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단말작업

턴온(turn on)작업과 위상검출기,위상검파기,상테스터

반응형

*금일은 turn on (턴온)작업이 있는 날이다.

*턴온의 사전적 의미는 티비, 라디오,  전기, 가스 등을 켜다라는 의미이다. 그 반대는 turn off(턴 오프)이다.
 
●턴온 작업도 역시 마찬가지로 라인체크부터 한다.
 
*가장 먼저는 피터치를 확인한다.
 
*그 다음은 라인체크를 한다.
 

2024.07.31 - [단말작업] - 단말 전 라인체크하기,도통테스트 작업과 동일

단말 전 라인체크하기,도통테스트 작업과 동일

*WP 판넬 안으로 185SQmm메인케이블이 위에서 아래로 들어왔고. 2차단에서 35SQmm×4C가 1,2,3,4에 물려서 나가서 각각의 다른 판넬로 갔다. *35SQmm×4C를 라인체크하는 작업을 진행했다. *4가닥은 갈,흑,회

myhandbible.tistory.com

 

 *라인체크는 휴즈를 off 상태에서 한다.
 
 
●턴온 작업 단계로 넘어간다
 
*라인체크가 끝나면 휴즈를 on한다.

phase detector, 위상검출기 ,위상검파기, 상테스터

위의 장비의 구입처는 아래 링크에서....
https://link.coupang.com/a/bL2FXE

히오끼 상테스터 PD3129-10 - 공구/철물 | 쿠팡

쿠팡에서 히오끼 상테스터 PD3129-10 구매하고 더 많은 혜택을 받으세요! 지금 할인중인 다른 공구/철물 제품도 바로 쿠팡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www.coupang.com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위와같은 장비를 L1(갈색,R), L2(흑색,S), L3(회색,T)에 설치한다.
 
*위의 장치의 명칭은 phase detector(펄스디텍터)이다.
 
*위상검파기,위상검출기,또는 상테스터기라고 한다. 가장 알기 쉬운 말은 상테스터기인 듯하다.
 
*말 그대로  L1(갈색), L2(흑색), L3(회색)의 상을 확인하는 장치이다.
 
*설치방법은 간단하다.  
 
* L1(갈색) 케이블에 상테스기의 적색과 연결된 집게를 집는다.
 
* L2(흑색) 케이블에는 백색과 연결된 집게를 집는다.
 
*L3(회색) 케이블에는 청색과 연결된 집게를 집는다.
 
*3상 케이블을 동시에 연결하고

*상테스기의 스위치 on을 눌러둔다.
 
*그리고는 휴즈를 on 했는지를 확인한다
.
*판넬 문을 닫는다.
 
*턴온 준비가 되었음을 무전으로 알리고 대기한다.
 
*상대편에서 턴온한다는 무전과 함께 카운트다운에 들어가고,
 
*turn on(턴온)한다.
 
*그러면 우리 쪽에도 전원이 들어온다.
 
*판넬 외부에 전원이 들어왔음을 확인한다.
 
*판넬 문을 열고 상테스터기를 확인하면
 
*상테스터의 R, S, T 의 LED 등이 장비의 화살표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반짝이는 것을 확인할 수가 있다.
 
*상의 정방향인 것이다. 
 
*이것을 확인 후에 상이 정방향임을 확인했습니다라고 무전한다.
 
●이제는 전원이 들어왔으니 활선이다. 조심해서 계속 테스트를 한다.
 
*퓨즈의 3상 (L1,L2,L3)을 찍어서 전압을 측정하고 기록한다.
*상간전압 측정이라고 하며,
* L1과 L2, L1과 L3,L2와 L3의 상간전압을 후크메타로 측정하고 기록한다.
*220볼트 정도였다(예)
 
*퓨즈의 각 상과 접지를 찍고 지선전압을 측정한다.
*L1과 접지,L2와 접지,L3와 접지를 후크메타로 측정하고 기록한다.
*130볼트 정도였다(예)
 
*접지는 N선 즉, 중성선 역할과 비슷해 보인다.
 
*다음 판넬로 넘어가거나 마무리한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