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판넬에 입선하는 작업중이다.
*포설팀이 케이블을 포설하여 판넬 거의 바로 앞까지 갖다놓고서는 작업을 마무리한다.
*그 다음은 우리 단말팀이 입선작업을 진행하고, 단말작업,구서작업을 한다.
*대부분의 경우 케이블이 직선으로 쭉 오다가 판넬 부분에서 90도로 꺽어서 입선된다.
*트레이도 마찬가지로 쭉오다가 90도로 분기한다.

*위에처럼 쭉가는 케이블과 90도로 휘어서 입선하는 케이블이 겹친다.
*이렇게 겹쳐지는 부분에는 실리콘패드로 보양을 해준다.
●그렇다면 300SQmm 케이블 3개가 3각포설되었을 때 이것을 실리콘패드로 보양한다면 이것의 넓이는 어느 정도로 하여 감싸야 할까?
*너무 길지도 너무 짧지도 않게.... 현장에서는 대충 이렇게 한다. 문제될 것은 없다.
*실리콘패드를 190mm 정도로 자르고 필요한 길이로 자른다.
*이 넓이로 감싸면 약간의 공간이 생긴다.
*정답은 아니다. 작업 시에 이렇게했다는 것이다.
*실리콘패드를 케이블에 둘러싼다.
*450케이블타이를 케이블에 먼저 살짝 걸어둔다
* 케이블타이를 실리콘패드로 끌고가서 실리콘패드를 고정한다.
*쉽게 작업이 되는 위치라면 그냥 쉽게 작업하면 된다. 위의 경우는 한 손도 겨우 사용할 수 있는 위치일 때이다.
728x90
'단말작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말 구서마감작업과 방독면, 보안경, 내화학장갑, 비눗물,실리콘통, 투광등 (1) | 2024.10.04 |
---|---|
단말 케이블 입선작업 시에 트레이 렁을 빼고 하다. (0) | 2024.10.02 |
구서마감 펀치작업,끝까지 확실히 밀자. (0) | 2024.09.23 |
3M방독마스크 착용방법 및 방독정화통 부착방법, 교체방법,교체시기.보관방법 (2) | 2024.09.22 |
현장에서 흔히 사용하는 플라스틱파레트 규격은 1100×1100×150, 폐케이블은 1000으로 절단 (1) | 2024.09.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