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장비유도원 교육 목적 및 정의
● 장비유도원 교육의 목적
- 건설기계 사용 시 장비간 충돌 or 근로자의 협착, 충돌사고의 빈도가 높으므로 이에 대한 예방을 위해 숙련된 유도원을 배치하여 장비 작업을 실시함으로써 정해진 신호방법에 의해 기계 및 차량을 유도하여 동종 사고 예방을 하기 위함.
●유도원의 정의
- 신호 및 장비유도의 의무를 맡은 사람으로서 정해진 신호법에 준하여(음성신호, 수신호, 기신호, 호각 外) 건설기계 및 차량을 유도하는 자
- 작업구획의 설정 및 근로자 통제
※신호란 : 정해진 일정한 부호를 이용하여 상대방과의 상호 의사를 전달하는 방법
※지정된 복장 착용
- 언제 어디서나 작업 중 식별하기 쉽게 구분된 복장 착용
(적색 안전모, 적색 조끼, 무전기, 호각, 신호봉 등)
2. 장비유도원 역할
● 장비유도원 역할(장비 운전원의 눈)
- 장비 운전원과 장비 작업반경 구역 설정
- 고정식 장비(EX : 크레인) 작업반경 표시 및 반경 내 근로자 출입 통제
- 이동식 장비(EX : 지게차) 이동 경로 확인 및 이동 경로 충돌 지장물 확인 및 근로자 통제
- 작업구간 지형 지물 사전 확인
3. 근로자 및 관리감독자 및 관리감독자 준수사항
●근접작업 근로자의 준수사항
(1) 기계의 주행작업 중에는 기계의 작업범위 내에 들어가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2) 작업의 성질상 근접작업을 해야 할 경우에는 사전에 관리감독자에게 보고하여 작업방법의 지시를 받아야 한다.
(3) 관리감독자 또는 유도자의 신호에 따라야 한다.
●관리감독자의 준수사항
(1) 기계 주행작업 중에는 그 작업 범위 내에 근로자를 출입시키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2) 부득이하게 근접작업이 필요한 때에는, 근로자에게 근접작업 시 필요한 주의와 작업방법을 사전에 주지시켜야 한다.
(3) 유도자를 배치하여 호각 또는 수신호 등의 정해진 신호방법에 의해 근로자의 대피 및 기계 후진작업 등을 실시하여야 한다.
(4) 현장 내에서 기계의 운전작업 또는 주행에 지장이 없도록 주행로를 정리정돈 하여야 한다.
4. 유도자 주의사항 및 신호방법
●유도자의 주의사항
(가) 유도자는 정해진 신호방법에 의해 기계 및 차량을 유도하여야 한다.
(나) 유도자는 유도되는 기계 및 차량의 적절한 주행속도를 파악함과 동시에 운행경로를 확인하여야 한다.
●유도 신호방법
(가) 유도신호는 호각을 이용한다.
(나) 야간작업 시 유도자는 신호수용 반사조끼를 착용하고 전자신호봉 또는 깃발을 손에 들고 유도하여야 한다.
(다) 유도자는 다음과 같은 적절한 장소에 위치하여 해당장비에 유도신호를 하여야 한다.
① 운전자와 연락신호가 잘 되는 곳
② 근로자, 기타사람이 접근하는 것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장소
③ 기계, 차량의 진행선으로부터 떨어진 장소
④ 유도되는 기계, 차량의 운전자가 잘 보이는 장소
5. Table Lift(고소작업대 5. Table Lift(고소작업대) 작업 관리
● T/L 기본안전수칙(작업관리)
(가) 이동 후 고임목 설치(이동 중 장애물 사전 제거 및
(나) 구획설정(라바콘 등을 사용하여 근로자 이동동선과 겹치지 않도록 설정)
(다) 장비유도원 신호에 따라 T/L 상승 or 하강
(라) 운전원 상부 안전고리 체결
(마) 작업 중 운전원 안전상태 점검 및 작업구간 통제
●비상상황 발생 시 대처요령
- 상부 운전원의 협착사고 위험 등 비상상황 발생 시 비상하강장치 작동
(고소작업대마다 비상하강장치 작동방법이 상이함으로 작업 전 작동방법 숙지)
6.고소작업대 (Table Lift) 안전기준

● 고소작업대 (Table Lift) 운전원및 유도원 행동 요령
작업 순서 | 행동요령 | |
고소작업대 운전원 | 유도원 | |
①이동 | ● T/L 구름방지용 고임목 제거 상태를 유도원에게 확인한다 . ●운전원은 이동 할 위치를 유도원에게 전달하고 유도원 지휘에 따른다 . | ●고임목 및 접근금지용 슈퍼콘을 제거한다 . ●T/L 전방에서 신호봉과 호각을 사용하여 T/L 을 유도하고 이동구간을 통제한다 . |
②정지 | ● 정차구간의 위험요소 확인 후 안전한 구간에 정차. ●평탄한 장소에 정차 | ●정차구간의 바닥상태 및 위험요소 확인 후 정차를 지시하고 T/L 앞바퀴의 앞쪽 , 뒷바퀴의 뒤쪽에 구름방지용 고임목을 2 개소 설치한다 . ●T/L 주변 2m 밖으로 슈퍼콘 및 걸이대를 이용하여 접근금지구역 설정 |
③상승 시 | ●고임목 및 접근금지구역 설정이 완료되면 T/L 상승 여부를 유도원에게 확인 후 상승 시작한다 ●상승을 완료 후 T/L 이 아닌 외부 독립된 구조물에 안전고리를 체결한다 . | ●고임목 및 접근금지구역 설정이 완료됨을 확인하고 T/L 운전원에게 상승 허가한다 . ●T/L 상승 시 운전원이 상부 구조물과 협착되지 않도록 상승 중 집중 관리한다 . ● 상승 종료 시 안전고리를 체결하는지 확인한다 . |
④작업 중 | ● 작업 중 이상발생시 유도원에게 즉시 통보한다 | ●작업구간 하부에서 근로자의 접근을 통제한다 . ● 비상시 비상하강장치를 작동 . ● 비상 상황시 비상연락 실시 |
● 고소작업대(굴절) 사용 안전 기준
작업 순서 | 행동요령 | |
굴절고소작업대 운전원 | 유도원 | |
①이동 | ● 굴절 T/L 붐대를 접고 , 하부로 운전석을이동시킨 후 ( 높이 2m 이내 ) 고임목 제거 상태를 유도원에게 확인한다 . ●운전원은 이동 할 위치를 유도원에게 전달하고 유도원 지휘에 따른다 | ●굴절 고소작업대 붐대 접힘상태 ,이동 상태를 확인하고 , 고임목 및 접근금지용슈퍼콘을 제거한다 . ●굴절 T/L 전방에서 신호봉과 호각을 사용하여 유도하고 이동구간을 통제한다 . |
②정지 | ● 정차구간의 위험요소 확인 후 안전한 구간에 정차 ●평탄한 장소에 정차 | ● 정차구간의 바닥상태 및 위험요소 확인 후 정차를 지시하고 , 앞바퀴의 앞쪽 , 뒷바퀴의 뒤쪽에 구름방지용 고임목을 2 개소 설치한다 . ●굴절 T/L 및 작업대 주변 2m 밖으로 슈퍼콘 및 걸이대를 이용하여 접근금지구역 설정 |
③상승 시 | ●고임목 및 접근금지구역 설정이 완료됨을 확인하고 , 상부 간섭 되는구조물 , 하부 통제 상태를 유도원에게 확인한 후 상승을 시작한다 ●상승 완료 후 굴절 T/L 이 아닌 외부 독립된 구조물에 안전고리를 체결한다 . ●단부 접근 작업 시 수직생명줄을 설치하여 안전고리를 체결한다 . | ●고임목 및 접근금지구역 설정이 완료 , 상부 간섭 구조물 , 하부 통제한 후 운전원에게 상승 허가 한다 . ●T/L 상승 시 운전원이 상부 구조물과 협착되지 않도록 상승 중 집중 관리한다 . ●상승 종료 시 안전고리의 체결여부를 확인한다 . |
④작업 중 | ●작업 중 이상 발생시 유도원에게 즉시 통보한다 . | ● 작업구간 하부에서 근로자의 접근을 통제한다 . ● 비상하강장치 위치를 숙지하고 비상시 작동한다 . ●비상 상황시 비상연락 실시 |
'안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대 고위험 작업,삼성고덕반도체공장 (0) | 2023.10.07 |
---|---|
A형 사다리 작업의 협의 결과 3명 잡고 1명 작업하는 것으로 났다 (0) | 2023.09.15 |
손 대차 사용 기준 공지 (0) | 2023.07.28 |
안전대 착용 및 관리에 대하여,최하사점이란? (0) | 2023.07.25 |
청소,피터치,명판,접지,구서마감을 기억하자. (0) | 2023.0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