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레이 레벨을 확인하여 보기로 한다.
*일단 FL1000지점을 확인부터 하여야 한다.
* 이 지점이 있어야 현장 전체의 레벨을 통일 시킬 수 있다. 현장에 여러 팀 여러 공정이 함께 하기에 서로가 다른 레벨 기준을 사용하면 문제가 생긴다.
*FL이란 floor level로 건물 바닥을 기준으로 하는 레벨이다. 사실은 건물 바닥을 칠 때 사용한 기준점이다. FL1000이란 1000지점에서 0을 마킹하고 바닥을 칠 때 이 0까지 바닥을 치는 것이다. 이렇게 완벽하게 바닥 공사를 한다면 바닥에서 잰 레벨과 FL1000에서 잰 레벨은 동일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바닥을 이렇게 완벽하게 치지 못하여 울퉁불퉁 레벨이 달라진다.
*그래서 바닥 공사를 믿지 못하여 FL1000을 여전히 레벨의 기준으로 삶는 것이다.
●케이블 트레이 레벨에도 역시 허용오차가 있다.

●이 현장은 확실히는 모르겠으나, 삼성현장에서 나오는 품질체크리스트에는 위와같은 내용이 나온다
*케이블 트레이 설치 높이의 시공오차(허용오차) 범위가 ±50mm로 나온다.
*현장에서 작업하는 작업자들의 생각보다 상당히 넓은 범위이다.
*사실 현장에서는 1,2mm로 다툰다.
●사실 레이저레벨기로 정확하게 시공하는 것이 맞다.
*그렇지만 어쩔 수 없이 허용 오차가 필요하게 된다면 ±50mm이다. 그리고 생각보다 범위가 넓다는 것을 기억하자.
*그래서 검측 시에도 육안으로 쓱~봐서 괜찮으면 그냥 간다.
●금일 레벨을 확인하니 5~10mm정도의 오차이다. 이 정도는 아래에서 육안으로 보았을 때 표시가 나지 않는 정도다.
●1mm 조차도 허용하지 않는 정확한 시공을 하는 것은 맞다. 그러나 어쩔 수 없이 허용 오차를 따져야 하는 경우라면 생각보다 오차 범위가 넓다는 것. 기억하자.
*사실 이러한 사실들은 위에서 하라면 할 수 밖에 없는 내용이다. 별로 쓸모가 없다 내용이라는 것이다.
'케이블 트레이 작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신케이블트레이에 삼부전산볼트 사용 괜찮나? (1) | 2024.12.18 |
---|---|
케이블 트레이의 렁과 렁 사이 간격이 300을 넘게 하지 않으려면. (0) | 2024.12.17 |
레벨 간격은 레이저를 사용하여 확인하면 좋다 (0) | 2024.12.11 |
50×50×6t ㄱ형강(ㄱ앵글.행거)에 연부 전산볼트를 끼울 수 있다. (2) | 2024.12.10 |
행거치수도면으로 다시 타공하다.빔에서 25타공. (1) | 2024.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