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작업허가서의 종류
1.안전시설물설치해체복구허가서
2.비계설치작업허가서
3.화기작업허가서
4.밀폐작업허가서

●S-PCM에 대해
1.S-PCM 실시 기준
-위험성평가 4등급 이상 작업에 대하여 추가 안전대책을 수립하기 위하여 현장에서 실시하는 안전시공회의
2.S-PCM 참석대상자
-SECL 공종 담당 및 안전관리자,협력사 소장/ 공사 및 작업반장
3.S-PCM 변경점 실시 기준
*S-PCM 대상 작업으로 작업방법이 변경되거나 안전대책이 달라지는 경우에 변경점 S-PCM 실시.
●CCL(핵심준수사항)
-기술인이 작업전에 반드시 알고 실천해야 하는 행동 수칙.
●TBM
-tool box meeting이라 하며 소단위 위험 예지 활동으로 작업 전 위험사항에 대한 점검/확인 및 교육을 실시하는 기술인 단위의 안전 활동.
●잠재위험등급 기준
1등급: 응급처치,아차사고
2등급:응급처치 이상의 사고
3등급:긴급치료 및 수술
4등급:부분장애 및 신체부분 손실
5등급:사망 또는 영구 장애
●Coordination Meeting(C/M.협조 회의)
1.C/M의 기능
-공사,안전,협력사간에 일일단위 작업 시작 전 의사소통 회의.
2.C/M에 주요 안건,주제는?
-작업허가서의 작업 내용, 인원, 도구/장비의 확인 및 변경점과 간섭사항에 대한 공유 이후 대책 수립.
●위험등급을(1,2,3,4,6,9)로 순위화를 하는 의미
- 작업의 위험도를 크기로 알아볼 수 있게 숫자로 나타내고 높은 위험부터 선택과 집중 관리하기 위하여 순위화를 실시
●Near Miss와 S-car의 차이
* Near Miss:사고가 발생하였으나 손실이 없는 것...무상해사고(아차 사고)
*S-CAR: 발생한 불합리에 대한 안전 즉시 개선조치 요구서
●10대 고위험 작업
1.활선 작업
2.찬장 속 작업
3.케미칼 취급 및 노출 작업
4.밀폐공간 작업
5.5톤이상 중량물 취급 작업
6.전기케이블, 가스배관 등 매립 지역의 굴착 작업
7.12M이상의 비계 설치/해체 작업
8.엘리베이터 작업
9.데크 및 그레이팅(EX메탈 포함) 설치, 해체 작업
10.외부로프/ 곤돌라 작업
'안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1-out적용항목,2-out적용항목, 평택 고덕 삼성반도체 전기분야 (0) | 2023.11.17 |
---|---|
시저형 고소작업대 유도원 교육 교안 (0) | 2023.11.15 |
T/L안전수칙 및 T/L 과상승 방지봉 설치 기준, 고소작업대(시저형) 안전점검표,T/L중간발판 안전수칙 (2) | 2023.11.13 |
유도원은 T/L 비상하강장치를 조작하지 않는다고 한다. (0) | 2023.11.01 |
손 내리시고 상승합니다. (3) | 2023.1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