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설팀에서 95SQmm 접지 케이블 녹황색을 트레이 위에 포설하고 있다.
*아래에 있는 모선접지에 대한 트레이(tray) 시방서를 보자.
![](https://blog.kakaocdn.net/dn/buSGWa/btsHqZ5zTyx/Gk4VKMxo74E6xdgZWBOaa1/img.png)
*접지단자함으로부터 95SQ 접지 케이블을 고압, 저압을 구분하여 트레이 위에 포설한다.그리고 30M마다 35SQ로 분기 시킨다. 그리고 말단 부위도 단말을 해 주어야 한다
*포설팀이 트레이 위에 모선 접지 95SQ 접지를 쭉 깔아둔다.
* 그 다음은 우리 단말팀 차례이다.
●30M마다 분기 시켜 트레이에 접속하는 작업.
●95SQ 모선접지 말단부 단말하여 트레이에 접속하는 작업
● 이 두 작업이 우리 단말팀의 주 작업이다.
●먼저 모선접지 30M마다 분기 작업이다.
*시방서에는 30M마다라고 하지만 단말할 위치가 도면에 나와 있다.
*도면의 위치를 잘 보고 위치를 잡는다.
*정확한 위치라기 보다 도면의 위치와 비슷한 위치에 있는 트레이(tray) 연결 조인트를 잡으면 된다.
*95SQ에서 분기시킬 케이블은 35SQ로서 700정도의 길이로 준비한다.
![](https://blog.kakaocdn.net/dn/bZysMJ/btsHqm1weJj/yUlKKCWmZMt9GKsBuT6Stk/img.jpg)
*먼저 95와 35를 슬리브로 압착하여 연접한다.
-트레이 조인트에서 3번째 칸 중앙에 위치를 잡아 압착한다.
-먼저 트레이 2번째 칸에서 나오는 부위에 자재부쉬로 보양한다. 보통 ㄷ자로 하면 좋다
![](https://blog.kakaocdn.net/dn/J6r1W/btsHp47U2im/KLdtmVw8tPp3Gq0ftclom1/img.jpg)
- 트레이 조이트의 윗쪽 샹크너트를 14미리 스패너로 풀어두고 샹크너트는 길이가 좀 더 긴 홀다운 클램프용 샹크볼트로 교체하여 준비하여 둔다.
-미리 간섭되는 것들을 정리하여 둔다.
-95에 40,35끝단부에도 40을 피복 벗긴다. 돌돌이와 칼, 쪽가위를 사용한다.
- 슬리브는 95-35로 압착기 고마는185로.
- 압축시 95케이블이 아래, 35케이블이 위에로 나란히 놓고
![](https://blog.kakaocdn.net/dn/pgBk0/btsHqmf8RjK/peDHSuB3VpEnnb3F0EK2kK/img.jpg)
-1번쪽에 케이블타이를 살짝(가타이)
-슬리브를 95에 끼우고 35를 살짝 움직여서 옆에서 살짝 밀어서 슬리브에 끼운다.
- 슬리브는 열린 쪽이 트레이 바깥쪽으로 향하게 트레이 밖에서 슬리브를 보며 찍도록 한다.
-1번 케이블타이를 세게 고정한다.
-압착기를 트레이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넣고 압축기 벌어진 쪽을 트레이 옆에 서서 보면서 찍는다.
- 고마의 중앙 그리고 그 양 옆 총 3번을 압착한다.
-압축 후에 절연테이프 50%겹쳐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1회,
*그 다음 고무절연테이프도 동일하게,
*그 다음 녹황색 상테이프(난연테이프)를 50%겹처서 왼쪽에서 오른쪽,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왕복으로 감는다.
-연접한 부위 양 옆 트레이 렁에 370 케이블 타이를 친다.
※370케이블 타이를 트레이 옆 면에도 쳐 두어서 케이블을 휠 때 힘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연접 작업 끝났으니 이제는 케이블 정리이다.
-중요한 포인트는 터미널 부위에 직선 부위가 있어야 된다는 것.
-트레이 2번째 칸으로 35를 아래로 빼서
- 2번째칸 중앙에서 트레이 옆으로 (작업자 몸쪽)당겨서
-다시 위로 쭉 올린다.
![](https://blog.kakaocdn.net/dn/dfdraa/btsHpntBg1U/vxjrPpPbcDNWtE0Hcs6Ep1/img.jpg)
-손가락 2개의 간격으로 잡고
-90도 꺽어서
- 트레이 조인트의 샹크너트(윗쪽)와 직선이 나오게 맞춘다.
-케이블에 굴곡진 두 곳을 잡고
-시계 반대 방향으로
-180도 이상을 비틀어서
-케이블이 트레이 면에 붙도록 한다.
※많이 비틀어도 케이블이 제자리로 돌아가려는 성질이 있어서 괜찮다.
![](https://blog.kakaocdn.net/dn/ngyuC/btsHpaHKSpI/4JY7lcB6QiKPW8tJ4RvYkK/img.jpg)
-위에처럼 트레이 조인트 라인에 맞추어 케이블을 자른다.
-자를 때 보이는 몸 쪽이 높아지도록 케이블 컷터기를 잘 조절하여 자른다.
-컷터기는 항상 미리 몇 번 잘라보아서 방향을 잘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고 항상 미리 표시를 해 둠이 좋다.
-35SQ×1H은 19만큼 피복을 벗긴다. (본인의 컷팅 방법으로 수평하게 자랐을 때 높은 쪽 피복을 기준으로 19이다)
-19에 마킹 후에 돌돌이와 칼로 단말한다.
-이 치수는 사람마다 컷팅방법이 다르므로 사람마다 다르다. 그러니 스스로 미리 준비해 두어야 한다.
- 표준은 터미널에 꽉차고 터미널과 피복 사이가 최대한 밀착이다.
-터미널을 끼워보고 터미널에 케이블이 꽉차는 방향을 케이블과 터미널에 표시해 둔다.
-압축기로 터미널 배럴의 중심을 맞춘다
-글자 부분을 맞추면 거의 중심이다.
-터미널에 표시된 부분과 케이블의 표시를 잘 맞추고
-케이블쪽으로 힘을 주며
압축한다.
-압축은 1회한다.
- 아이캡을 끼운다.
단말 시험이나 시방서 등에는 아이캡을 먼저 끼우고 압착한다고 한다. 실제적으로 작업을 해 보면 아이캡을 먼저 끼우면 작업이 더 어려워진다.
-어쨌든 표준은 아이캡을 먼저 끼우고 압축한다는 순서를 기억해 두어야 한다. 이 때문에 단말시험에서 떨어지는 경우도 있다.
●홀다운클램프용 샹크볼트를 14미리 스패너를 사용하여 체결한다.
*케이블타이로 케이블을 정리하고 필요없는 케이블타이는 제거한다.
※참고로 아이마킹은 하지 않는다. 아이마킹은 상시 통전부위에만 하면 된다.
●이것으로 모선본딩접지 분기부위 단말은 마무리 되었다.
●95 말단 단말을 하자
-35랑 거의 동일하나 힘이 많이 더 필요하다.
-연접작업은 없다.
-미리 트레이 조인트 샹크너트 제거하고 홀다운클램프용 샹크볼트 준비.
-자재부쉬도 미리 끼워둔다.
![](https://blog.kakaocdn.net/dn/Gi832/btsHq2gZnwi/FSeNlPjVXr8xkxbLXkfLqk/img.jpg)
-위의 1번처럼 포설된 케이블을 두번째 칸에서 빼서 대충 대어 보고 트레이 조인트 중앙에 맞추어 자른다.
![](https://blog.kakaocdn.net/dn/eYos43/btsHruYAhHl/IxkqW3J7mNE5yL1VfYKVyk/img.jpg)
*35의 작업과 동일하게
*2번째칸에 자재 부쉬 대고
*2번째 칸에서 밑으로 나와
*렁에 케이블타이를 위에처럼 2개친다. 그리고 트레이 옆에도 친다
-95는 힘을 많이 사용해야 하므로 케이블타이를 튼튼하게 잡아 주어야 케이블을 휠 때 좋다.
*몸쪽으로
*그리고 위로
*손가락 2개 정도의 간격
*90도 꺽기
*반시계방향 180도 이상
비틀면서 돌리기
*트레이 면에 붙이기
*위의 2번처럼 트레이 조인트 면에 맞추어 자르기
*95SQ×1H는 높은 피복면에서 23에 마킹.
*돌돌이와 칼 가위 사용하여 피복 제거
*터미널 압착
*아이캡 끼움
*홀다운 클램프용 샹크볼트 체결.
●말단 단말도 이렇게 마무리다.
●이제는 95-95 슬리브 단말작업이다.
*95SQ모선접지 케이블을 처음부터 끝까지 쭉 포설하면 좋지만 대부분 그렇지 못하다.
*트레이 T나 클로스 부위에 즉 케이블이 겹쳐 연결하여 지나가는 곳에는 95-95슬리브로 압축하여 연결해 주어야 한다.
*95-95슬리브는 40mm 이고
*3회 찍는다.(중앙,끝단)
*고마는 185.
*찍는 요령과 테이핑 방법과 케이블타이 치는 위치는 위의 95-35슬리브랑 동일하다.
※95-95 C형슬리브에 케이블을 끼우기가 쉽지않다.
- 먼저 95케이블 위에 95케이블을 두고 케이블타이를 살짝(가타이) 친다.
- 아래 케이블에 슬리브를 먼저 끼우고 위의 케이블을 옆으로 살짝 당겼다가 슬리브에 밀어 넣으면 된다.
-쉽게 말하면 위에 케이블을 옆으로 밀어서 슬리브에 끼우는 것이다.
- 그 다음 가타이를 꽉 치고
- 압착하면 된다.
●95롱슬리브 작업이다.
*95롱슬리브는 80
*고마는 95를 사용.
-최소 4회는 찍어야 한다고 말한다.
-우린 5회로 찍는다.(끝단, 중앙,끝단과 중앙 사이)
●각 각의 케이블을 겹쳐서 직선이 되게 하고 컷팅부위를 마킹한다.
-컷팅
-각 케이블을 40씩 피복을 벗긴다.
-한쪽 케이블에 롱슬리브를 끼우고 끝단을 찍는다.
-다른 한쪽 케이블에 롱슬리브를 끼우고 끝단을 찍는다.
- 롱슬리브 중앙을 찍는다.
- 중앙과 끝단 부위의 중간을 각 각 찍어준다.
- 엠보싱 간격과 찍는 모양이 깔끔하게 나오게 한다.
-단말 후에 테이핑과 케이블 타이 위치는 동일하다.
-단말 후에 테이핑과 케이블타이 치는 위치는 위와 동일하다.
'단말작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95SQ모선접지+50SQ외함접지 연접 작용 시에 95-35 c형 슬리브로 압착해도 되네 (0) | 2024.05.18 |
---|---|
디지털 LCD 버니어 캘리퍼스(노기스)를 쿠팡에서 검색하다. (0) | 2024.05.16 |
LTG,GLTG,ULTG 판넬 단말 작업 (0) | 2024.05.13 |
단말작업하기 전 라인체크하기 (3) | 2024.05.11 |
배관, 후렉시블에는 방화폼으로 먼저 막고 실리콘으로 구서마감한다.피터치는 협의하여. (0) | 2024.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