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300통신트레이 FL1000이다.
*한 구간 정도 바닥 먹줄작업을 했는데... 바로 타공작업이다.
*타공 빔펀칭기와 마그네틱드릴을 사용한다.
*일본 제품인 빔펀칭기는 8T까지만 사용할 수 있다. 이 보다 두꺼운 빔은 마그네틱드릴로 타공해야 한다.
*레이저를 띄워두고
*여기서 50띄워 타공한다.
*전산볼트 치수는 이미 시공된 기존의 것을 보고 결정한다.

●피팅류 타공을 위해서는 피팅류의 끝단(목)을 잡아주어야 한다.
*먼저 피팅류의 R값을 확인하자.
*R값이란 피팅류의 호를 만드는 반지름 값이다.
*도면에서 확인하니 R값이 400이다.
●피팅류의 각 교차점에서 400가면 피팅류의 목이다
*R값을 도면에서 확인하고 실물도 그러한 지 확인하는 것도 중요하다. 피팅류가 도면과 다르게 가공되는 경우도 있다.
*우린 기존의 팀이 해왔던 것이므로 그냥 간다.
728x90
'케이블 트레이 작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면에서의 90도 버티칼엘보는 어떻게 표현되는가? (0) | 2024.12.07 |
---|---|
케이블트레이의 단관 최소한 얼마 정도일까? (0) | 2024.12.06 |
300통신트레이 바닥 먹줄매김 작업 (0) | 2024.12.04 |
300통신트레이 바닥 먹줄매김 작업 (0) | 2024.12.04 |
라인테이프로 눈관리는 무조건하자 (2) | 2024.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