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워키 충전 마그네틱 드릴 사용법을 사용 설명서를 토대로 봅니다.
*10T이상 되는 빔을 타공할 때 마그네틱 드릴을 사용하고 있다.덜 두꺼운 것은 충전용 유압 펀칭기를 사용한다.

*위의 사진은 밀워키 충전 마그네틱 드릴 세트이다.마그드릴이라고 약칭하기도 한다.무선이고 밧데리를 사용한다.현장에 이 세트 전체가 공급되는 것은 아니다.위에서 동그라미는 현장에서 보지 못했고,대신에 드릴 자동 시 분진이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커버와 라쳇바(깔깔이바)가 추가 되어지고 pp로프로 이탈 방지끈을 달아 두었다.실제 지금 현장에서 그렇다는 것이다.

*위의 사진은 완전히 동일하지는 않지만 비슷한 유선 밀워키 제품이다. 전원스위치,작업용 핸들,회전형 자석조절기, 척 등이 자주 사용하는 것이다.
*다음은 밀워키 충전 마그네틱 드릴 사용 설명서에 나오는 내용이다.

*위의 것은 브로치커터나 일반 드릴 척을 끼우는 방법이다.
*작업용 손잡이를 돌려 헤드 부분을 위로 올린다.
*브로치커터에 포인트핀을 삽입한다. 중요하다
*헤드를 반시계방향으로 돌리고 브로치커터(포인트핀과 함께)를 끼운다.
*브로치커터에 있는 평면을 잘 맞추어 넣으면 쉽게 들어 간다.
*브로치커터란 마그네틱드릴 전용 비트라고 생각하면 된다.

*위는 작업용 핸들을 장착하고 분리하는 방법이다.
이것을 분리하여 반대쪽에 장착할 수도 있다. 작업 위치에 맞게 분리하여 장착하고 사용하면 된다. 중앙에 있는 작은 버튼을 누르면서 빼고 장착하고 하면 된다.

*위의 것은 브로치커터와 일반드릴 척 중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것을 선택하여 돌리면 된다.위에 모양(A)이 브로치커터이고 아래 모양(B)이 일반드릴 척이다.
*현장에서는 대부분 브로치커터를 사용하고 있다.

*위에 처럼 자력조절기를 시계방향으로 완전히 끝까지 돌리면 자석에 힘이 생기고 성인 2,3명이 매달려도 될 만한 힘이 생긴다. 자력이 완전히 생기지 않으면 드릴이 작동하지 않는다.
*이것은 밧데리와 무관하다.
*전자석이 아니고 영구 자석을 사용한다.
*밧데리가 없거나 다 떨어져도 자력은 유지된다.
*자력조절기를 반대로 돌리면 자력은 사라진다.

*위는 전원스위치이다.
*먼저 자력을 완전하게 조절한 후에 전원 스위치를 당겨서 뺀다. 그러면 마그네틱 드릴이 작동한다.
* 전원스위치를 쑥 밀어 넣으면 작동은 멈춘다.

*LED램프 스위치를 켜면 헤드 쪽에 불이 들어온다.

*타공 작업이 끝나면 작업용 핸들을 돌려서 헤드를 위로 올리고 전원스위치를 밀어 넣어 전원을 off시킨다.
*자력조절기를 돌려 자력을 없앤다.
* 손잡이를 잡고 이동한다.

*위의 사진을 보며 실제 작업 순서를 보자
*위의 빔 타공을 한다고 가정하자
*빔 위에 타공 위치를 마킹한다.
*한 손에는 2번 자력조절기를 잡고 한손에는 손잡이.. 등을 잡고 올려서 1번 브로치커터를 마킹 자리에 맞춘다
*한 손으로 잡은 2번 자력조절기를 돌려서 자력을 완전히 생성시켜서 빔에 마그네틱 드릴을 부착한다.
*그 다음은 pp로프로 된 이탈방지끈을 상부에 묶는다 *3번에 라쳇바로 묶어서 드릴을 고정한다.
* 4번 보호 커버를 붙인다. 자석으로 되어져 있어서 잘 붙는다.
*철 가루가 바닥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방지포를 설치한다.
* 개인보호구, 보안경,헤드랜턴 ,방진마스크, 귀마개(..),자상방지장갑을 착용한다.
*5번 전원스위를 당겨 on하고 6번 작업용 핸들을 돌려 타공을 한다.
*타공이 완료되면 6번 작업용핸들을 돌려 올리고 5번 전원스위치를 눌러 off 시킨다.
* 이렇게하면 마그네틱 드릴을 사용한 빔 타공작업이 끝난다.
●다음은 주의 사항이다●
*브로치커터를
마그네틱 드릴에 결합 시 반드시 포인트핀과 함께 결합해 사용한다
*포인트핀 없이 체결해 작업하는 경우
-타공 부위 센터잡기가 어렵다.
-절삭유 미적용
-찌꺼기 제거 불가
-기계 과부하로 인한 고장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영구 자석을 사용하고 전기 없이 자력이 발생된다. *최대8890N(뉴턴)의 자력으로 작동, 성인 두 세사람이 매달려도 떨어지지 않는 힘이다.
*무선이고 충전용이다
*절삭유 담는 통이 분리형이고 자석으로 되어 있다.
*작업용 핸들이 분리가 된다.작업 위치에 맞추어 이쪽 저쪽에 끼우면 된다.
*LED를 켜면 어두운 곳에서도 작업 가능하다.
*영구자석을 작동시켜야 드릴이 작동된다.
*자력 조절기의 자석 표시와 드릴의 자석 표시가 일치되도록 완전히 돌린다. 그래야만 드릴이 작동한다.
*무선인데 어떻데 전자석을 이용했을까? 사용하다가 밧데리가 떨어지면 어떻게 하나? 이 제품이 그냥 떨어지는 것일까?라는 생각이 들 때가 있다. 밀워키는 전자석이 아니라 영구 자석을 사용한다. 밧데리와 상관없이 자력이 유지된다.
*마지막으로 밀워키 충전 마그네틱 드릴 사용 설명서 파일을 첨부합니다. 다운로드하여 사용 바랍니다.
'케이블 트레이 작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케이블트레이(cable tray) 레듀샤(reducer) 방향은? (0) | 2023.07.17 |
---|---|
밀워키 충전 전산볼트 커터의 사용법과 사용설명서 파일 (1) | 2023.07.14 |
충전식 유압 마끼다 홀 펀칭기 사용 방법 및 취급설명서 파일 (0) | 2023.07.11 |
사이드클램프50,홀다운클램프35/케이블 트레이(cable tray)작업 (0) | 2023.07.10 |
케이블트레이 본딩접지점퍼 설치하기 (0) | 2023.07.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