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케이블트레이(cable tray) 렁을 추가하는 작업이다.
*트레이의 렁의 위치가 작업에 간섭이 되어서 제거하는 경우가 있다.
*렁을 제거했다면 반드시 다른 위치에, 가능하면 끝단에서 100의 위치에 원복을 해 주고 제작을 완료해야 한다.
*렁을 제거하는 순간 렁과 렁 사이가 300을 넘게 된다. 그러므로 추가해 주어야 한다.
●케이블트레이 렁을 다른 위치에 추가하는 작업을 해 보자.
*트레이 높이는 저압은 100, 고압은 110이다. 저압트레이인 경우로 본다.
*트레이 높이는 100.
*타공 위치는 위에서는 90, 아래에서는 10.

●위에처럼 트레이 옆면 위에서 줄자를 걸어서 90,또는 아래에서 걸어서 10。
*또는 주위의 렁볼트 센터와 렁볼트센터를 연결하여 한 선을 긋는다.
*끝단에서 100 또는 원하는 곳에 마킹하여 타공 위치를 잡는다.
*타공의 크기는 8mm까지 한다.
*먼저 드릴에 6mm비트를 꽂고 타공한다.
*다시 스탭기리를 꽂고 8mm까지 넓히되, 오목한 모양이 나오도록 살살 잘 가공한다.
*스탭기리를 사용하는 이유는 볼트머리의 부분이 들어가게 함이다. 그러므로 8mm로 하되 오목한 모양이 나오게 하는 것이 좋다.
●쇠줄(야스리),징크 2회 도포 작업 실시.
*이 부분은 가공장에서 하는 것이 좋다.
*T/L타고 상부에서 작업하기엔 많은 제약이 따른다.
●드라이브나 육각렌치로 체결한다.
728x90
'케이블 트레이 작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화배관과 트레이이의 이격 거리는 ? (0) | 2024.12.26 |
---|---|
케이블 트레이 실측하여 오차 수정하기 (0) | 2024.12.20 |
홀다운클램프 채울 때는 레이저레벨기로 트레이 옆면을 맞추어 일직선이 되게 하자. (1) | 2024.12.19 |
홀다운클램프의 위치는 35또는 110 (2) | 2024.12.18 |
통신케이블트레이에 삼부전산볼트 사용 괜찮나? (1) | 2024.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