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SQmm케이블을 위에서 아래로 입선하고 케이블을 엘(L)자 벤딩 후에 옆으로 단말을 하는 것이다.
*판넬 상부에서 케이블을 입선하고 트레이 위의 케이블을 어렌지(포설,배선)한 후 450케이블 타이로 고정한다.
* 판넬 상부에서는 케이블 클리닝(보수) 피터치 부착, 케이블타이로 케이블 고정 작업을 진행하고
●판넬 상부 케이블 인입부 구서 마감을 시행한다.
*먼저 베크판(베크라이트판) 가공

*위에처럼 20,20 50으로 마킹하여 재단한다
볼트 3개 있는 쪽이 뒷면.
볼트 2개 있는 쪽이 앞면.
*직소로 자른다.

*안쪽 라인 부분을 자르기 어려울 수도 있다.
*위에 2번처럼 비스듬히 완만한 곡선을 그리며 자르다가 직선부분으로 진입한다.
*또 다른 방법은 벽체 가공과 같은 방법으로 먼저 홀쏘로 타공 후에 직선으로 잘라내면 된다.
*공구를 2개 사용하는 것보다는 1개로 해결하는 것이 좋다고 보고
*현장에서는 비스듬한 곡선으로 가다가 직선으로 진입하는 방법으로 하고 있다.
●볼트로 베크판(베크라이트판)을 체결한다.
●실리콘패드를 580×130으로 자른다.
*되도록이면 반듯한 직사각형으로 자른다.(오차를 줄이기 위해)
*실리콘패드에 그리는 펜은 볼펜이 좋다.
*지울 때는 단멀팀에서는 흔한 물파스와 보루를 사용한다.

●견본(샘플) 만들기
*위에처럼 300SQmm 터미널을 사용하여 그리고 (황색)
*그 보다 약간 넓게 (5mm) 그려서 가위로 자른다.(적색)
*견본(샘플)을 항상 지니고 다닌다.

●실리콘패드 가공하기
*되도록이면 트레이 뒷면 즉, 베크판 뒷쪽에서 치수를 재는 것이 오차를 줄이기 쉽다.
*뒷면은 케이블타이로 트레이에 최대한 밀착시켰기에 오차가 작다.
*앞면에서는 케이블 1개 즉, 삼각포설 윗쪽 케이블을 기준으로 잡아야 하는 데, 케이블 자체가 약간 뒤틀린 경우가 있어 오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많아진다.
*실리콘패드를 위에처럼 케이블에 최대한 밀착하고
*위에 1번처럼 케이블과 케이블 사이를 센터로 잡아 실리콘패드에 마킹한다.
*실리콘패드를 뒤집는다.(마킹한 곳을 기준으로 아래 위로 뒤집는다.)
※옆으로 뒤집으면 안된다.

*위의 1번처럼 실리콘패드를 뒤집은 후에
*마킹한 점을 기준으로 직각자 등을 이용하여 1라인을 쭉 긋는다.
*2번처럼 케이블 센터에서 베크판 바깥면까지를 측정한다.
*대부분 45~50정도가 나온다.
*매 번 측정하는 것이 가장 좋지만 그냥 50이라고 정해도 큰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위의 1번처럼
*뒤집고
*마킹한 것 기준으로 수직선 긋고
*50으로 수평선을 긋는다.
*300SQmm×3C견본을 맞추고서 그리고
* 가위로 오려낸다.

※주위할 점은,
*수평선 라인에 터미널 라인을 맞추고
*수직선에 케이블과 케이블 사이 센터와 삼각포설의 윗쪽 케이블의 센터에 맞추는 것이다.
*위의처럼 하여 그리고 자른다.
*자를 때 가위 끝쪽을 이용하여 조금씩 자르면 곡선을 오려내기가 쉽다. 가위를 깊게 넣어 자르는 것보다 가위 끝 쪽을 이용하여 오려내는 편이 더 좋다.
'단말작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장에서 흔히 사용하는 후크메타(클램프미터)에 대하여 알아보자 (1) | 2024.07.27 |
---|---|
메가(테스터기),절연저항계,메가링,라인체크,도통테스트에 대하여. (6) | 2024.07.24 |
판넬 안으로 케이블 입선 시에 케이블 상 배열(어렌지) 순서 (1) | 2024.07.19 |
판넬내 삼각포설 좌측은 갈색(L1),우측은 회색(L3)을 위로 한다 (0) | 2024.07.17 |
단말할 케이블을 원하는 모양이 나오도록 케이블커터기로 자르기 (0) | 2024.0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