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케이블 트레이 작업

도면에서의 90도 버티칼엘보는 어떻게 표현되는가?

반응형

*도면을 보며 바닥먹줄매김을 하자

*300통신트레이 1단이라서 어려운 건 별로 없다.

*이번에 도면에서 만난 버티칼부분을 보자.

도면에서의 90도 버티칼엘보

*90도 버티칼엘보는 도면상에는 위와같이 표현되어진다.

*도면은 위에서 아래로 바라보고 그린 것이다. 다른 말로 하면 수평으로 잘랐다라고도 한다.

●1번은 버티칼엘보를 바닥에 90도로 세웠을 때 바닥면에 찍는 부분이다.

-트레이의 넓이와 높이이다.
-트레이 높이는 정해져 있다. 100이다.
-트레이의 넓이는 달라진다. 지금 여기는 450트레이므로 넓이는 450이다.
-직사각형 450×100그리고 ×자 표시를 하여 버티칼임을 명시한다. 90도 버티칼엘보일 때이다.
-버티칼의 각도에 따라 이 부분의 크기도 달라지나 가공되어지는 피팅류가 일정하기에 버티칼각도에  따른 이 부분의 크기도 정해져 있다.

●여기서 아래나 위로 90도로 떨어지거나 올라간다.
-떨어지는 지, 올라가는 지는 레벨을  보고 파악한다.

●2번은 90도 버티칼의 높이이기도 하고 R값이기도 하다.

*이부분은 400이다. 가공을 그렇게 한다.
*400을 반지름으로 하는 원호의 1/4이다.

*도면에서는 위에처럼 400×450의 사각형으로 표현되고
-이 끝부분이 엘보의 끝단면이고
-이 라인을 흔히 현장에서는 버티칼엘보의 목이라고 한다.

●4번은 90도 호리엘보이다.

●3번은 버티칼엘보와 호리엘보 사이의 단관이다.
-두 엘보 사이에 생기는 공간을 트레이를 짧게 잘라서 연결하는 데 이것을 단관, 단강... 이라고 현장에서는 부른다. 트레이 뿐만 아니라 다른 공정에서도 흔히 사용하는 용어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