 (0) | 2024.08.11 |
스막(smock)이란? (1) | 2024.05.11 |
도면의 치수가 다르다. 어떻게 이런 일이..... (0) | 2023.08.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