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케이블 트레이 작업

1500 연부전산볼트 제작 작업,케이블 트레이(cable tray) 작업에서.

반응형

*세트 앙카를 박을 구멍을  천정에 뚫고나서 연부 세트앙카를 박고나서 세트 앙카에 1500짜리 전산볼트를 달아준다.
*1500짜리 연부 전산볼트 세트를 만들어보자.

*3000짜리 연부전산볼트를 1500으로 자른다.
*면치기나 야스리(쇠줄)로  절단면을 부드럽게 한다. 사실 밴드쇼로 자르면 거의 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가 많다. 샹크너트(플렌지 너트)가 들어가면 안해도 된다고 한다. 그래도 형식상이라도 하는 것이 좋다.
*징크를 2회 도포한다. 이 때 방독면, 내화학장갑,보안경 착용 후에 작업한다.
*조금 말린다. (휴식)
*연부 전산볼트에 연부샹크너트(원래의 명칭은 플렌지너트라고 하나 현장에서는 그냥 샹크너트라고 한다.)를  돌려 끼운다.
*임팩이나 드릴를 사용해도 된다.
*19mm복스알을 사용한다. 전에는 17이었으나, 이 현장에서는 19mm연부샹크너트를 사용하고 있다.
*복스알에 고무테이프를 감아서 샹크너트를 감거나 풀기도 한다.(많이 사용한다. 미리 준비해두면 좋다.)
*시중에는 전산볼트를 돌려서 끼울 수 있도록 하는 것도 판매되고 있다. 이것을 사용하는 것을 한번라도  본 적은 없다.
*연부 연결너트를 돌려끼운다.
*17mm 복스알을  사용한다.
*19,17 번갈아 체결하기 귀찮아서 그냥 19복스알로 하는 경우도 있다. 연결너트는 그래도 된다.
*연부 연결너트 길이는 70이고 센타는 35이고 구멍의 끝에서 끝은 10이다.

*연결너트 구멍을 통해 세트 앙카와 전산볼트의 길이를 확인한다.
*구멍의 센터(35)까지 전산볼트를 넣는다.
*세트 앙카가 35, 전산볼트가 35 들어와야 검측에 통과가 된다.
*윗 쪽은 꽉 조으지 않는 것이 좋다.
*그래야 나중에 길이 조절이 쉽게할 수가 있다.(세트 앙카를 35만큼 정확하게 맞추기가 쉽지 않다.)

●다음은 반대편(아랫 쪽)에 셋팅하자.
*연부전산볼트에 샹크너트를 넣는다.
*연결너트를 35까지 넣는다.
*아랫 쪽은 35에 맞추어서  꽉 체결해 둔다.
*샹크너트는 19mm스패너로,연결너트는 17mm스패너로 잡고 꽉 조인다.
*노란색 테이프(마킹테이프)로  눈관리를 해둔다. 말이 좀 어렵지만,  끝에 노란 테이프를 붙여서 표시를 해 두어서 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다음 작업에 도움을 주고 안전에도 도움을 준다는 것이다. 그냥 안 떨어져 나갈 만큼 , 나중에 뗄 때 쉽게 떨어질 만큼의 정도로 붙이면 된다.
●반드시 1500으로 해야할까?
*그건 아니다.
*세트앙카 작업을 T/L 안에서 하고 전산볼트를 내려 두어야 하는데 작업자의 키를 고려했을 때 손들고 편하게 작업할 수 있는 길이가 1500정도에서 1800정도가 된다. *전산볼트 온 장이 3000이라서 1500으로 한 번에 2개를 자를 수 있고 한 면만 야스리, 징크 작업만 해도 되기에 1500으로 많이 한다.
*너무 짧으면 다음 T/L 작업 때  여러가지 간섭으로인해 어려움이 생긴다.
*간섭만을 고려한다면 그냥 온 장을 박아두는 것이 가장 좋다. 천장에서 3000 내려오면 거의 모든 간섭은 사라진다고 볼 수가 있다.
* T/L 안에서는 세트앙카에 전산볼트  3000을 연결할 수가 없다.길이가 길기 때문이다. 앙카 작업 후에 T/L을 옮겨야 한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