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단말작업

케이블상(L1,L2,L3)이 정상적으로 포설되도록 하려면 .천안삼성저압단말 작업.

반응형

●천안삼성현장에서 전기저압단말작업이다

●전기실에서 입선 작업 중에 빈번하게 접하는 비정상적인 케이블상에 대한 개선 점에 대해 알아본다.

●포설시에 비정상적인 케이블 상을 바로 잡으려면 먼저 시작이 중요하다.
●시작부터 맞은 확률은 거의 50%이다.
●실제 현장에서는 거의 90%가 비정상적이다
●정상적 또는 비정상적 케이블 상이란?
●실제적으로 케이블의 3개 상을삼각으로 묶고, 트레이 위에 태운다. 판넬 근처에 왔을 때 한 세트는 그대로 판넬 안으로 입선하고 또 다른 한 세트는 케이블 상 3개를 한꺼 번에 한 번 돌려서 입선하면 되는 경우라면  '포설이 정상적이다'라고 한다. 이 경우에는 삼각이 그대로 유지된다.
●포설된 케이블을 3개의 상 중에 2개만 서로 바꾸어야 경우라면 '비정상적인 포설'이라고 한다. 이 경우에는 삼각이 반드시 무너진다.
●실제로 현장에서는 90%가 비정상적인 포설이다
●이러한 것을 해결하려면 도면이 필요하다. 도면에 표기를 하여 처음을  잘 시작하게 하면 나머지 모두는 자동적으로  제대로 된다.

● 처음에 상을 잘 못 묶어서 시작하면 모두가 비정상적으로 나온다.
●아래를 보자.

L왼손, R오른손

●단말자가 단말하는 판넬에서부터 시작하여 보자.
• 판넬 안 측면에는 #1번~#7까지 케이블 피더 번호가 있다.

•단말자는 판넬 안 측면 케이블을 향해 서게 된다.

•이 때, 단말자 앞에서 오는 트레이를 '순행트레이'라고 하고, 단말자 뒷편에서 오는 트레이를 '역행트레이'라고 하자.
●위의 그림처럼  #1번 쪽에 있는 트레이의 사이드레일에서부터  #7(판넬 문 쪽)번쪽 에 있는 트레이 사이드레일로 가면서 케이블 상을 확인하여 보자.(참고로 #1번은 케이블번호 또는 단자대번호를 의미한다.)

• L1번,갈색은 생략한다.

•L2( 흑색 ② )번과 L3( 회색 ③ )번만을 본다.
●역행 트레이
#1 사이드레일 ②③/ ③② / ②③ .....

                       (#1) / (#2) / (#3) /......
●순행트레이
#1 사이드레일 ③② / ②③ / ③②/.....

                       (#1) / (#2)  / (#3) /......
●위의 그림처럼 #1번쪽 트레이 사이드레일면을 도면에서 쭉 따라가면서, 확인하면서,  포설 시작점까지 간다.
•시작점에서  도면에 표기를 해주면 된다.

• 도면에 표기 시에 먼저 #1번 트레이 사이드레일면을 확인한다.

트레이가 역행인지 순행인지를 확인한다.왜냐하면 시작하는 번호가 다르다.

역행트레이는 ②(흑색)부터 #1번부터 시작한다.

• 순행트레이는 ③(회색)부터 #1번부터 시작한다.

●정상적인 케이블상으로 포설되면 단말 작업차 입선시 삼각이 무너지지 않고 그대로 유지된다.

●그러나 비정상적이라면 모두 다 2개의 상을 서로 바꾸어야 한다. 삼각이 완전히 무너진다.

● 포설된 케이블도 보기 싫다.

● 입선시에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 여러 면에서 바로 잡을 필요가 있다고 본다.

●포설팀에서 확인하고 알아서 포설하기에는 애로사항이 많아 보인다.

●현재 결과적으로 봐도 역시 포설팀만의 노력으로는 역부족이다.

●도면에 표기해 주는 것이 더 쉽지 싶다.또한 도면 그리는 사람이 당연히 해야 할 일 것 같기도 하고...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