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 현장에서 사용하는 전동 공구이다. 충전식 유압 마끼다 홀 펀칭기!! 일반적으로 그냥 펀칭기라고 부른다.
*펀칭기가 현장에 없었을 때는 보통 홀쏘로 타공을 했다. 지금은 거의 모두 다 펀칭기로 해결한다.
*펀칭할 수 있는 두께는 8T까지라고 한다.
*ㄷ형강이나 ㄱ앵글(형강)을 타공할 때 많이들 사용한다.
*빔을타공할 때는 마그드릴로 타공한다.마그네틱 드릴을 마그드릴이라고 한다.
*위의 사진이 바로 현장에서 사용 중인 펀칭기다. 무겁지만 한 방에 시원하게 타공이 되니 좋다. 여름에는 들기만해도 땀이 주럭 주럭 난다. 사진은 인터넷에서 복사해 왔다
*위의것도 인터넷에서 찾아 왔다. 명칭도 모르고 사용하다가 이것을 보고 조금 알게 되었다. 많이 사용하는 것을 보자.
*7번 스트리퍼: 위의 사진의 1번 노란색 부분이다. 센터에서 35씩, 전체가 70이다. 타공할 물체의 센터를 맞추기가 어려울 때가 있다. 이 때는 타공할 부분에 마킹하고 센터에서 다시 35를 마킹한다. 이 35에 스트리퍼를 맞추어서 타공한다.
*9번 슬라이드 스토퍼:타공을 구멍의 깊이를 조절한다. 육각렌찌로 풀고 깊이를 조정하고 다시 조으면 된다.
*10번 리턴레버: 타공 작업 진행 중에 문제가 생겨 다시 처음 위치로 돌릴 때 사용한다. 반시계 방향으로 돌린 후 즉시 스위치스티거를 잡아 주면 처음 위치로 되돌아간다.
*12번 스위치 트리거는 총의 방아쇠 같은 것이다. 이것을 사용하여 타공을 한다. 단순하게 처음부터 끝까지 잡고 있으면 된다. 처음 위치에서 타공한 후 다시 처음 위치로 올라올 때까지 이 스위치 트리거를 잡고 있는다.
*아래는 취급 설명서에서 말하는 것.......
1. 펀치 위치를 확인하십시오.
2. 슬라이드 스토퍼의 캡 나사를 풀고 슬라이드 스토퍼를 원하는 위치로 조정합니다. 그런 다음 캡 나사를 다시 조입니다.
참고: 슬라이드 스토퍼는 구멍 펀처를 작업물의 가장 자리에서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도록 설정됩니다.
3. 리턴 레버가 시계 방향으로 완전히 닫혔는지 확인하십시오.
4. 펀치 피스톤이 완전히 수납되었는지 확인하십시오.
5. 슬라이드 스토퍼를 가이드로 사용하여 작업물 위의 원하는 위치에 펀치를 놓습니다. 펀치의 끝을 펀치할 구멍의 중앙 표시에 맞춥니다.
6. 펀치가 스트로크 끝에 도달한 후 시작 위치로 되돌아올 때까지 스위치 트리거를 계속 당깁니다. 펀치 로드가 연장되어 펀치를 작업물에 밀어 넣습니다.
참고: 펀치의 위치를 정확하고 쉽게 잡으려면, 스위치 트리거를 간헐적으로 당겨서 펀치를 작업물로 조금씩 내린다. 위치가 만족스럽지 않다면 리턴 레버를 열어서 펀치를 수납한 후 다시 시도합니다. 리턴 레버를 열어도 펀치가 시작 위치로 되돌아가지 않으면 스위치 트리거를 당겨서 펀치를 되돌립니다.
참고: 펀칭이 끝난 후 펀치가 되돌아가지 않으면, 스위치 트리거를 풀어서 모터를 멈춘 후 다시 스위치 트리거를 당깁니다.위의 절차를 실행해도 펀치가 되돌아가지 않으면 아래에서 언급된 펀칭 완료되기 전에 작동을 중지하는 절차를 실행하십시오.
<펀치가 끝나기 전에 작동 중지>
펀치가 끝나기 전에 작동을 중지할 경우 다음 절차를 실행하십시오.
1. 리턴 레버를 스프링핀에 닿을 때까지 반시계 방향으로 돌린 다음 즉시 시작 위치로 되돌립니다. 이렇게 하면 공구의 내부 압력이 배출됩니다. 자체 동력으로 작업물로부터 펀치가 수납되면 펀치가 완전히 되돌아가게 합니다. 그런 다음 리턴 레버를 시작 위치로 되돌립니다. 이 경우 다음 단계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2. 펀치가 시작 위치로 되돌아갈 때까지 스위치 트리거를 계속 당깁니다.
*아래에는 충전식 마끼다 유압 홀 펀칭기의 취급설명서 파일을 첨부합니다.
'케이블 트레이 작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밀워키 충전 전산볼트 커터의 사용법과 사용설명서 파일 (1) | 2023.07.14 |
---|---|
밀워키 충전 마그네틱 드릴 사용법과 사용 설명서 파일 (0) | 2023.07.13 |
사이드클램프50,홀다운클램프35/케이블 트레이(cable tray)작업 (0) | 2023.07.10 |
케이블트레이 본딩접지점퍼 설치하기 (0) | 2023.07.10 |
입상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와 박스 컨넥터, 판넬의 체결 (1) | 2023.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