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964) 썸네일형 리스트형 동그랗게 말아서 트레이에 올려둔 접지케이블 다시 잘 펴기 *트레이 위에 접지케이블을 쭉 포설한다. *트레이가 다 완성되지 않았다면 트레이 끝에 접지케이블을 동그랗게 원형으로 말아서 올려둔다.*아래에서 말아서 케이블타이로 1,2개 치고*말비계에 올라가서 케이블을 받아서 트레이에 올려두면 된다.●케이블을 원형으로 말아서 정리할 때의 방향과 나중애 다시 펼 때의 방향은 어떠하면 좋을까?*위에처럼 원형으로 케이블을 정리할 때 방향을 잘 정리하여 올린다.*트레이 위에 오려둔 케이블을 다시 펼 때는 트레이 옆면(레일)을 타고 원을 굴리면서 펼치면 된다.*원형의 케이블이 꼬이지 않게 잘 풀리게 하려면 굴리는 방법이 가장 좋다. 모두 다 아는 사실일테지만.....●만약에 올려둔 케이블의 방향이 반대라면?*어쩔 수 없이 케이블을 트레이 반대편 옆면을 타고가면서 굴려야 한.. 접지피터치 수평구간은 from,to가 높은 열쪽으로... good. *요즘은 모든 공정이 느리게 간다.*트레이도 느릿 느릿*트레이가 어느 정도 진행되면 우린 95SQ접지케이블을 포설한다.*사실 접지케이블 포설은 어떤 팀이 맡아서 해도 무방하다.이것을 전문포설팀이 하기도 한다.*트레이팀도 하고... 우리처럼 단말팀도 한다.*접자케이블 포설이 다 되었다.●이제는 수평 구간에 접지피터치를 10M 간격마다 붙이는 작업이다.●별 것도 아니지만 여기서 서로 의견 차이가 생기기도 한다.*문제는 피터치 방향이다.*피터치의 from.to가 어느쪽을 향하게 붙이는가?*수평구간에는 좌에서 우로, 시인성이 좋은 곳에 붙이는 것으로 한다.*이 말이 좀 애매하다.* 좌에서 우로, 읽기 편하게 글자가 뒤집히지 않게.... 이러한 의미..... 그런데 사람이 보는 방향에 따라 좌에서 우로가 달.. 케이블 원다구리 ●케이블 뭉치를 오른쪽에 두고 선다*오른손는 당긴다*왼손은 보조한다●오른쪽에 있는 케이블을 오른손에서 왼손 방향으로 당긴다.*케이블은 반시계방향(6자)으로 돌려서 가는다. ●케이블의 처음 시작단이 왼손을 지나쳐서 생각하는 반원정도의 길이만큼 *왼손으로 잡고서 *케이블 시작단을 바닥으로 자연스럽게 떨어뜨린다 *왼손으로 케이블을 잡고 왼손의 손목을 반시계방향으로 뒤틀어 준다*왼손목을 뒤집은 후 케이블을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계속 당긴다. *그 상태에서 적당한 원을 만든다.(케이블은 뒤집은 왼손 아래로, 시계방향으로 원을 그리게 된다)*뒤집은 왼손에 적당한 원이 만들어지면 *다시 왼손을 원상복귀시키면서 케이블을 바닥에 내려둔다*그러면 처음으로 뒤집힌 원다구리 1개가 완성된다.●정상적인 원다구리 한 개.. 접지케이블을 먼저 접어서 포설하는 것도 좋네 *접지케이블을 포설중이다.*직선으로 살짝 가다가 90도 꺽어서 렁을 타고 트레이 반대편으로 갔다가 다시 90도로 꺽어서 원래 방향으로 전진해 나가는 모양이다.*1번은 모선접지 케이블이고 이미 포설되어져 있다*우린 2번 10M 접지케이블을 잘라서 트레이 위에 올리고*연접 부위 맞추고*앞으로 직진*90도로 꺽어서*트레이 렁 타고 트레이 반대편으로 이동 *다시 90도 꺽어서 직진●케이블타이로 묶어며 정리한다.*90도로 꺽이는 부분이 어렵다 ●아래에서 먼저 케이블을 90도 꺽고*1200 간격으로 다시 90도로 꺽는다.*스틸배관에서의 노말 2번 접는 것과 같다.●모양을 접은 상태로 트레이 위에 올리고 *케이블 타이를 쳐서 정리한다.●나름 괜찮은 방법이다.*꺽이는 부분을 좀 더 쉽게 잡을 수 있어서 좋다. 2900트레에서 2800트레이로 접지케이블 분기하기 *케이블트레이 레벨 2900과 2600이 2단으로 가고 있다.*여기서 레벨 2800으로 90도로 꺽어서 트레이가 설치되었다*모선접지가 2900트레이를 타고 가고 있다.*2900에서 연접해서 2800으로 분기하여 가는 작업이다.*현재 2800은 앵글까지 했으나 아직 트레이는 설치되지 않았다 ●우린 먼저 분기 접지케이블을 깔고 연접할 수 있도록 하려고 한다.*위에처럼 도면에는 2900트레이에서 접지케이블을 연접하고 *90도 꺽어서*2800트레이로 분기하여 가는 것이다.●가장 확실해 보이는 방법은*접지케이블을 2900에서 연접하고*2800으로 바로 내려가고*2800트레이를 타고 쭉 진행하는 것이다.*아마 도면 그리는 분도 이렇게 계획을 잡았으리라 생각된다.●실제적인 작업에서는 의외의 방법으로 진행되었다.*지금.. 녹빔에 길이400.700편조선으로 접지 시공하다 *녹색 H빔에 길이 400과 700 편조선으로 정전기접지를 시공하고 있다.*녹색 빔을 길게 쭉 연결하면 좋지만... 그렇게하기엔 너무 무겁고 길다. 그래서 잘라서 사용한다..*2990정도의 길이의 것을 길게 연결하여 사용한다.*2990과 2990사이에는 400편조선으로 접지를 하고 있다.*모든 빔에 이렇게 접지를 시공하여야하니 양이 꽤나 많다.●빔에는 타공을 하고난 후에 마스킹테이프를 바르고 그 위에 페인트로 도색되어져 있다.*접지 시공 시에 이 마스킹테이프를 떼어낸다. 가위를 벌리고 납짝한 면으로 긁고 손으로 벗겨낸다.*맞은 편에 것은 떼어낸 곳에서 구멍으로 찔러 넣으면 테이프가 밀려나면서 떼어진다. *산부육각볼트를 사용한다.※현장에 흔한 샹크볼트를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샹크볼트는 케이블트레이에 전.. 악세스플로어의 규격과 정전기 접지(빔접지) 시공 *빔과 빔 사이 간격 600인데 700크기로.*빔과 빔을 일직선으로 연결하는 사이가 300간격인데 400크기로 *이미 작업을 많이 해 두었다.*정전기를 잡기 위한 접지이지만 빔에 시공을 하는 관계로 빔접지라고도 한다.*이 모든 것을 95SQ접지로 모아서 정전기접지함으로 보낸다.*정전기접지함에서는 기둥을 타고 매설되어서 올라온 접지도 도착해 있다.*95SQ접지케이블로 모아온 정전기접지를 정전기 접지함에서 매설되어온 매쉬접지와 단말하여 연결한다.●지금은 95SQ접지 케이블을 시공중이다.*바닥에 악세스플로어로 시공되어져 있다.●그럼, 이 악세스플로어의 규격은?*600×600 정사각형이다.●도면에서의 95SQ접지케이블 단말위치는?*기준으로 할 것이 기둥과 악세스플로어의 크기이다.*낮은 열 기둥에서 낮은 쪽으로.. 스프링쿨러헤드에서 70이상 이격 *이 전에 우린 분전반덕트 작업을 했다*요즘에 나온 수정요청 작업이 있다.*소방배관가 관계된 것이다.*소방배관가 다른 장애물과의 간섭은 별로 관여하지 않는 모양새다*소방배관의 스프링쿨러헤드에 대한 관여는 많다.*스프링쿨러헤드 근처에는 접근조차 못하게 한 적도 있다. ●이 번에는 스프링쿨러헤드 근처는 적어도 70이상은 이격하라는 것이다.*분전반덕트 설치를 위해 시공한 산부전산볼트가 간섭이 되고 있다. 사실 애매하게 간섭된다. 거의 70정도는 이격된 듯해 보인다. 그러나 지적이 나왔다니 확실히 수정하고 넘어가기로 한다. 트레이 위에 접지케이블 말아둔 것은 pp로프로 2점 고정하라 *금일 아침에 나온 부적합 내용이다.*어제 95SQ접지 92M를 포설했다.*포설 후에 케이블타이로 정리를 한다.*시간이 부족하여 다 마무리 짓지 못하고 *트레이 위에 동그랗게 말아서 *케이블타이로 2점을 고정한다.●아침에 나온 내용이 위와같은 경우로서*케이블트레이 위에 케이블을 말아두면 낙하할 우려가 있다는 것이다. 케이블타이로 2점 고정을 해 두었는데도....*그러면 어떻게...●트레이 위에 동그랗게 말아둔 케이블은 pp로프를 사용하여 2점을 고정하라는 것이다.* 아침부터 트레이 위를 보면서 찾아서 모두 다 수정작업을 했다.*케이블타이로는 안된다고 한다. *모두 다 찾아서 pp로프로 2점을 고정했다. 케이블트레이본딩접지 말단은 위치에 조심하자 *케이블트레이가 설치되었는데 마지막엔드카바(엔드플레이트)를 시공하지 않았다.*우리팀이 미리 본딩접지 말단을 단말하여 준비해 두었다.*우리의 계획은 엔드카바를 시공하면서 생크너트를 체결할 때 같이 시공한다는 것이다.*계획은 좋은 듯..... 트레이팀에는 부탁을 하지 않았나보다.*아침부터 우리 단말팀이 직접 투입되어 작업할 계획이다.●그런데 문제가 생겼다.*트레이엔디카바의 샹크너트의 위치를 제대로 고려하지 않았다.*미리 단말해 둔 것이 짧다.*위에처럼 상부의 앞쪽, 위에처럼 빨간색 부위를 맞추어서 단말을 미리 한 것이다*실제로는 상부 뒷쪽에 샹크너트로 본딩접지를 체결한다.●수정이다.*자르고 재단말이다.●본딩접지말단부의 위치를 잘 확인하고 말단을 하자 정전기접지작업 자재의 크기 *정전기작업이다.*다른 작업처럼 먼저 도면을 보자. 모든 작업자에게 열람 가능하도록 한 것이 도면이다. 그래서 뭔가가 의심스럽거나 궁금한 것이 있으면 이 도면에게 물어보면 된다.*정전기 접지의 자재의 크기는 어느정도여야 할까?*도면에서 답을 찾아본다.●아래는 정전기접지 도면에 나오는 내용이다.*모든 AF 그린빔 양 말단에는 정전기접지용 타공 및 마스킹테잎 부착 필요.-지금 현장에 시공된 그린빔(녹색빔)에는 정전기접지 시공용으로 타공이 되어져 있다. 또한 그 곳을 마스킹테잎 처리하여 두었다. 우린 이 마스킹테잎을 제거하고 정전기접지를 시공하고 있다.*시공간격 300mm 편조선 22SQ,*간격 600mm 시공 F-GV 35SQ적용.**Ground bonding jumper copper wire L:400 2.. 트레이 본딩접지 말단도 트레이조인트 위에 샹크너트에 체결한다. *케이블 트레이 본딩접지 말단은 어떻게 되나?*트레이조인트의 상단에 체결하는가? 또는 하단에 체결을 하는가?*이 부분에 대한 규정은 없다.*이럴 때는 그냥 물어보고 하는 것이 최고다.*지금 여기 현장에서는 트레이 조인트의 상부 샹크너트 부위에 체결을 하고 있다.*이 전 현장에서는 트레이조인트의 하단에 체결했다. ●그럼 왜 이 현장에서는 말단을 조인트 상부에 체결을 하는가?*답은 언제나 단순하다.*본딩접지는 조인트 상단 샹크너트에 체결하기로 통일을 했다는 것이다.*특별한 규정이 없으니 팀에서 통일시킨 것이다.●말단은 체결할 부위로부터 앞에 2번째 트레이렁에서 아래로 빼어내서*밖으로 그리고 위로 그리고 옆으로 접어서 모양을 잡는다.*말단은 트레이 위에 포설된 95SQ모선접지를 그대로 사용한다.*95SQ라서 .. 트레이본딩접지 작업 시에 전산볼트와 행거가 간섭이 될 때에 *잠깐 중지되었던 트레이 본딩접지 작업을 재개했다.*95SQ 모선접지에 35SQ접지케이블을 연접하고 *35를 트레이 아래로 그리고 밖으로 빼어내서 *35터미널을 찍고 *트레이 조인트 상부 샹크너트에 체결한다.●35케이블을 트레이면에 밀착시키기*35케이블이 수평이 나오도록 하는 것이 좋다.*대부분의 경우는 큰 간섭없이 작업을 하게 된다.●금일처럼 35SQ터미널을 물리는 곳에 전산볼트와 행거가 있어 작업에 간섭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대부분의 작업자들은 이 정도의 간섭은 그냥 쉽게 작업을 한다. *그러기에 큰 문제가 되는 것은 아니다.*그리고 작업자마다의 각자의 주장이 있고 그렇게들 다 잘 한다. 또한 그렇게 작업하는 것도 맞다.●위에처럼 35터미널을 물리는 곳 주위에 전산볼트와 행거로 인해 작업에 간섭.. 실리콘 구서마감작업 시에 퐁퐁물(비눗물)이 없어서 물파스로 하다. *전기실에서 단말작업이다.*케이블을 판넬 입구까지 포설해 두었다.*케이블을 입선부터해야 한다.*케이블 정리를 한다. 위에서 아래로 내려가서 옆으로 꺽어서 단말하는 곳이다.*3번 회색이 바깥쪽에 위치하여 1번,2번과 간섭이 안 되도록 한다.●갈짝갈(흑)삼으로 한다.*수평구간에서 짝수(2,4,6)번은 삼각포설 삼번 위치에 오게하고 회색은 삼각포설 위에*밑으로 떨어지는 구간에서 반시계방향으로 뒤틀어서 회색이 바깥쪽으로 위치하게 한다.●홀수 번은?*회색은 동일하게 *수평구간에서 흑색이 삼번 위치에*밑으로 떨어지는 구간에서는 동일하게 반시계방향으로 뒤튼다.●케이블 사이에 미리 실리콘을 조금 쏘고●피터치와 케이블타이를 병행해서 작업을 한다.*케이블을 딱고●구서마감이다.*실리콘패드를 살짝 댄다.*실리콘을 쏜다*퐁퐁.. 매쉬접지함이 너무 적어서 케이블 전체를 수용하기 어렵다. *매쉬접지케이블이 기둥에서 빠져나와 있고 동일한 위치에 매쉬 접지함을 설치되었고, 그 박스에서 배관을 하여 정전기 접지함까지 연결되었다.*배관에 95SQ접지케이블 2개를 입선 완료했다.* 매쉬접지함에서 벽에서 나온 접지 케이블 2개와 입선한 케이블 2개를 단말한다.* 롱슬리브나 C형슬리브를 사용하여 단말한다.●매쉬접지함이 케이블을 수용하기엔 크기가 작다.*일단은 C형슬리브로 단말하기로 한다.●단말 전에 먼저 고려해야 할 것이 있다.*어떻게 케이블을 배열해야 단말 후 케이블을 박스 안에 집어 넣을 수 있을까?이다.*고민 후에 어렌지(배열)를 잡고 단말을 실시한다.●접지함 커버를 덮어야 한다.*케이블에 비해 접지함이 너무 작아서 제대로 덮개를 덮을 수가 없다.●그냥 덮개를 누르고 밀어서 억지로 볼트를 채.. 요비선(연락선)에 pp로프 충분히 그리고 케이블.배관에 케이블 입선 작업 *기둥에 매시접지가 있고 그 곳을 매쉬 접지함을 만들었고*거기서 부터 배관을 하여 다음 기둥의 정전기접지함까지 연결되어져 있다.*매쉬접지함에서 정전기접지함까지 95SQ접지 2가닥을 한꺼번에 같이 입선을 하려고 한다.●먼저 요비선(연락선)을 넣고*요비선에 pp로프를 묶고*pp로프에 케이블 2개를 한꺼번에 묶는다.●pp로프가 짧다. 배관 1/4정도이다.*그래서 요비선을 당기면 pp로프가 배관을 빠져나오기도 전에 2개의 케이블이 배관을 들어간다.●괜찮을까? 괜찮지 않다. 중간에 자꾸 터진다.●다시 pp로프를 길게 연결하여 *요비선 다 나온 후에*pp로프가 배관으로 진입하고 *pp로프가 다 빠져나온 후에*다시 2개의 케이블이 배관으로 진입하고*우리의 목표인 2개의 케이블이 입선이 완료된다.●이 번에는 무리없.. 실리콘과 라인테이프 *설치한 분전반이 기울었다. 수평과 수직을 제대로 잡지 못한 것이다. 다시 재작업을 진행하여야 한다.*밑바닥에 사각철편을 대어가며 수평과 수직을 잡아야 하므로 먼저 바닥에 시공된 실리콘을 제거해야 한다.*칼로 실리콘을 제거하고 다시 사각철편을 대고 맞추었다.*역시 쉬운 작업은 아니다.●자 이제 실리콘 작업이다.*마스킹 테이프가 없어서 라인테이프로 대신하여 직선을 잡았다.*마스킹테이프 대신에 라인테이프 괜찮은가?*괜찮다. 임시로 절연테이프로도 많이 사용하니까?*실리콘을 쏘았다.*실리콘헤라로 정리를 했다●라인테이프를 제거해야 한다.*그런데 ....*조금 있다가 실리콘이 마른 후에 제거하자고 한다. 가능할까?*좀 더 마른 후라니.... 일단 좀 더 기다려 본다.* 시간이 살짝 흘렀다.*좀 더 있다가 마른 후에.. 분전반덕트 높이 안 맞아서 덕트를 잘라서 맞추다 *덕트 분전반의 높이 레벨 2500.*2600트레이 아래에 딱 붙어서 직각으로 빠져 나와서 분전반으로 수직으로 내려가는 것이다.*분전반레벨은 1800, 수직으로 버티칼을 사용하여 2500 올려 옆으로 이동하여 레벨2600 트레이 아래까지 연결하는 것이다.*트레이레벨 2600에 분전반덕트 레벨 2500, 분전반덕트 100. 트레이와 분전반덕트를 완벽하게 붙이는 것이다.*2600트레이를 타고 온 케이블을 2500분전반덕트로 내려뜨려서 분전반으로 입선하는 설계이다.*분전반높이를 도면의 레벨과 맞출 수가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분전반레벨이 높다.*그래서 이미 시공된 2600트레이 아래로 갈 수가 없다.●위에처럼 분전반을 자르기로 한다*1번처럼 수직부분을 잘라서 레벨 자체를 수정하는 방법*2번처럼 분전반덕트 수평.. 450덕트, 550행거, 40×40×41스토퍼(stopper). *일반적이라면 450덕트라면 600행거를 사용한다.*도면에도 그렇게 되어져 있다.*현장에 600행거가 없다. 대신 550행거는 많다. 그래서 위에서 내려온 지시가 550으로 시공하라는 것이다.*위에처럼 550행거 25(전산볼트용 타공).25.450(트레이).25.25(전산볼트용타공)=550이 된다.*덕트 옆면에 설치할 스토퍼(stopper)는 위에처럼 40×40×41이다 *덕트 옆면에서 행거 끝단까지가 50이고 스토퍼에 파인 부분이 충분하다.*스토퍼를 덕트에 밀착하여 붙이고 파인부분을 전산볼트에 넣고 샹크너트를 채우면 체결된다.● 행거에 타공한 구멍이 크다. 그래서 삼부전사놀트를 삽인 후에*행거 아래는 삼부원형와샤를 추가하고*행거 위에는 원형와샤대신 스토퍼를 체결한다. 이 부분을 잘 기억해 둘 필요가 있다. 분전반덕트 본딩접지는 높은쪽에만 한다. *분전반 덕트 작업 중이다.*분전반 덕트까지 올렸다. *본딩접지를 분전반덕트 양쪽 면에 시공을 했다.*250편조선접지로 하고 샹크볼트를 안쪽에서 밖으로 밀어넣고 밖에서 편조선 그리고 샹크너트를 체결한다.*샹크볼트는 좀 긴 것으로, 트레이 홀다운 클램프용을 사용한다.●금일 아침 새로운 내용이 생겼다. *분전반 양쪽 모두 다 본딩접지를 하는 것은 너무 과시공이다라는 것이다.*사실 맞다. 똑같은 경우인 트레이는 한쪽 면만 본딩접지를 하고 있다.*그러니 동일하게 분전반덕트도 한쪽면만 본딩접지를 해도 괜찮다.●결론은 분전반덕트의 본딩접지는 250편조선접지로 높은 열에만 하기로 결정되었다.*힘들지만 수정 작업을 해야 한다. 전산볼트가 휘어졌다. 얼른 바꾸자 *분전반 덕트에 시공에 사용할 행거를 제작하여 조립하여 두었다.*빔에 마그네틱 드릴이나 빔 펀칭기를 사용하여 타공을 한다.*그리고 이미 조립해 둔 행거를 달면 된다.*작업은 순서대로 진행되어져 가고 있다.*타공 위치는 빔을 기준으로 도면을 보고 마킹한다.●갑자기 급한 일이 발생했다. *미리 조립해 둔 행거의 전산볼트가 휘어졌다.*사실 트레이나 덕트 작업 중에 전산볼트가 휘는 경우는 종종 발생하는 경우이다.*특히 전기실처럼 복잡하고 여러 공중이 함께 몰려 서로가 전산볼트만 일단 내려놓고 다른 공중에게 양보하는 경우라면 더욱 흔하게 발생한다.*일부러 그렇게하는 경우도 있고 실수로 그렇게 되는 경우도 있다.*어쨌든 전산볼트가 휘어진 상태로 작업을 마무리할 수는 없다.*어쨌든 전산볼트를 곧게 수직으로 아래로 내.. 편조선 본딩접지 점퍼선 시공시의 방향에 대해서 *분전반덕트를 시공 중이다.*분전반덕트에도 편조선 본딩접지 점퍼선을 체결하고 있다.*트레이 편조선 본딩접지 점퍼선의 길이는 모두 동일하게 250이라고 한다.*SQ는 여러 종류다. 길이는같지만 넓이가 달라진다고 보면 된다.● 아래는 이 제품을 제작하는 회사에서 만든 홍보용 동영상에서 가져온 것이다.●아래는 제조사가 유튜브에 올린 동영상이다.*유튜브에 올려진 동영상 주소이다.https://youtu.be/hqxu-PoAwuI?si=Xcyvh1vjI5KVjEeG*위의 제조사가 만든 홍보동영상을 보면 시공 시의 방향에 대해 나오고 있다.● 방향은 오돌토돌한 면이 밖으로 나오게 한다는 것이다.*오돌토돌한 면이 눈에 보이게 하면 된다.*시공사에서도 이 방향을 말하고 있고*작업자 중에서도 역시 삼성현장에서의 경험이 .. 케이블트레이(cable tray) 행거 설치 작업. *H빔에 타공을 하고 케이블트레이 행거를 설치하고 있다.*먼저 타공을 한다.*전산볼트를 준비한다. 우린 통신트레이라서 삼부를 사용하고 있다.●행거와 전산볼트,너트,전산볼트마감캡까지 1세트로 조립을 하자.*빔과 행거사이의 간격을 1250, 전산볼트 위(30) 아래(40)의 여유를 70(30+40)으로 주었다(팀마다,또 사람마다 조금씩 다름)*그럼 전산볼트 길이는 1250+70=1320이다.*1320삼부전산볼트를 2개 준비하고 행거 1개, 삼부샹크너트 8개, 삼부원형와샤4개, 삼부전산볼트마감캡 2개를 준비한다.*먼저 전산볼트 아래에 40, 위에 30으로 마킹한다.(개인적으로 이 부분을 중요하게 여긴다.)*2번처럼 전산볼트 아래는 행거의 윗면을 40으로 맞추어 조립한다.마지막으로 전산볼트마감캡을 끼워둔다. 너.. 단말작업 후 피터치부착 50mm, 대체 어디서부터 일까? *단말작업 후에는 피터치를 붙이게 된다. *단말시험 필기를 준비하며 생긴 의문이다.*아래의 문제이다.*위에서보는 바와 같이 절연튜브 끝에서 50mm 이격 부착이라고 있다. 그렇다. 시험 가이드라인에도 동일하게 안내를 하고 있다.*현장에서는 터미널의 끝단부에서 50mm로 하고 있다.*쇠자로 50을 마킹하고 거기서부터 피터치를 부착하는 것이다.*어느 것이 맞는 것일까?●분명한 사실은 현재 현장에서 모두 다 적용하고 있는 것은 단말한 터미널의 끝단부에서 50mm이격하여 피터치를 붙이는 것으로 하고 있다. 소화배관과 트레이이의 이격 거리는 ? *통신트레이 작업 중이다.*통신트레이가 소화배관 아래로 거의 붙으며 클로쓰로 지나간다.*원래도면에서는 아래로 200을 떨어뜨려 지나가도록 하고 있었다고 한다. 그런데, 기존의 트레이 설치팀이 간섭의 이유로 도면 수정을 올려 위로 200을 올려서 통과하도록 수정했다는 것이다.*현장을 둘러보니 모두 다 위로 200을 올려서 통과하고 있다.*현장에서의 통일성을 고려하여 200위로 가니 상부의 배관과 거의 붙어서 클로쓰로 지나가게 된다.●도면 설계는 이 배관을 고려하여 200을 아래로 내려 가는 것으로 결정했고●기존의 트레이 설치팀은 단순히 현장의 통일성을 고려하여 200위로 올라가도록 했던 것이다.●여기서 아래의 규정을 보자.*트레이 상부에 간섭되는 보,또는 설비물과 최소 이격 거리 250이내의 간격을 둔.. 케이블 트레이 실측하여 오차 수정하기 *케이블 트레이를 올리며 가고 있다.*도면을 보고 정확하게 바닥에 그려서 작업을 하려고 노력한다.*이렇게 애쓰고 수고하면 우리가 시공한 트레이와 도면 상의 트레이랑 같을까?*그렇지만은 않다. 정확하게 맞아 떨어질 때도 있다. 이럴 때 더욱 생각에 조심해야 한다. 한 두번 정확하게 맞았을지라도 다음에는 오차가 있을 수 있다.*그렇다면 이 오차를 그냥 무시해야 하는 가? 또 그런 것은 아니다.●실측을 하여 도면과의 오차를 수정해 주어야 한다.*그러면 어떻게 오차 수정을 할 것인가에 대한 생각이 저마다 조금씩 다르다. 그래서 이 글은 정답이 아님을 먼저 말하고 시작하고자 한다.●일단은 피팅류는 모두 다 건물의 기준점을 잡아서 시간을 좀 더 투자하여 도면과 일치하게 바닥에 그린다.*이 피팅류를 정확하게 해야 .. 케이블트레이(cable tray) 렁 추가작업 ●케이블트레이(cable tray) 렁을 추가하는 작업이다. *트레이의 렁의 위치가 작업에 간섭이 되어서 제거하는 경우가 있다. *렁을 제거했다면 반드시 다른 위치에, 가능하면 끝단에서 100의 위치에 원복을 해 주고 제작을 완료해야 한다. *렁을 제거하는 순간 렁과 렁 사이가 300을 넘게 된다. 그러므로 추가해 주어야 한다. ●케이블트레이 렁을 다른 위치에 추가하는 작업을 해 보자. *트레이 높이는 저압은 100, 고압은 110이다. 저압트레이인 경우로 본다. *트레이 높이는 100. *타공 위치는 위에서는 90, 아래에서는 10.●위에처럼 트레이 옆면 위에서 줄자를 걸어서 90,또는 아래에서 걸어서 10。*또는 주위의 렁볼트 센터와 렁볼트센터를 연결하여 한 선을 긋는다. *끝단에서 100 또는 원.. 홀다운클램프 채울 때는 레이저레벨기로 트레이 옆면을 맞추어 일직선이 되게 하자. *통신 케이블트레이 홀다운클램프를 채우는 작업이다.*트레이 몸체와 트레이 행거를 홀다운 클램프로 체결하여 고정하는 작업이다. 마지막 작업이라고 볼 수 있다.● 트레이 옆면 라인에 맞추어서 레이저 띄운다.*홀다운 클램프를 체결하면서 트레이의 옆면도 일직선으로 쭉 가게 레이저 라인을 보며 트레이 옆면을 맞추어 준다.*물론 수직 레벨도 맞추어야겠지만. 이전 공정 시(행거작업 시)에 맞추면서 작업을 하기에 크게 문제가 될 것은 없다.*특히 수직 레벨은 허용오차가 있기에 육안으로 쑥 보았을 때 문제가 없을 정도면 된다. *아래에서 볼 때 더 선명하게 드러나는 것은 바로 옆으로 휜 것이다. *트레이가 옆으로 삐뚤삐뚤하면 보기가 좋지않다.*그래서 홀다운클램프를 체결하면서 트레이의 옆면을 맞추어서 일직선이 되.. 홀다운클램프의 위치는 35또는 110 *50×50×6t ㄱ자 형강으로 630 행거를 만들어보자. 트레이는 450이다*트레이 넓이(W)가 450이므로 600행거를 사용하면 딱 좋다. *그러나 여건상 위와같이 50×50×6t ㄱ형강(앵글)으로 630(W)의 행거를 자체 제작하여 시공하려고 한다.●자체 제작해 보자.*도면의 치수를 확인하고 기성품을 확인해 본다.*450트레이면 600행거가 있어야 한다.*600트레이라면 750기성품 행거를 일반적으로 사용한다.●630행거는 역시 애매한 사이즈다. 자체 제작하여야 한다.*도면을 확인하니 위와같다.●행거이니 전산볼트를 끼울 자리와 홀다운클램프 길이를 마킹하여 타공한다.●먼저 전산볼트 위치는 위에서 보는 바와 같이 행거 끝단에서 각각 25인 지점 이다. ●홀다운클램프의 위치는 트레이면에서 35이다.*좌.. 통신케이블트레이에 삼부전산볼트 사용 괜찮나? *우리팀은 지금 300 통신케이블 트레이를 시공 중이다. *기존의 다른 팀이 시공하던 것을 이어받아 하고 있다.*최대한 기존팀이 한 것과 동일하게 하려고 한다.*그런데 이상한 점을 발견했다. 대부분의 경우 모든 케이블 트레이 시공 시에는 연부전산볼트를 사용한다*통신트레이도 그렇다. 아무리 300트레이일지라도 연부전산볼트를 사용한다. *삼부전산볼트는 R/W(레이스웨이) 시공 시에 사용한다.● 지금 여기 삼성 현장에서는 통신트레이에는 삼부전산볼트를 사용하고 있다. ●위에처럼 빔에 타공을 하여 삼부 전산볼트를 내리고*행거를 달고*그 위에 통신 트레이를 올린다.●통신케이블트레이에 삼부전산볼트 사용 괜찮나?●전체가 그렇게 시공되어져 있으니 아마 그렇게 하라는 지시가 있었나보다.*하라는 대로 시공을 이어간다. 이전 1 2 3 4 ··· 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