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며칠 전부터 계속 통신트레이 작업을 하고 있다.
*금일 계획은 전산볼트를 걸고 행거까지 걸어보는 것이다.
*아침에 조금 늦게 현장에 도착하니 뭔가 시끄럽다.
*기존에 작업하시던 팀장님이 왔다.
*행거 치수 도면을 보여주며 타공을 이 도면대로 해야 한단다.
*지금까지 우린 이 도면없이 트레이 도면을 보며 임의로 적절하게 행거 위치를 잡아 타공을 했다.
*다시 작업을 해야 한다.
*도면대로 하는 것이 더 쉽다.

*빔에서 25에 타공을 한다.빔끝에서 25에 타공을 한다.
*이렇게 오전이 지나가고 오후이다.
*다시 전에 팀장님이 왔다. 레벨과 전산볼트 길이 등을 알려준다.
●먼저 행거치수 도면을 확인하는 것을 기억하자. 여기 도면에 앙카 위치와 타공 위치, 그리고 그네 길이, 행거 길이 등 꼭 필요한 내용들이 들어있다.
*없다면 어쩔 수 없지만 있다면 이 도면을 보며 작업하는 것이 쉽게 작업할 수가 있다.
728x90
'케이블 트레이 작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레벨 간격은 레이저를 사용하여 확인하면 좋다 (0) | 2024.12.11 |
---|---|
50×50×6t ㄱ형강(ㄱ앵글.행거)에 연부 전산볼트를 끼울 수 있다. (2) | 2024.12.10 |
도면에서의 90도 버티칼엘보는 어떻게 표현되는가? (0) | 2024.12.07 |
케이블트레이의 단관 최소한 얼마 정도일까? (0) | 2024.12.06 |
피팅류R값 400이네 (0) | 2024.1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