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블 트레이를 올릴 차례이다.
*케이블 트레이를 가공할 때, 렁과 렁 사이의 간격이 300을 넘지 않도록 해야 한다.
●그러면 어떻게 가공해야 트레이의 렁과 렁 사이 간격이 300을 넘게 될까? 이러한 경우의 수를 알아보자.

*케이블 트레이 기성품의 렁 간격을 보자
100,300,500.....2900+100=3000
*렁이 100부터 시작한다. 기성품과 기성품을 그대로 연결하면 100+100=200이 되어 모두 200 간격이 된다.
●사실 이러한 제품으로 렁 사이의 간격을 300이상으로 맞추기는 쉽지 않다.
*트레이의 어느 부분을 잘라도 렁에서잘린 부분까지가 200이상이 안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기성품의 100간격을 붙여도 렁 사이가 300이 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한쪽만이라도 기성품을 그대로 사용한다면 300이상을 넘길 수가 없다.
*그러므로 일반적으로 이 부분은 크게 염려할 부분이 못 된다.
●렁과 렁 사이가 300이상이 될 수 있는 경우는?
*렁의 원래 위치에서 렁을 제거하고 위치를 변경했을 때는 렁 간격이 300이상이 되는 경우가 생길 수가 있다.
*기성품의 양쪽을 모두 다 가공하고 가공한 쪽과 가공한 쪽을 서로 연결하는 경우라면 300이상인 경우가 생길 수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렁 사이가 300이 넘지 않는지 잘 계산하고 확인해야 한다.
●그러므로 트레이를 가공할 때는 가능하면 한쪽은 기성품 그대로 살리는 것이 좋다.
●렁 위치를 변경할 때는 100이상을 이동하지 않도록 하고 렁과 렁 사이가 300이 넘지 않도록 확인하는 것이 좋다.
'케이블 트레이 작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홀다운클램프의 위치는 35또는 110 (2) | 2024.12.18 |
---|---|
통신케이블트레이에 삼부전산볼트 사용 괜찮나? (1) | 2024.12.18 |
케이블 트레이 설치 높이(레벨) 시공 오차 범위 (허용오차범위) ±50mm이내 (1) | 2024.12.16 |
레벨 간격은 레이저를 사용하여 확인하면 좋다 (0) | 2024.12.11 |
50×50×6t ㄱ형강(ㄱ앵글.행거)에 연부 전산볼트를 끼울 수 있다. (2) | 2024.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