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장에 앙카 타공을 하고 앙카를 박는다. 그리고는 1,500전산볼트를 내리고 수직을 잡는다. 수직을 잡기 위해 조금씩 전산볼트를 휘게 된다.

● 한 번 사용한 1,500 전산볼트는 재사용 금지하는 것이 정신 건강에 좋다.
*앙카를 정확하게 잘 박는 것이 제일 좋지만 , 여러 가지 요인으로 그렇게 앙카를 수직으로 제대로 한 번에 잘 박기가 쉽지는 않다.
*대부분의 경우 앙카를 박은 후에 앙카의 수직을 눈으로 확인하고 펀칭기와 망치를 사용하여 좀 더 정확하게 수직을 잡아준다.
*특히 사선으로 비스듬히 박은 경우에는 앙카를 박은 후에 비스듬한 앙카를 펀치 파이프를 이용하여 눈으로 보기에 수직이 될 만큼 세우게 된다. 이 때도 역시 앙카는 휘게 된다.
* 그 다음은 육각연결너트를 연결한 후에도 망치와 수평계로 수직을 잡아 주는 데 이 때도 역시 앙카는 휘게 된다.
*이와같이 앙카가 휘는 경우는 큰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렇게 수직을 잡았더라도 1,500전산볼트를 연결하면 수직이 나오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 이 때는 1,500전산볼트에 수평계를 붙여넣고 전산볼트를 움직여서 수직을 잡게 된다.
* 이 때는 전산볼트가 휘게 된다.
*살짝 조금 휠 때도 있지만, 많이 휘는 경우도 많다.
●이런 1,500전산볼트를 해체하고 다시 재사용하는 경우가 있는 데 그러면 고생만 한다.
*달려 있을 때는 괜찮아 보여도 모두 다 조금씩 휘어져 있다.
*이렇게 한 번 사용한 1,500 전산볼트는 철저히 버려야 한다.
*아까워서 반드시 펴려고해도 절대 쉽지않다.
*조금 휨이 달아놓으면 굉장히 보기에 안 좋다.
'케이블 트레이 작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6단 케이블트레이(cable tray) 홀다운클램프 작업 시에 작업자의 키는 어느 정도여야 가능할까? (1) | 2024.01.18 |
---|---|
앙카 후에 수직은 육각연결너트에서 잘 잡아주는 것이 좋다. 케이블트레이 작업중 (0) | 2024.01.17 |
6단 케이블트레이에 홀다운 클램프 체결하기 (0) | 2024.01.15 |
행거 간격이 애매할 때는 6단 행거를 T/L 안에 들어가도록 T/L 위치를 잡아도 된다. (2) | 2024.01.14 |
전산볼트 마감캡 규정 변경 (4) | 2024.0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