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40 레이스웨이 45도 버티칼엘보에 대하여 알아보자.
![](https://blog.kakaocdn.net/dn/bAvMII/btsy0kkH3Iw/LwyKZ7hE5bSEomPvw5hK20/img.jpg)
*45도 버티칼엘보in과 out을 서로 맞붙여본다.
*버티칼in의 센터 즉,휘어진 꼭지점을 a라고 하고 버티칼out의 센터(꼭지점)을 b라고 하자.
*버티칼in의 꼭지점(a)에서 끝까지는 120이다.(아랫면 기준)
*버티칼out의 꼭지점(b)에서 끝까지 역시 120이다.
*버티칼에서 레이스웨이 바디가 삽입될 수 있는 지점이 있는 데 각 각 c,d라고 하자.
*버티칼in의 a~c까지 수평으로 가는 방향 쪽과 휘어져 올라가는 쪽 모두 다 각 각 30이다.꼭지점a에서 c까지(30)레이스웨이 바디를 삽입할 수가 없다.
*버티칼out의 b~d는 45도로 휘어져 올라오는 쪽과 수평인 쪽 모두 다 각각 15이다.
*버티칼in의 a에서 버티칼out의 b까지는 120+120=240이 된다.
![](https://blog.kakaocdn.net/dn/4EIWG/btsy0j7fHAU/aFAe06jjwmntEkatQYpoX0/img.jpg)
*바닥(버티칼in의 아랫면)에서 버티칼out의 아랫면까지의 높이를 재면 170이다.
*삼각함수(45도)를 대입하여 보면 역시 높이 170일때 빗변의 길이가 240이다.
*제작하는 회사가 참 정확하게 잘 만든 것이다.
●45도 레이스웨이(70×40) 버티칼 엘보의 단관 즉. in out의 45도로 꺽이는 부분에 넣어주어야 하는 레이스웨이 바디 치수를 계산해 보자.
*작업자가 알고 있는 정보는 2가지다. 45도 버티칼엘보
를 사용한다는 것과 도면에서 확인 가능한 높이(레벨의 차이)이다.
*레벨 차이가 200인 지점에 45도 버티칼 엘보를 설치한다고 하자.
*a~b까지의 치수
200(높이)×1.41=282
*a~c(30)과 b~d(15의 치수는 레이스웨이바디가 들어가지 않으므로 빼주어야 한다.
282-45(30+15)=237
*237를 잘라서 끼우면 된다.
●70×40 레이스웨이 45도 버티칼 단관 구하는 방식은 아래와 같다
*(레벨차이×1.41)-45
●다음은 위의 그림에서 버티칼in에서 수평방향쪽 c와 버티칼out에서 수평방향쪽 d까지의 치수를 알아보자.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치수를 적어보자.
30+170(45도에서 밑변과 높이는 같다 )+15=215
●위를 공식화하면 아래와 같다.
높이+45(30+15)
'레이스웨이작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와이어커넥터(wire connector )사이즈를 알아보자. (0) | 2023.10.26 |
---|---|
레이스웨이 결선 작업 시에 말단은 어디에? 통일을 시키자. (0) | 2023.10.25 |
70×40레이스웨이에서 엎 다운 구간(버티칼 구간)은 90도엘보를 사용하는 것으로 되어져 있다. (0) | 2023.10.23 |
단관 길이는 서포트(지지대)의 전산볼트와 전산볼트 사이 치수에서 100을 뺀다.70×40레이스웨이에서 (0) | 2023.10.22 |
전산볼트길이와 레벨의 관계(-40,+40) (0) | 2023.1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