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케이블 트레이 작업

수직 엘보(버티칼 엘보) 케이블 트레이의 목 행거는 조인트 부분에. 다른 버티칼 엘보류도 동일.

반응형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 수직 엘보(버티칼 엘보)의  목을  행거로 잡아 보자.
*어느 정도의 위치에 목을 잡아야 할까?
*수직엘보의 제작을 보면 스트레이트 구간이 100이고 100에 첫 렁이 붙고 여기서부터 바로 굽어지며 위로 올라가거나 아래로 내려 간다.쉽게 말하면 수직 엘보에서 스트레이트 구간이 100 밖에 없다는 것이다.
*스트레이트 구간에 조인트 가 80(조인트 160의 반은 80)을 차지한다. 나머지 스트레이트 구간은 20이 남는다.
*행거로 목을 잡으려면 스트레이트 구간 즉, 수평 구간이 있어야 한다. 그런데 수직 엘보 스트레이트 구간의 대부분이 트레이의 조인트가 다 잡아 먹는다.

*렁 넓이는 55, 반은 27.5
100-27.5=73.5
*73.5 사이에 50×50 ㄱ앵글 또는 75×75 ㄱ앵글을 넣어야 한다.
*50×50은 공간이 약 10정도의 여유가 있지만, 75×75는 공간이 부족하다.
  
●수직엘보의 목 행거는 방법이 없다. 조인트 부분에 행거를 달아야 한다.  수직엘보 시작점에서 35에 목 행거를 달고 홀다운클램프를 채운다.
*실제  현장에서도 조인트 부분에 목을 잡고 있다.
*도면에도 그렇다. 트레이선과 행거 선이 일치한다.
*수직엘보 in,out의 목 행거는 조인트부분에 건다. 그리고 10도 버티칼 엘보, 30도 버티칼 엘보, 45도 버티칼 엘보..등 버티칼 엘보류도 모두 다 동일하다. 제품 생산이 바뀌지 않는 한 다른 방법이 없어 보인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