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역개정 성경

(1011)
자재부쉬말고 플로베니아로 보양하자 ●분전반외함(판넬) 안으로 케이블을 입선하는 작업이다. 메인 케이블도 넣고 접지케이블도 입선을 한다. ●케이블 입선 작업에서 먼저 케이블 상태를 확인한다. ●포설팀이 포설을 해 두었지만, 단말팀 원하는 것과는 조금 다를 수가 있다. ●실제로 판넬 문을 열어봐야 단말에 필요한 케이블의 입선 위치를 결정할 수가 있다. ●케이블의 라운드 상태를 확인한다. ●판넬 안으로 케이블을 입선한다. 입선 시에 케이블이 손상을 입지 않도록 보양에 신경을 쓴다.긁히거나 찍힐 수 있는 곳을 찾아 먼저 보양을 해 주어야 한다. ●보양 시에 흔히 사용하는 자재는 자재부쉬와 플로베니아이다. 타이거보양지나 다른 자재로 해도 된다. ●현장에서 쉽게 찾을 수 있는 자재로는 자재부쉬나 플러베니아이다. ●현장에서는 자재부쉬보다는 플로베니아..
정전기 접지함 접지. *요즘하는 작업이 정전기접지이다. H빔에 정전기 접지를 물리고 점퍼해서 또 물리고 말단에 하나 물린다. *마지막으로 정전기접지함에도 물린다. 정진기람으로 2개의 접지선이 들어왔다. 아래에 물린다. *위에처럼 1, 3번 부스바 윗쪽은 이미 접지가 물려져 있다. *부스바 아래에 접지를 단말하여 2개를 H빔으로 보낸다. *위의 4번과 5번을 단말해야 한다. *처음에는 4번을 1번 부스바 아래에, 5번을 3번 부스바 아래에 단말할 것 같은 데 간격이 너무 좁다는 것이 문제라고 생각했다. ●4번을 3번부스바 아래에, 그리고 5번을 1번 부스바 아래에 단말을 한다. *간격이 많이 벌어졌다. ●전에 비슷한 경우가 있었는데 그 때는 4번을 1번에 5번을 3번에 단말했다. 많이 고생하는 것을 보았다. ●간격이 좁을 때는..
방진마스크와 방독마스크 중 더 선호하는 것은? *구서마감시에 사용해야 할 보호구는 보안경,내화학장갑, 그리고 방독마스크 또는 방진마스크이다. *같은 사내인데도 3층은 방독마스크를 요구하고, 그 위 4층은 방진마스크를 요구한다. *어떤 것을 기준으로 이렇게 나누는지는 모르겠다. *나름대로 고민하고 결정한 것일 것이다. *그러니 그냥 하라는대로 한다. *방독마스크와 방진마스크 중 어느 것이 좀 더 편할까? *이것은 개인적인 의견이 다를 것 같다. 본인 개인적으로는 방독마스크를 더 선호한다. *고개를 절레절레 흔드는 사람도 많다. 그러나 개인적으로는 그렇다. *방진마스크를 착용하면 처음에는 숨을 쉬기가 답답하다는 느낌이 있다. 그래서 코로 숨을 쉬기보다는 입을 조금 벌려 숨을 쉰다. 일을 하면서 가끔씩 마스크를 조금 들고 숨을 쉬기도 한다. 나 개인적으로..
케이블 사이에 실리콘 주입,피터치는 50 띄우고 부착 *역시 4층 구서마감이 주 작업이다. *입선완료, 단말 완료, 이제 구서작업 진행해야 한다. *케이블을 닦는다. 물파스와 매직블럭으로 닦는다. 매직블럭에 물파스를 묻혀서 닦는다. *피터치를 붙인다. 1번처럼 단말한 터미널(동관단자) 끝단에서 50 띄우고 붙인다. *2번은 눈높이, 바닥에서 1500정도 위치에, 3번은 아래에서 관통구를 통과한 후 바닥에서 300 정도 되는 곳,첫번째 지지대와 두번째 지지대 사이에 부착한다. ●진공청소기로 청소를 한다. ●판넬 위의 구서마감은 베크판 주위와 4개 샹크볼트를 구서하면 된다. *판넬 안 바닥을 구서하는 것이 주이다. ●먼저 베크판을 가공한다. *그 다음은 실리콘패드를 가공한다. * 이제는 실리콘을 쏘고 다듬는 작업을 진행하여야 한다. * 먼저 삼각케이블 사이에 ..
베크판(베크라이트판)을 활용하여 실리콘패드 제작하기.단말 구서작업 중에서 *케이블이 아래층에서 윗층바닥 관통구를 통하여 판넬 안으로 입선이 되었다. 판넬 아래로 바로 들어와서 판넬 측면을 타고 올라간다. 판넬안 위에서 좌측으로 간다. 판넬 좌측에서 아래로 500정도 떨어져서 단말을 한다. *입선 전에 먼저 베크라이트(베크판)을 드라이브와 8mm자동스패너를 사용하여 미리 분리해 둔다. *단말이 끝났다 *판넬 아래 쪽 베크판을 제작한다. 구서는 판넬 아래가 중점이고 판넬 윗쪽은 샹크볼트와 베크판 주위만 실리콘으로 쏘아주면 된다. *직소와 진공청소기를 준비한다. 보안경, 방진마스크, 자상방지장갑, 헤드랜턴을 준비한다. 작업자와 보조자 2명 다 착용한다. *작업자 1명은 직소로, 보조자 1명은 진공청소기로, 안전담당자도 반드시 필요하다. ■베크판으로 한 방에 구멍을 처리할 수 있으면..
입선 후에 폐케이블을 한폭으로 절단.발등에 3개 올려 370케이블타이로 2점 묶기 *3층에서 포설팀이 케이블을 포설하고 최종적으로 4층에 있는 판넬로 바로 입선을 하는 작업을 한다. *제대로 된 의사소통을 위해 무전기를 준비한다. *우리 단말팀은 4층 판넬에서 밑에서 올려주는 케이블을 받아 올려주면 된다. *단말은 케이블을 아래에서 위로 올리고 위에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어렌지(배열)를 잡아서 판넬 좌측 상단에 케이블을 단말하여 물린다. *단자대 간격은 105이다. *우리는 입선 담당이다. 일단 올리고나면 단말할 만큼만 남기고(판넬 문에서 6발정도, 약5M) 자른다. *오른손에 케이블컷터기를 잡고 왼손을 위에처럼 뻗어 다시 폐케이블을 잡고 다음 자를 위치를 잡는다. 다시 또 자른다.그러면 약 800에서 900정도의 폭이 된다. *1000이내로 자르면 되니 이 정도면 괜찮다. ■단말할 ..
완강기 사용방법 *예배를 드린 후에 귀가하려고 하는데 비가 온단다. 조금 가끔 온다니 그냥 출발. 송탄역에 도착했다. 아래는 송탄역에 비치된 내용을 기록했다. *송탄소방서가 안내하는 글을 적어 사람이 많이 다니는 역사에 비치하였나보다. 그 내용을 보자. ●완강기 사용방법. *완강기: 화재 현장에서 몸에 매고 내려올 수 있는 피난기구. *간이 완강기: 숙박시설에 설치되어 있으며 연속 사용 불가능. 1.지지대 고리에 완강기 고리를 걸고 잠그기 2.지지대를 창 밖으로 밀고 밑에 사람이 있는 지 확인 후 줄을 아래 바닥으로 떨어뜨리기. 3.안전벨트를 가슴 높이까지 착용 후 고정일을 가슴쪽으로 당기기. 4.벨트가 풀리지 않게 양팔을 뚝 뻗어 벽면을 짚으면서 하강. 119 송탄소방서 완강기 사용법 영상도 있다고 한다 . QR코드를..
단말 구서마감작업과 방독면, 보안경, 내화학장갑, 비눗물,실리콘통, 투광등 *입선작업 후에 단말작업이 끝났다.이제는 구서마감의 차례이다. *구서마감 작업은 갖추어야 하는 것이 많다. ■방독면을 착용한다, 방독정화통은 1주일로 정해져 있다. 기재되어져 있는 날짜를 확인하고 기간이 지났으면 방독정화통을 바꾼다. 원칙으로는 기존의 것을 버리고 새 것으로 교체를 하여야한다. 그렇지만, 새 것이 없을 수도 있다. 그러면 그냥 날짜 지웠다가 다시 쓴다. *방독면을 착용하려면 안전모를 벗어야 한다. 벗을 때도 역시 동일하다. 한번 착용하면 작업 끝날 때까지 계속 착용하고 있어야 한다. ■보안경을 착용한다.보안경 대신 구글을 사용한다. 그 이유는? 별로 큰 이유는 없다. 그냥 휴대하기가 편리하기 때문이다. 언제나 항상 안전모에 부착해 두고 다닌다. ■손에 내화학장갑을 착용한다. 스막 속장갑을..
단말 케이블 입선작업 시에 트레이 렁을 빼고 하다. *단말 작업을 본격적으로 하기 전에 먼저 단말할 케이블을 판넬에 입선해야 한다. *입선작업 시에 작업을 힘들게하고 짜증나게 하는 것이 있다. *대부분의 경우에 2단 트레이를 타고 케이블이 포설된다. *아래단 트레이와 윗단 트레이 사이 간격이 300이상은 된다. 그다지 간격이 넓은 것은 아니다. *윗단 트레이로 케이블이 포설되어지는 경우, 그리고 아래에서 말비계를 넣고 작업을 하는 경우 애로사항이 나타난다. *말비계에 올라가서 손을 아랫단 트레이를 통과하여 윗단 트레이에 있는 케이블을 다룬다는 것이 쉽지않다. *케이블의 무게 때문일 것이다라고 생각하지만 그렇지않다. 사실 이 무게를 다루고 싶은데 제대로 힘을 사용할 수 있는 자세를 취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아래 트레이에 막혀서 모두 다 자세가 틀어진다. ..
삼성 천안 SDC 사내 주 만근 수당 *아래는 공지사항이다. *정말로 주 만근 수당을 준다고 한다. ■사내 주 만근수당 1. 07시~11시 / 13시~17시 정상시간 태깅만 가능 - 지각(TBM 미참석),조퇴,조기출문,지연입문 결근 불가능(1초라도 늦지 마세요). 2. 사내만 적용 함. 3. 5일 중 2일만 사내 작업인 경우에도 불가. 4. 5일 전체 사내인 경우만 가능. 5. 팀단가 불가. 6. 토요일 작업이 없는 경우 식사 하시면 안됩니다. 7. 사내 연장작업을 한 경우 제외. 확인들 하세요. 적용 하기로 했습니다.... 원가가 많이 들어 갑니다... 근무 시간내....많은 작업을 할수 있도록 신경 좀 써주세요. *5번은 무슨 말인지 잘 모르겠다. 어쨌든 나쁘지 않다. 예상하기로는 연장을 시키려고 하지 싶다.
INO 네트워크오류라는 문자 나올 때는?스막에서 휴대폰으로 옷 찾기 *INO를 찍으려는데 INO 네트워크오류하는 문자가 뜬다. 몇 번 다시 시도를 해도 역시 그렇다. 그렇다면..... *건설앱스토에서부터 다시 시작해야 한다. *휴대폰에서 건설앱을 찾아서 열어도 역시 여기서도 비번을 입력하여야 한다. *여기서 아이디와 비번찾기를 하여 로그인해야 한다. *전에 받아 둔 비번을 메모지에 복사해 둔 것이 있으면 그것을 복사하여 붙여넣기를 한다. *건설앱스토어 *다운로드 업데이트 *보내준 비번으로 로그인 *간편로그인설정에서 *간편 비밀번호나 지문인증을 한다. *INO를 선택한다. *앱상세에서 실행. *INO로 넘어가서 간편비빌번호나 지문인식으로 로그인한다. *NFC를 터치하고 찍으면 된다. *식사하려고 나오는 데 휴대폰으로 전화 좀 해달란다. 옷을 어디에 두었는 지 모르겠다고....
300SQmm케이블 보양은 실리콘패드 넓이 190 *판넬에 입선하는 작업중이다. *포설팀이 케이블을 포설하여 판넬 거의 바로 앞까지 갖다놓고서는 작업을 마무리한다. *그 다음은 우리 단말팀이 입선작업을 진행하고, 단말작업,구서작업을 한다. *대부분의 경우 케이블이 직선으로 쭉 오다가 판넬 부분에서 90도로 꺽어서 입선된다. *트레이도 마찬가지로 쭉오다가 90도로 분기한다. *위에처럼 쭉가는 케이블과 90도로 휘어서 입선하는 케이블이 겹친다. *이렇게 겹쳐지는 부분에는 실리콘패드로 보양을 해준다. ●그렇다면 300SQmm 케이블 3개가 3각포설되었을 때 이것을 실리콘패드로 보양한다면 이것의 넓이는 어느 정도로 하여 감싸야 할까? *너무 길지도 너무 짧지도 않게.... 현장에서는 대충 이렇게 한다. 문제될 것은 없다. *실리콘패드를 190mm 정도로 자르고..
내방카드 설치유무 확인사항 및 C3외부 임시스막 출입 안내. ■아래는 삼성 천안 SDC에서 게시한 내용을 기록했다. ■내방카드 발급 확인사항 1.MDM설치유무 확인(필수). 2.보안체크리스트 작성(주1회) 3.4대보험 유효일 확인(월1회) ■C3외부 임시스막 출입 안내. *c3 6층 임시스막 폐쇄/ c3외부 임시스막 오픈에 따라 출입 안내합니다. *운영일자 9.9월 0900이후 24시간운영 *출입권한: c36층 임시스막 출입권한 보유 시 추가 신청 불필요. *권한 신청 필요 시(71-44) 천안 c3라인_1F_임시스막. *기타안내사항 -홍채리더기 미운영에 따른 모바일충입증 사용 불가. -모바일출입자 사용자는 카드형 출입증 발급필요. -카드형 출입증 발급 시 필요 서류 •협력사: 신분증, 4대보험 자격확인서 (입사30일 미만인 경우 재직증명서로 확인가능) •일용직근..
해외송금 도착 안내. ■아래는 카톡 알림 문자이다. ■연장작업 마치고 어둑어둑한 밤에 퇴근이다. 습관적으로 카톡을 열어보다가 이 알림을 봤다. 반갑다. 0000님께 도착한 해외송금이 있습니다. ■ 송금인: GOOGLE ASIA PACIFIC PTE LTD ■ 도착금액: USD 98.67 카카오뱅크 앱에서 해외송금 받기를 하시면 계좌로 입금됩니다. [받는 방법] ① 카카오뱅크 앱 실행 → ② 첫화면 상단 "해외송금 받기 요청" 메시지 선택 → ③ 받기 신청 → ④ 입금 완료 ※ 일부 송금의 경우, 직원 검토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구서마감 펀치작업,끝까지 확실히 밀자. *사전 검측 후에 구서마감에 관한 펀치리스트가 나왔다. *지금까지 한 번도 구서마감 특히 실리콘 작업에 대한 펀치는 없었는 데...... 이 팀에서 있으면서 처음으로 실리콘작업에 관한 펀치작업을 했다. *간단한 것이다. *외관상 깔끔하게 잘 마무리 되어져 있다. 딱 보면 그냥 만족할 만하다. *자세히보니 약간의 미흡함이 있다. *베크판으로 케이블이 통과하고 그 위에 실리콘 패드를 대고 실리콘으로 빛이 새지않을 만큼 꼼꼼히 촘촘히 막아주어야 한다. *위에처럼 케이블 뒷쪽, 눈으로 잘 보이지 않는 부분에 실리콘 작업이 미치지 않았다.손톱하나 만큼의 빈틈이 있다. *대부분의 경우 앞쪽에 실리콘을 쏘고 앞의 실리콘을 뒷쪽으로 밀어서 뒷쪽까지 채운다.앞에서 양 옆으로 밀어서 뒤를 채우는 데.... 조금 덜 밀었다..
3M방독마스크 착용방법 및 방독정화통 부착방법, 교체방법,교체시기.보관방법 ●단말작업 전에 케이블을 분전반외함(판넬)에 입선작업을 한다. 그리고는 단말작업을 하고나서는 구서마감작업을 하게된다. 이 구서마감작업을 위해 사용하는 것이 실리콘작업이다.*실리콘을 사용하려면 여러가지 보호구를 갖추어야한다. 이 실리콘이 우리의 몸에 유해한 화학물질이기 때문이다.*보호구로는 보안경,방독마스크, 내화학장갑을 기본적으로 착용하여 작업을 진행한다.*이 보호구들은 작업을 어렵게한다. 보안경은 그나마 쉬울 수도 있다.*내화학장갑은 역시 어려운 부분이다. 이것을 착용한 상태로 실리콘 작업을 한다는 것은 쉽지않다. 일을 깨끗하게 잘하려는 작업자들에게는 더욱 어려운 것이 된다.*방독마스크를 착용하는 것.... ●현장에서 사용 중인  3M방독마스크에 대하여 보고자 한다.*위는 3M방독마스크 면체이고 양구형..
현장에서 흔히 사용하는 플라스틱파레트 규격은 1100×1100×150, 폐케이블은 1000으로 절단 *현장에서 흔히하는 작업이 케이블을 절단하여 폐자재로 처리하는 것이다. *흔히 300SQmm 폐케이블을 케이블커터기로 자른다. *보통 1000으로 자른 후에 3개씩 묶고 370케이블타이로 묶는다. *그리고 한 손에 한 다발씩, 양손에 각 각 들고 운반하여 *플라스틱 파레트에 올려둔다. *어느 정도 차면은 랩으로 싸서 처리한다. * 그 다음은 보통은 양중팀이 핸드쟈키를 사용하여 운반한다. ●그러면 왜 우리는 폐케이블을 1000으로 자르는 것일까? *그것은 플라스틱파레트의 규격과 관계가 있다. ●아래는 플라스틱파레트 규격 대하여 간단히 알아봤다. *현장이나 공장, 창고에서 물건을 편리하게 운반하기 위해서 받침대로 이용하는 것이다. 보통은 지게차, 전동수동핸드쟈키를 사용한다. 실제적으로 우리 현장에서는 그냥 ..
열차(기차)입석표 구매 후 열차시각 정보 확인하려면 *추석 연휴를 마치고 다시 일터로 돌아가려 한다. *교통편은 늘 그렇듯이 기차 무궁화이다. *시외버스도 있지만 기차를 애용한다. *표를 예매하지 않았다. 입석으로 가려고 한다. *입석표는 모바일앱에서 구매할 수가 없다 *역에 나가서 기계를 이용하거나 창구를 이용해야 한다. *역에서 신용카드로 입석표를 선택하여 구매했다. *입석표에도 기차호수가 지정되어져 나온다. 그 이유는 잘 모르겠지만 별 의미를 두지 않는다. 5호차 입석이라고 지정 되어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냥 대충 탄다. ●기차에 탑승하고나면 코레일톡앱에서는 그 시간대의 것이 사라진다.더 이상 예매를 진행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지금 탑승한 열차 시각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가 있을까? *일단은 구매한 표에 보면 출발역과 출발시간, 도착..
모바일 교통카드 이즐, 휴대폰 전원이 없어도 사용 가능하다. *모바일 교통카드 이즐을 사용 중이다. *플라스틱 카드를 사지 않아도 된다. 휴대폰만 있으면 되고 교통비가 충분히 충전되어져 있으면 된다. *사용 방법은 휴대폰 바탕화면을 아래로 쓱 드래그하여 *NFC모드를 위에처럼 기본모드로 변경한다. *그 다음은 버스나 전철 등을 타면서 휴대폰으로 찍으면 된다. *휴대폰에 전원이 없으면 모바일 교통카드 이즐 사용할 수 있을까? ●사실 모바일 교통카드 사용하면서 난감하게 여겼던 부분이기도 하다. ●그런데 대박.... 밧데리가 없어서 휴대폰이 완전히 꺼졌음에도 불구하고 이즐은 사용할 수가 있다. *플라스틱 카드처럼 가능했다.
D/S구간이란? ● duck shaft:덕트 샤프트 건설 건물 내의 상하층을 접속하는 덕트를 묶어서 폐쇄된 공간에 수용하도록 만든, 상하층을 잇는 수직의 통형 부분.● 상하로, 수직으로 연결시켜야 하므로 바닥과 상부에 개구부가 생기게 된다. 현장에서 개구부 작업은  위험한 작업이다. ● 개구부가 존재하므로 통제를 철저히 하고 공간을 만들어 통제한다.● 아래 내용을 보자.카톡 내용이다.2024년 07월 09일 10시 40분경C4 3F G7-1열 DS구간 비계 하부 이동중 믿둥잡이 파이프 와 ELP배관 사이 공간 발이빠져 발목 접질림2024년 07월 25일 10시 10분경 C4 5F G7-1열 D/S 구간 2인1조로 말비계 이동중 빔포스트에 걸려있는 체인블럭에 걸려 뒤로 넘어짐최근에 DS 구간에서 발걸림에의한 전도사고가 많..
피드백이란? 현장에서도 사용하는 이것은? *피드백이란 말, 대체 무엇을 뜻하는 것일까요?*현장에서 종종 듣게 되는 말이다  대충 알 것같아 대충 맞추어서 해석하며 듣고 있다.*사실은  잘 모르겠다.*피드백, 영어로는 feedback이라고 한다. 이것을 그대로 읽어면 피드백이다.*한국어로는 되먹임이라는 표준어로 대체할 수 있다고 한다. *사실  되먹임이란 말도 쉬운 말이 아니다.*공학, 교육, 사회 등 여러 분야에서 굉장히 자주 인용되고 있는 표현이다.*무엇을 입력해서 나온 결과를 가지고 다시 입력하여 새로운 결과를 만들어내는 것이다.*기계장치, 시스템, 과정을 거쳐 나온 결과를 시작 단계에 다시 투입하는 것이다. 원하는 결과를 얻을 때까지 반복하여 돌리는 것이다.●일반적으로 우리가 생활 속에서 자주 사용하는 것은 다음의 의미 일것이다.*원래 작..
단말작업 수공구 동파이프 커터기(돌돌이, 뺑뺑이)를 아시나요? *단말작업 시에 사용하는 수공구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피복을 벗기는 칼은 실제적으로 특별한 칼이 현재로는 없다. 피복을 벗겨내면서 심선에 어떠한 흠집도 남기지 않는 것이 기술이다. 이를 위하여 스트립퍼가 나오지만 굵은 케이블은 특별한 스트립퍼가 없다. *다음은 쪽가위이다.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이다. 사용법은 누구나 다 알 것이다. ●단말작업 시, 피복 제거 작업 시에 가장 흔히 사용하는 것이 동파이프커터기이다. ●쿠팡에서 찾아보았다. 아래링크... https://link.coupang.com/a/bRb19U 일본 SUPER 슈퍼 동파이프커터 TC-105 튜브캇타 컷터 파이프 절단 캇타 일제 - 기타수공구 | 쿠팡쿠팡에서 3.0 구매하고 더 많은 혜택을 받으세요! 지금 할인중인 다른 2 제품도 바로 ..
전기 저압단말 작업 아이마킹펜 소개 *단말작업 후에는 아이마킹을 한다. *아이마킹은 조아둔 너트가 풀렸는가를 눈으로 확인하기 위해서 하는 작업이다. *전기가 수시로 충전되는 부분에 아이마킹을 하라고 하고 있다. ●현재 현장에서는 하라고 하는 모든 부분에는 무조건 한다. 물론 그들이 가진 이유가 있다. ●현재 현장에서 아이마킹하는 펜은 검은색 유성매직 또는 검은색 네임펜을 사용한다. ● 방향은 2시 40분이다. ●실제적으로 위의 것으로 아이마킹하기 곤란한 부분이 많다. 펜이 굵어서 또는 길어서..... ● 금일 현장에서 펜촉이 길고 가느다란 펜으로 아이마킹을 쉽게 하는 것을 보았다. ●위와같은 펜이다. *쿠팡에서 찾았다. 아래 링크를 따라가서 자세한 정보를 알아보면 좋다. https://link.coupang.com/a/bQSdIh 32MM..
전기동력 케이블 곡률반경은 케이블 굵기(직경)의 6~8배 이상 ●단말팀에서 케이블 판넬(분전반외함)에 입선 시에 케이블의 곡률반경을 생각하게 된다. ●흔히 아르(라운드)가 어떻다라고 한다. ●아르,R값, 라운드 또는 케이블 곡률반경, 케이블곡률반지름 등으로 불리고 있다. *현장에서 가장 흔히 쓰는 말은 아르 또는 R이다. *그렇지만 가장 쉽게 알아 들을 수 있는 개념은 그래도 곡률반경인듯 하다. ●저압 단말 필기 시험에도 나오기도 하는 내용이다. ●곡률이란 휘어짐의 정도.bending의 정도를 말한다. ●대한민국이 정한 법에 의하면 동력케이블의 곡률반경은 케이블 굵기( 즉 , 케이블 외경,케이블 지름)의 6배~8배이상이라고 말하고 있다. ●케이블을 90도로 꺽을 때에 적어도 케이블 굵기의 6~8배 이상의 곡률이 나와야 전기적 흐름에 안정적이다라는 것이다. ●모든 전..
안전모용(헤드용) 활선접근경보기에 대하여 ●현장에서 사용 중인 TA-808A 활선접근경보기에 대하여 보자 ●영어로는 High Voltage ALarm Detector라고 적혀 있다. 여기서는 고압용이라고 영어로 기록하고 있다. ●우린 저압단말팀이다. ●저압이란 1000볼트 이하를 말한다. ●활선경보기란? 전력설비의 건설 또는 보수, 점검 작업 중 무의식 또는 착각에 의해 활선에 근접할 경우 위험거리를 감지하여 작업자가 경감심을 갖도록 소리, 빛으로 경고하여 감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필수 안전장비입니다. ●경보음 동작 거리표 AC-220V : 활선에 접촉 AC-3300V : 40cm±10% AC-6600V : 90cm±10% AC-22.9KV : 110cm±10% *주위의 물체가 동작거리를 변동 시킬 수 있습니다. ●주의사항 1.안테나(..
손세정제로 분전반외함 닦기 ●사전검측대비 작업 중이다. 검측을 받기 전에 미리 점검해 보는 것이다. *대부분의 경우 케이블 클리닝 작업, 미비한 아이마킹작업. 토오크 값에 맞추어 다시 한 번 더 확인하는 작업, 볼트 너트 꽉 채우기, 피터치 확인하기,미비한 구서마감(실리콘,라인테이프 마감 포함), 청소작업 등이다. ●분전반 외함에 묻은 얼룩은 어떻게 해야할까? *우리 단말팀이 흔히 많이 사용하는 물파스로 가능할까? *분전반외함(판넬)에는 페인트가 칠해져 있다. *물파스를 사용한다면 페인트가 벗겨진다. 더 좋지 않은 결과를 가져온다. *솔벤트는 쉽게 선택하지 못한다. *그렇다면 무엇을 사용하여 판넬을 깨끗하게 닦을 수 있을까? ●그 답은? 위에 거와 같은 손소독제이다. 위의 상품은 쿠팡에서 찾았다. *손소독제 또는 손 세정제라고 하..
S-TBM을 개인적으로 하기 *금일은 팀내에 다른 팀으로 새롭게 배정되었다. *여기서는 S-TBM을 개인적으로 한다고 한다. *그렇다면 일단은 휴대폰에서 아래 아이콘을 터치한다. *아이디와 비번으로 로그인한다. -로그인이 안되면 아이디와 비번 찾기를 한다. *간편로그인 설정에서 간편비밀번호 또는 지문인증을 한다. *기술인/TBM리더,관리자/생명지키미 중에서 TBM리더,관리자를 선택하고 *확인 *녹색 TBM 선택 *DRI선택 *자기가 속한TBM더리더 이름을 찾아 터치한다. *확인 *오전TBM/오후TBM 중 선택 *TBM시작 *10분 정도 이후에 *TBM종료 ●위와 같은 순서로 하면 된다. *오전, 오후로 나누어서 한다. ●하라고해서 한다. 그냥 *할 말도 많지만 그냥 한다. *개인적으로 하면 된다.
분전반 외함 상부에 산부샹크볼트와 너트, 연부원형와샤를 임팩과 14복스알로 체결하자. *판넬상부(분전반 외함)에 4개의 구멍이 있다. *4개 중에서 1개는 편조선 본딩접지를 하는 곳이다. *그러나 현재 케이블은 아래층에서 올라왔으므로 상부에 트레이가 없다. *그러므로 이 부분은 손대지 않고 그대로 두어도 상관없다. *원래 이 부분은 고무마개로 막혀져 있다. *위에처럼(1번) 나머지 3개의 구멍은 샹크너트로 구멍을 막는다. *산부 샹크볼트와 너트 *연부원형와샤를 반드시 사용하여 체결한다. *먼저 말비계에 올라간다. *밖에서 안으로 (위에서 아래로) *볼트에 원형와샤를 넣은 상태로 바로 구멍에 넣는다. *분전반외함(판넬) 안에서 샹크너트를 손볼팅한다. *14미리 스패너 *또는 앰팩과 14미리 복스알을 사용하여 체결한다. *판넬 내부에서 아이마킹 실시한다. *판넬 정면 위로 보고서 2시 40분..
판넬 내부에 있는 천정샹크볼트너트,바닥샹크볼트너트,뒷면육각볼트에도 아이마킹하라고 한다. ●검측을 하고나면 새로운 작업 규정이 생긴다. 특히 피터치랑 아이마킹에 대한 것이 잘 바뀐다. ●이 번에도 아이마킹에 대한 규정이 바뀌었다. ●판넬 상부 천정에 샹크볼트 너트를 체결한다. 4군데인데 그 중 하나는 편조선 접지를 연결하는 용도로 사용한다. 트레이와 판넬에 편조선 접지로 연결하는 것이다.14미리로 체결한다. *판넬 밖에서 안으로(위에서 아래로) 샹크볼트를 구멍에 끼우고 *안에서 샹크너트를 체결하고 스패너나 임팩으로 조인다. *안에서 아이마킹을 한다. *이 작업을 위해서는 말비계가 필요하다. ●판넬 안쪽 뒷면에 있는 6개의 육각너트도 아이마킹한다. *볼트캡으로 덮여 있다. *먼저 볼트캡을 제거하고 *아이마킹하고 *볼트캡을 씌우면 된다 ●판넬 내부 바닥에도 샹크볼트 너트가 6개 여기도 역시 아이..
피터치 1,3,5만 바꾸세요,무슨 말일까? ●사전검측 작업 지원이다. ●사전검측해야 할 판넬을 꼼꼼히 확인해 보고 미비된 사항을 체크한다. ●가장 먼저 확인하는 것이 피터치이다. 가장 많이 실수하는 부분이라 민감한 부분이다. 이 부분은 본인에게도 좀 어려운 부분이다. 시력이 약해서 집중해서 꼼꼼히 보는 것을 자꾸 포기하게 한다. 작은 글자들 중에 잘못된 것을 찾아내는 것이다. 쉽지않다. ●토오크상태 확인, 아이마킹 상태 확인, 볼트 조임 상태 확인, 구서마감 상태확인, 케이블청소 상태 확인,청소 상태 확인, 단말 상태 확인,등 전반적인 내용을 모두 다 점검하고 미비된 부분을 찾아내는 것이다. ●드디어 삼성물산 1명, 두원 관리자 2명이 왔다. 우리 작업자는 2명다. ●사전검측 중이다. 삼성물산 분이 피터치 내용 중 오기된 것을 찾아냈다. ●4층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