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단말작업

현장에서 흔히 사용하는 후크메타(클램프미터)에 대하여 알아보자

반응형

*후크메타는 클램프미터, 후크,테스터 등으로 불리우지만 정확한 명칭은 클램프미터이다.
*후크메타란명칭은 후크처럼 생긴 것이 있다하여 그렇게 불린다는 설도 있고, 제조사의 명칭인 히오키에서 유래되었다는 설도 있다. 

*현장에서는 후크메타라고 하고 있다.

*전류를 측정하는 것이 주된 기능이다.

*전기는 안보이고 냄새없고 소리도 없다  그러므로 조심해서 다루어야 한다.

*전기는 마치 생명체인 것 처럼 죽었다  살았다는 표현을 쓴다.

*살아 있고 우리 주변에 매우 가까이 존재하지만 보이지도 냄새도 소리도 없는  존재, 즉 강력한 힘을 가진 투명인간과 같은 존재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반드시 기계를 통해 상태를 확인하고 작업에 인해야 한다. 우리의 안전을 위해서...

● 현장에서 흔히 후크메타라고 불리는 것에 대해 알아보자.

*명칭
1.로터리 스위치
2.OFF
3.~A/Flexible 교류전류/플렉시블 센스.
4.~V 교류전압
5. 직류 전압
6.저항/부저(도통테스트)
7.HOLD 누르면 액정의 표시가 고정된다.
8.저항/부저, 교류전류/ 플렉시블 센스
9.Jaw(조),후크.클램프,
10 .레버
11.액정표시창
12.테스트 리드선 또는 플렉시블 센스의 플러그
 
●아래는 현장에서 흔히 사용 중인 3280-10F AC클램프미터(후크메타) 사용설명서이다. 파일도 있으니 필요하면 다운로드....

 

 

3280H964-02.pdf
2.08MB
Catalog 3280-10F_kr (1).pdf
0.97MB

 

●후크메타의 가장 중요한 기능인 교류전류 측정을 보자.
*현장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이 되도록 한 것이 이 기능일 것이다.
*원래 전류계는 회로에 직렬로 연결한다. 그래서 전류를 측정하려면 회로를 죽이고, 전류계를 직렬로 연결하고 다시 살려서 측정하여야 한다. 또한 전류계를 제거 시에도 다시 회로를 죽였다가 살려야 한다.
 
*이 번거로움을 해결한 것이 후크메타이다. 
*후크메타는 전기가 흐르는 곳에 자기장이 형성되고 자기장이 있는 곳에는 유도전기도 존재한다는 것을 이용한 것이다. 
 
*그냥 클램프(후크)를 벌려서 살아있는 1개의 전로에 걸어준다.
*1개의 전로를 후크 중앙에 위치하게 하라고 설명서는 말하고 있다.
*반드시 한 전로에만 걸어야 한다.
*현장에서는 L1또는 L2또는 L3중 하나에만 걸어야 한다.
*만약의 2개 즉, L1과 L2를 동시에 후크에 걸면 값은 0가 된다. 앙페르의 오른손법칙에 의해 자기장이 서로 상쇄해서 값이 0가 된다
*전로를 따라 흐르는 전류에 의해 주위에 자기장이 발생하는 데 이것을 후크가 잡아주고 이것을 계산하여 실제 흐르는 전류의 값을 표시해 주는 기능이다.
*전류가 항상 일정하게 흐르지 않고 미세한 변화가 있음으로 인해 실제의 표시되는 전류값도 시시각으로 변화함을 볼 수가 있다.
 
*후크메타의 로터리스위치(1번) 를 ~A/Flexible교류전류(3번)으로 돌린다.
* 레버(10번)을 눌러서
* 후크,Jaw(조).클램프(9번)를 열고
*후크를 전로 1개에만(예:L1) 물린다. 반드시 1개의 전로만, 단상일 때도 마찬가지임.
* 다시 레버(10번) 놓아서
* 후크,Jaw(조).클램프(9번)를 닫는다.
*HOLD (7번)누른다, 액정표시창이 정지 된다.
* 액정표시창(11번)을  읽는다.
* 다시 HOLD (7번)누른다.
 
*조작은 간단하다. 그래서 현장에서 가장 흔히 사용하는 것이 된 것이다.
 
*반드시 주의할 것은 전기가 살아있는 상태(활선)라는 것을 기억하고 감전에 주의한다.
*더 자세한 것은 아래 동영상을 참조...
https://youtu.be/o6f9KdU9Rg8?si=gUgy2FKuT7hOEnsd

 

 
https://youtu.be/-EqMEhAJyqA?si=H8yz06_XvMnF5BnA

 

 
*다음은 테스트랑 모두 동일하다.
 
●교류전압 측정 ●
*흑색과 적색 리드선을 
* 테스트 리드선  플러그(12)에 삽입한다.흑색은 흑색 COM에 적색은 적색에.
* 로터리 스위치(1번)을 
*~V 교류전압(4번)에 맞춘다.  
*두 리드선침을 각 각의 상(예:L1과 L2)에  댄다.
*액정표시창(11번)을 읽는다.
*전압계는 회로에 병렬 연결이므로 그냥 찍으면 된다.
*교류전압계이므로 극성은 상관없다.
*감전에 주의하자.
 
*그 외에 자세한 아래 동영상으로...
https://youtu.be/wpKSemrIfUU?si=ntlJUoviCho5Ycap

 
 

●직류전압측정 ●
*단순히 밧데리 전압을 측정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직류는 극성이 있다.
*적색 +
*흑색 -
*사실은 극성이 바뀌어도 상관없다. 그냥 -로 표시될 뿐이다.(예:-24볼트)
 
*각 각 리드선침을
*밧데리를 예로
*적색을 +에
*흑색을 -에 찍는다.
*액정표시창을 읽는다.
*-값이 나오면 극성이 바뀐 것이다.
 
 
●도통테스트 ●
*로터리 스위치(1)를 저항/부저(6)으로 돌린다.
* 저항/부저, 교류전류 /플렉시블센스(8)에서 부저를 선택한다.
*각 각 리드선 침을 각 각의 케이블에 댄다.
*부저가 울리는 지를 확인한다.
*부저가 울리면 케이블은 연결된 것이고
*부저가 울리지 않으면 연결이 끊어진 상태이다.
 
*전원이 끊은 상태에서 작업을 한다.
*여러 개의 케이블 중에 한 쪽에서 두 개의 케이블을 연결하고
*다른 반대편에서 케이블을 모두 다 찍어보며 소리나는 케이블 두 개를 찾으면 된다.
 
**현장에서 많이 사용하는 작업 중에 하나이다.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동영상에서...
https://youtu.be/opGbNgGHArc?si=W975nTVgmYwEUTwO

 

●저항측정 ●
*전원 OFF상태에서 실시한다.
*로터리 스위치(1)를 저항/부저(6)으로 돌린다.
* 저항/부저, 교류전류 /플렉시블센스(8)에서 저항을 선택한다.
*각 각 리드선 침을 각 각의 케이블에 댄다.
*액정표시창에을 읽는다.
 
●OFF ●
* 로터리 스위치(1)를
*OFF(2)로 돌린다.
 
*참조하면 좋은 동영상
 
https://youtu.be/7Dq4heM45HE

 

 
 
 ●마지막으로 후크메타 구입처를  링크를 남긴다.
https://link.coupang.com/a/bLn900

히오끼 클램프테스터 디지털 3280-10F 4160160

COUPANG

www.coupang.com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