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레이스웨이작업

레이스웨이 행거 길이 계산

반응형

레이스웨이 작업이다.
삼부 앙카를 박아 천정에 매달아야 하지만 이 번에는 다르다. 빔에 구현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단다.
빔 클램프를 사용하면 쉬울텐데.... 빔 클램프는 사용하지 마란다. 빔에 타공을 해서 하란다. 어쩔.....
먼저 도면을 보고 레이저로 위치를 잡고 타공을 한다. 빔에 바로 타공하여 내리면 최고의 방법이지만 위치에 따라서는 대부분 빔을 그대로 써 먹을 수 없다. 빔에 찬넬로 서포트를 대고 서포트에서 전산볼트를 내려서 행거를 달아야 한다.
타공을 하고 180 욘부 전산볼트로 3000짜리 시스템찬넬을 달고 찬넬과 찬넬은 찬넬 연결대를 사용하여 연결하고 원터치 볼트로 찬넬연결대를 고정했다. 행거를 길이를 재야 한다. 행거 높이는 83이다. 레벨은 3950. 그러면 행거의 전산볼트 길이를 얼마로 해야 하나?
행거 세트를 만든다. 삼부 너트+행거+ 삼부너트.....위로 가서.... 삼부너트+이형와샤(사각절곡와샤)+시스템찬넬+이형와샤+삼부너트의 순서이다.
행거의 높이 83
행거 위 여장 길이(너트 포함) 20
시스템찬넬 위 여장 길이 23
시스템찬넬 40
그러면 행거에 달 삼부 전산볼트 길이는?
시스템 찬넬 아래 부분에 자를 달아서 레벨을 잰다.
예:4600
도면의 레벨 3950.
삼부전산볼트 길이는 4600-3950=650
이론적으로는 650이다.일단 650으로 하나를 잘라서 세트를 만들어 달아보고 레벨을 찍어 본다. 거의 맞다. 똑같이 몇 개 더 만들어서 단다. 수치를 자세히 보자
도면의 레벨은 행거 아래 부분에서 바닥까지이다. 시스템에 달아야 하니 시스템 찬넬에서 바닥까지의 길이에서 도면의 레벨을 빼면 된다
행거높이 83
행거위 여장 길이 20
시스템 찬넬 40
시스템 찬넬 위 여장 길이 23
83-20-40-23=0
(시스템찬넬 아래에서 바닥까지 레벨-도면의 레벨-63+40+23)
그러므로 시스템 찬넬 아래에서 바닥까지 레벨을 재고 도면의 레벨을 빼면 된다. 현장마다 사람마다 여장 길이는 조금씩 다르다 지금 우리는 조금 긴 편이다.
이렇게 행거를 달고 나면 이제는 레이스웨이 바디(몸체)를 건다. 바디와 바디는 쪼인트로 연결하고 드라이브로 볼트를 쪼아주면 된다. 드릴이나 임팩으로 해도 되지만 싫어하는 사람이 있다. 너무 세서 밖에 보기가 싫기 때문이다.
실질적으로 바디를 걸 때 도면을 보고 등의 간격을 조절해서 바디를 걸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등을 달 때 마다 22미리 홀쏘로 구멍을 내야 한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