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레이스웨이작업

레이스웨이 디밍선 작업에 대해서

반응형

삼성 고덕 현장에서는 새로운 등을 설치 중이다. 전에는 그냥 레이스웨에 등을 쭉 달아서 불을 밝혔다.요즘은 등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디밍 작업을 추가로 한다. 처음 하는 것이라 헤갈리는 부분도 많다.
디밍 작업을 하면서 고민했던 것을 적어본다.
디밍선을 작업을 하기 전에 먼저 일반등선과 비상등선 그리고 ups등선을 입선하고 불을 모두 밝혔다.
200짜리 수평칸막이를 재단한다.
금구에 2개 로크너트를 끼운 후에 금구를 200수평칸막이에 끼운다
다시 금구에 로크너트 1개 부싱을 채우면 1세트가 완성된다
200수평 칸막이 세트를 등 구멍에 맞추고 디밍선을 넣고 다음 등까지 점프 시킨다.
그리고나서 검측을 받는다
검측 끝나면 다시 200과 200 사이에 남은 수평칸막이를 넣고 레이스웨이 카바를 덮고 카바밴드를 채운다. 카바밴드는 3000에 3개씩 채운다고 한다.그래서 양 옆에서 300 한 개씩. 중간1500에 한 개를 채웠다
이제는 고민했던 것이다.
1.금구에 로크너트 2개를 먼저 넣었는데 이것이 카바를 덮을 때 불쑥 튀어나오게 만든다. 그래서 카바가 제대로 덮이지 않는다.  가장 이상적인 것은 현재 사용 중인 금구를 더 짧은 금구로 교체하고 위에는 로크너트를 채우지 않는 것이다.  인터넷에 검색해 본 결과로는 짧은 로크너트가 판매되고 있다. 관리자들이 게을러서 모른 척하는 것이다.
2. 디밍선을 도면을 보고 제작을 하는데 짧은 경우가 있었다. 그래서 넉넉하게 왠만하면 긴 것으로 작업을 한다. 짧으면 다시 철거하고
재작업을 해야하는데 여간 까다로운 것이 아니다. 특히 작업 환경이 좁아서 더욱 그렇다.
긴 것으로 하고 나면 카바를 덮을 때 문제가 된다. 긴 디밍선을 겹쳐서 정리를 하는데 ... 그러면 카바가 제대로 덮이지 않는다.
작업을 하면서 길이를 정확하게 재서 디밍선을 하나 하나 재단하여 제작한다면 좋을 것이다. 이렇게하면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제작이 빠르게 되지 않기 때문이다.
참 애매한 문제다.
3. 수평칸막이를 덮을 때를 고려하여 일반등선과 비상등선 ups등선을 최대한 줄여야 하고 고르게 펴야 한다. 똘똘 뭉쳐 테이프 칠을 하거나  와이어컨넥터 부분이 뭉쳐져 있거나 하면 수평칸막이 작업은 어렵다.정션박스도 마찬가지이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