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넬 중간에는 300짜리 중심 케이블이 들어와 있고, 그 좌우로 2차 케이블, 통신케이블이 들어와 있다.
*중간에는 이미 구서마감이 끝났다.
*좌우로는 우리가 단말하지 않아서 말이 많지만 구서하고 검측 진행하기로 했다.
*좌측에는 통신케이블이 후렉시블에 넣어서 들어와서 단말되어져 있다.
*우측에는 접지케이블이 들어와 아래 단자에 물려져 있다.
●좌우측 구서마감을 진행한다.
*이미 베크라이트판은 직소로 재단하여 맞추어져 있다.
●이제는 실리콘패드를 제작하여 재단하여야 한다. (이 경우는 이미 베크판이 재단된 상태이다.)
![](https://blog.kakaocdn.net/dn/edF7a2/btsKmUO5HWc/DAZkiz3doIkcZv9nP2efRk/img.jpg)
실리콘패드 145×170으로 재단.
*실리콘패드는 145×170으로 재단하여 준비한다.(베크판 사이즈와 동일하게)
*위에처럼 기준선을 잡고 여기를 기준으로 자로 체크하여 케이블 구멍을 재단한다.
*베크판의 있는 볼트는 그냥 실리콘패드로 덮는다. 나중에 볼트를 푸는 작업을 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볼트 위에 패드를 올려놓고 그 옆면을 베크판과 함께 실리콘작업을 한다.이 부분은 실리콘을 조금 두텁게 쏜다.
*이제는 실리콘을 쏘고 구서마감한다.
*케이블이나 후렉시블이 여러가닥일 경우에는 케이블 사이 사이에 먼저 실리콘을 조금 넣어서 케이블 사이 사이의 미세한 구멍부터 막아야 한다. 검측 시에 불빛을 비추어서 이 미세한 틈으로 빛이 새는 경우가 많다.
*그 다음은 실리콘패드 아래에 실리콘을 넣어서 베크판과 패드를 붙여둔다.
*케이블 주위에 실리콘을 쏜다.
*실리콘패드와 베크판 경계, 그리고 베크판과 판넬 경계에도 실리콘작업을 한다.
'단말작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덕트카바 덮기 및 덕트 구서마감,나사산가공 탭을 뺄 때는 역회전시키면서 뺀다. (4) | 2024.10.31 |
---|---|
구서마감 시 구획설정 안으로 들어오려면. (0) | 2024.10.30 |
앗! 실리콘의 종류가 다르네 (2) | 2024.10.26 |
WP로컬판넬 구서마감작업 (1) | 2024.10.24 |
실리콘을 쏘고 난 후에는 쓰레기봉투에 넣어두자 (0) | 2024.1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