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우리팀은 지금 300 통신케이블 트레이를 시공 중이다.
*기존의 다른 팀이 시공하던 것을 이어받아 하고 있다.
*최대한 기존팀이 한 것과 동일하게 하려고 한다.
*그런데 이상한 점을 발견했다. 대부분의 경우 모든 케이블 트레이 시공 시에는 연부전산볼트를 사용한다
*통신트레이도 그렇다. 아무리 300트레이일지라도 연부전산볼트를 사용한다.
*삼부전산볼트는 R/W(레이스웨이) 시공 시에 사용한다.

● 지금 여기 삼성 현장에서는 통신트레이에는 삼부전산볼트를 사용하고 있다.
●위에처럼 빔에 타공을 하여 삼부 전산볼트를 내리고
*행거를 달고
*그 위에 통신 트레이를 올린다.
●통신케이블트레이에 삼부전산볼트 사용 괜찮나?
●전체가 그렇게 시공되어져 있으니 아마 그렇게 하라는 지시가 있었나보다.
*하라는 대로 시공을 이어간다.
728x90
'케이블 트레이 작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홀다운클램프 채울 때는 레이저레벨기로 트레이 옆면을 맞추어 일직선이 되게 하자. (1) | 2024.12.19 |
---|---|
홀다운클램프의 위치는 35또는 110 (2) | 2024.12.18 |
케이블 트레이의 렁과 렁 사이 간격이 300을 넘게 하지 않으려면. (0) | 2024.12.17 |
케이블 트레이 설치 높이(레벨) 시공 오차 범위 (허용오차범위) ±50mm이내 (1) | 2024.12.16 |
레벨 간격은 레이저를 사용하여 확인하면 좋다 (0) | 2024.1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