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레이스웨이작업

(76)
앤드캡 커버는-55 수평칸막이(세퍼레이터)는 -65 /70×40레이스웨이(R/W) *레이스웨이(R/W) 바디를 쭉 쭉 달고 나가다가 결국은 끝단부에 도달한다. *레이스웨이 끝단부는 앤드캡으로 마감해야 한다. *앤드캡은 바디 끝단부에 설치하고 나비 너트를 돌려 조으면 된다 *앤드캡을 설치 후에 수평칸막이를 재단하려면 바디 치수에 -65를 해준다 *만약에 바디 치수가 400이라면 400-65=335이다. *앤드캡을 설치 후에 레이스웨이 커버는 바디 치수에 -55한다. 400-55=345이다.
2300으로 이미 설치해 둔 70×40 레이스웨이(R/W) 바디를 4860으로 재단하기 *2300으로 이미 설치해 둔 70×40 레이스웨이(R/W) 바디를 4860으로 맞추어야 한다.구멍은 2000과 2800이다 * 위에처럼 먼저 재단하기 전에 먼저 2300이 어떻게 재단되어져 있는 지를 파악해야 한다. *그 이유는 등을 취부해야 하고 그러려면 등기구의 등 구멍을 맞추어야 한다. 등에는 2개의 금구로 고정하는 데, 금구와 금구 사이가 800, 즉 구멍과 구멍의 사이가 800이다 *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마지막 구멍이 2200이고 나머지는 +100으로 모두 2300으로 재단하여 이미 설치되어져 있다. *2000과 2800에 구멍이므로 2000 구멍은 제대로 맞추어져 있다 *이제는 2800을 맞추어야 한다. *2200이 구멍이고 나머지는 +100 상태이다. 일단 200간격의 구멍을 만들어서 2..
6mm pp로프 삼부전산볼트로 디밍선 입선.레이스웨이(R/W) 작업 중에. *티엘이 못 들어가서 A형말비계로 작업 중이다. 이동에 제한이 많다. 손이 닿지 않는 부분도 많다. *레이스웨이(R/W) 디밍선 입선하고 커버를 덮는 작업이다.*위에처럼 3방까지 보내서 정션박스에서 아래로 늘어뜨려 두려고 한다. 일단은 한 라인 마무리하고 이동해서 다시 작업을 이어 가려고 한다.*삼부전산볼트에 끝에 Y자 모양의 것을 만들어 달았다. *6mm pp로프 한 쪽 끝을 동그랗게 고리를 만들었다. *삼부전산볼트 Y자에 6mm pp로프를 걸고 앞으로 쭉 밀어 넣고 정션박스를 넘어가도록 한다. *그 다음은 로프를 아래로 떨어뜨린다. *전산볼트를 빼서 로프의 동그라미에 걸어서 아래로 내려 아랫 사람이 잡을 수 있도록 한다. *pp로프에 디밍선을 테이핑한다. *아랫 사람이 로프를 살살 당긴다. *디밍선을..
2800구멍 맞추고 2700으로 재단하여 두 개 만들기.레이스웨이(R/W) 세퍼레이터(수평칸막이) 제작. *레이스웨이(R/W) 세퍼레이터(수평칸막이) 제작 작업을 하려 한다. *디밍선을 통과 시킬 구멍의 위치가 2800이다. *2800으로 재단하여 세퍼레이터를 끼우면 너무 길어서 디밍선을 아래에서 위로 끼우기가 쉽지 않다. *그래서 구멍 주위로 잘라서 길게 넣고 구멍이 있는 짧은 것에 디밍선을 끼우고 덮는다. *세퍼레이터는 온장이 3000이고 구멍은 100 300 500 700 900... 2700,2900,+100 *2800은 구멍의 위치가 아니다.*2700과 300으로 두 개를 만든다. *300을 방향을 바꾸어 넣는다 *그러면 2700과 300으로 만들고 2800에 구멍을 위치하게 한다. *구멍의 위치가 100 차이일 때는 이렇게 한 번에 할 수가 있다. * 한 번의 재단으로 구멍 간격을 맞추고 두 조각..
레이스웨이(R/W) 디밍선 작업 시에 가위,전산볼트를 사용해 보기. *레이스웨이 디밍선 작업 중이다. *세퍼레이타라고 하는 수평칸막이, 디밍선칸막이 덮기 * 그 위에 정션박스 세퍼레이타를 덮기 *디밍선을 입선하기 *디밍선 연결하기 *레이스웨이 커버 덮기 *정션박스 카바 덮기 *등에 있는 보호 필름 제거하기 *마무리 *레이스웨이(R/W)에 입선하고 수평칸막이(세퍼레이터)를 덮을 때 : 먼저 결선한 부분을 정리하자. 결선 후에 하나로 뭉쳐서 케이블타이나 테이프로 묶어 두었다면 뚜께 때문에 덮기 어렵다. 3방으로 결선할 때에 길게하고 각 각 길이를 다르게 하여 결선을 해 주면 결선 후에도 한 곳에 뭉쳐지지 않고 분산되어 진다. 짧게 결선하여 한 덩어리로 뭉쳐두면 덮을 때 어렵다. 묶어둔 케이블 타이나 테이프를 제거하고 각 각 분산 시켜 두자. *특히 금구 주위에서 멀리 떨어뜨..
레이스웨이(R/W) 정션박스 커버(덮개) 달기 *레이스웨이(R/W) 커버(덮개)를 덮을 때 정션박스 커버(덮개)도 같이 덮어주는 것이 좋다. 이제 정션박스 커버를 덮고 나면 이제는 더 이상 올라갈 일은 없다. 그래서 이 작업을 하면 미비된 부분도 함께 손을 보고 있다. *정션박스 커버를 덮는 방법을 보자 *사각형 모양이고 2면에 볼트 구멍이 있다. *정션박스에는 2개의 볼트가 꽂혀 나온다. *정션박스 박스 커버작업을 위해 필요한 공구는 드라이브와 첼라이다.드라이브는 자석달린 드라이브가 좋다. *먼저 정션박스에 있는 볼트를 풀어준다. *커버를 올려보고 불필요한 부분을 정리한다. * 자세에서 맞은 편에 있는 볼트를 손으로 맞추고 어느 정도만 조은다. 손으로 끼우고 손으로 돌려 끼워둔다. *그 다음은 자석달린 드라이브에 볼트를 꽂아서 옆에 잘 둔다. 왼 ..
디밍선 입선 시에 삼부전산볼트를 사용해 보자.레이스웨이(R/W) 작업 중에. *레이스웨이(R/W) 작업 중 막바지 작업 중이다. 입선 작업을 끝내고 불도 밝혔다. 별 문제 없이 여기까지 잘 왔다. *지금은 수평칸막이를 덮고 디밍선을 깔고 덮개를 덮는다. *수평칸막이를 덮기 전에 송풍기로 불어 청소를 한다. *디밍선을 입선할 때에 삼부전산볼트를 사용해 보았다. 굵기가 딱이다. 테이핑으로 살짝 감아서 쭉 밀어 두었다. 그 상태로 바로 덮개를 덮는다. 그리고 커버밴드를 끝 부분 치고 중간에는 가능하면 치고 여건이 안되면 그냥 둔다. *다음으로 이동한다 *이동 후에 삼부전산볼트에서 테이프를 떼고 삼부전산볼트를 빼낸다. *그리고는 중간에 커버클램프를 치고 끝단부에 하나 더 친다 *해 본 소감은 괜찮았다.
버티칼엘보 수직값-70 수평값 -70 레이스웨이 (R/W)70×40일 때 *레이스웨이 작업 중 쭉 가다가 높이 300을 올려서 가는 작업이다. *도면을 보고 올라가는 위치를 확인하여 바디에 체크를 하고 재단하여 준비한다. 도면에는 수평거리로만 나와 있으니 도면대로 수평길이로 재단을 해 둔다. *준비된 바디에서 위로 올라 가는 지점을 확인하고 자른다. *올라가는 시작점에서 자르고 거기서 70을 띄워서 또 자른다. 그러면 3개가 된다. *단관을 준비한다,레벨 차이(높이)300에서 버티칼엡보 수직값-70을 한다. 300-70=230 *230으로 재단하여 준비하여 둔다. *위에 사진처럼 1번을 버티칼 엘보in에 수평으로 끼우고 2번은 버린다. *미리 준비해 둔 4번 단관 230을 버티칼엘보in과 out 사이에 수직으로 끼운다. *3번을 버티칼엘보 out에 수평으로 끼우고 조립한다. ..
레이스웨이(R/W)수평칸막이(세퍼레이터),정션박스용 수평칸막이,디밍선 입선, 커버(덮개).커버밴드 작업 *세퍼레이터,레이스웨이의 수평칸막이를 부르는 말이다. *#수평칸막이, #세퍼레이터를 덮고 디밍선을 깔고 다시 #레이스웨이(R/W)커버(덮개)를 덮고 커버 밴드를 치면 된다. *수평칸막이는 인터넷 상에서도 찾기 어려운 제품인 듯하다. 레이스웨이 작업 중에 입선한 일반 케이블과 #디밍선을 아래 위로 분리하기 위한 제품이다.바디와 동일하게 구멍이 있다 규격은 위에 사진을 참고하면 될 것이다. *입선한 후에 이 수평칸막이(세퍼레이트)를 레이스웨이에 덮는다. 입선한 지 시간이 오래 지나서 바디 안에 먼지 등 오염물이 많다. 송풍기로 훅~한 번 불어주고 수평칸막이를 덮는다. *이미 디밍선은 바디 위로 2개를 빼 둔 상태다. *수평칸막이를 구멍에 맞추고 금구에 노크너트를 끼우고 위에서 아래로 구멍에 끼운다. 그 다음..
이형와샤, 사각절곡와샤.찬넬브라켓고정와샤.... 대체 이것의 명칭은? *아래에 사진을 하나 보자 *요즘 많이 사용하는 와샤이다. 40×40 찬넬을 고정 시킬 때 사용한다. 사각와샤를 사용해도 되지만 이 와샤를 사용하여 고정한다. 사각모양에 양쪽에 90도로 절곡된 부분이 있어 찬넬을 고정 작업을 할 때 편하다. *사각와샤는 고정 시에 돌아가서 방향을 잘 맞추어 주어야 한다. *문제는 이 와샤의 명칭이 무엇인가?이다. 사용은 많이 하는 데 정해진 명칭이 없다. *전에는 사각절곡 와샤라고 불렀다. 사각모양에 절곡된 부분이 있으니 그렇게 부르는 모양이다. 이름을 딱 듣고 보면 어느 것인지를 알 수가 있다. *지금은 이형와샤라고 부른다. 다른 모양, 이상한 형태의 와샤라는 의미다. *인터넷에서는 무엇이라고 할까? 인터넷에서도 찾기가 어려운 것이다. 찬넬브라켓고정와샤라고 검색하면 나..
레이스웨이(R/W) 입선 시에 CD전선관,ELP전선관,요비선 사용하기 *레이스웨이(R/W) 입선 할 때에 CD전선관,ELP전선관 사용했다. *먼저 위치를 잡고 입선 대기한다. *레이스웨이는 날카롭기 때문에 보양을 잘 해주면 좋다. *CD전선관이나 ELP전선관을 잘라서 배를 따서 보양하면 유용하다. *요비선 처음 부분에 케이블타이로 여러 개로 앞에 둥글고 점저 가늘어지는 닭봉 모양으로하여 끝에 테이핑해 주었더니 좋다
레이스웨이(R/W) 바디가 들어가지 않을 때는 잘라서 일자 조이너를 넣기 *레이스웨이(R/W)가 거의 다 되어간다. 작업 중에 바디를 끼울 수가 없는 부분이 나왔다. 앞뒤 좌우 사방이 연결되어져 있어 밀려지지 않는 경우가 생겨 바디를 끼울 수 없게 된다. 힘으로 하는 방법, 정션박스 돌출부를 반 정도 자르고 끼우는 방법.... 여러 방법이 동원될 것이다. * 일자 부분에 조이너를 풀고 안되는 부분 먼저 끼우고 다시 일자 부분을 해결하는 방법 *일자 부분을 자르고 안 되는 부분 먼저 해결하고 다시 일자 부분에 조이너를 넣고 연결하는 방법 *조이너를 연결할 때 한쪽으로 완전히 밀어 넣은 후에 바디를 잘 맞추고 조이너 당겨서 반, 반 물리게 하여 연결하는 방법이다. *더 좋은 방법도 있을 테지만.... *이렇게 해결함도 괜찮다
110×50레이스웨이(R/W) 엘보 단관 길이는 치수에서 155를 빼 주자 *레이스웨이(R/W) 엘보 2개를 설치했다. *110×50레이스웨이 엘보 정션 박스 사이즈는 155이다. *먼저 치수를 재자. 1과 2처럼 벽에서 재고 1에서 2의 치수를 뺀다(390) *3과 4를 빔을 기준으로 각 각 센타까지 재고 4에서 3을 뺀다(405) *1번 단관 길이는 390에서 정션박스의 사이즈 155를 빼주면 된다 *390-155=235 *2번 단관 길이는 405에서 정션박스의 사이즈 155를 빼면 된다. *405-154=250 *110×50 바디를 235와 250 으로 재단하여 단관을 각 각 끼우면 된다. *실질적으로 계속 작업을 하여 서포트를 걸고 행거를 내려서 바디를 걸어야 한다.
벽체타공과 레이스웨이(R/W 110×50) 관통부 방화보드 마감 작업 *레이스웨이(R/W)110×50 벽체 타공 작업과 관통부 방화보드 마감 작업을 했다. * 벽체에 타공 위치를 잡아 사각형으로 표시한다. *레이스웨이 규격보다 좀 크게 낸다. 110×50 사이즈이니 150×80 정도는 해야 한다 규정은 아니니...알맞게... *먼저 홀쏘나 굵은 철기리등으로 모서리에 타공을 하여 톱이 들어 가도록 한다. *컷쇼로 사각형으로 타공한다. * 다음은 타공한 관통부를 방화보드로 마감하는 작업이다. *위의 규정을 참고하면 좋을 듯 하다. *레이스웨이 카바와 방화보드를 준비한다. *레이스웨이는 110×50 사이즈이고 벽체의 두께는 160이다 *먼저 레이스웨이 카바를 준비하자 * 벽체 160+방화보드 두께 양쪽 20 (각 각 10씩)+방화보드에서 30씩(양쪽 60)=240 *160+20..
레이스웨이70×40 수평칸막이라고 했구나. 요즘은 세퍼레이트라고 한다. *요즘 수평칸막이 작업 중이다. 세퍼레이터라고도 한다.그런데 요것의 명칭이 요상하다. * 건설현장에서의 명칭이 워낙 많지만 요것도 그렇다. 올해는 세퍼레이트라고 부른다.*전에는 수평격벽이라고 했다. 올 해는 뭐라고 하는가? 세퍼레이터라고 한다. *그런데 휴대폰 사진을 보다가 이것에 관계된 사진을 찾았다. 바로 위의 사진이다. 인터넷에서도 안 나오던 사진을 작년에 카톡으로 받았었다. * 수평칸막이라고 분명히 명시되어져 있다. *같은 회사, 같은 현장, 같은 사람들,같은 작업인데도 작년과 올 해가 다르다. *작업에 관한 것은 더 좋음 방식을 택하여 변화가 있을 수가 있다. 그런데 명칭은 동일해야 하지 않을까?
레이스웨이(R/W) 수평칸막이,세퍼레이터, 수평 격벽, 중간 카바.중간 덮개... *레이스웨이 작업 중이다. 디밍선을 넣기 위해 레이스웨이 바디에 중간 카바 같은 것을 바디 중간에 넣어 준다. 이것 이름을 뭐라고 하는지 모르겠다. 수평칸막이,세퍼레이터, 수평 격벽, 중간 카바, 중간 덮개... 확실한 이름을 모르니.... 전에는 수평칸막이라고 했는데..... 이번에는세퍼레이터라고 한다. 이렇게 사용하기로 했나보다. 사실 이 말은 트레이나 덕트에서도 사용하는 용어이다. 분리대라는 의미를 가진 영어이다 * 이것도 레이스웨이 바디와 똑같은 사이즈이고 똑같은 사이즈의 구멍이 있다. 등에도 구멍이 2개인데 하나는 전원을 공급하고 1개는 디밍선 구멍이다. *세퍼레이터를 디밍선 구멍을 맞추고서 재단한다. 디밍선이 들어갈 위치에 구멍을 내고 금구에 노크너트 끼우고 위에서 아래로 세퍼레이터에 끼운다...
상부브라켓, 시스템찬넬을 사용하여 레이스웨이(R/W) 바디 작업 *레이스웨이 작업 중에 벽에 상부브라켓을 사용하여 시스템찬넬을 걸어야 하는 곳을 만났다. *먼저 아래 사진을 보자 *시스템찬넬 부속품 중에 상부브라켓이다.*시스템 찬넬이다. 구멍과 구멍은 50이다.*위에처럼 생긴 것은 벽체브라켓이라고 한다. 참고로 가져왔다. 오늘 작업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명칭은 제 각각 좀 다르게 부르기도 한다. *이제 작업을 해보자 빔에 타공이 되어져 있어서 그냥 사용하기로 했다. 벽체는 석고보드로 되어져 있다. 석고보드용 앙카(토우앙카나 토글로 앙카..등)를 사용해야 하지만 그냥 석고 피스를 박기로 했다. *석고보드 벽체에 상부브라켓을 고정한다. *빔에 있는 타공 구멍을 사용하여 시스템 찬넬을 고정한다. 100짜리 삼부전산볼트에 샹크너트+ 이형 와사+시스템찬넬+빔+샹크너트로 체결..
레이스웨이 입선 준비 시에는 피터치와 테이핑을 기억하자 *레이스웨이 입선을 준비할 때 케이블에 3000에 한 장 씩 부착한다. *일반적으로 등 간격을 고려 한다고 하면 등 좌나 우에 손 닿는 곳에 하나 붙이고 정션 박스에 부착해 주면 거의 맞는 경우가 된다. *테이핑은 레이스웨이에 몇 개의 회로가 들어가냐에 따라 달라 진다. 1개의 회로가 들어 갈 때는 3000정도에 해도 되고 좀 다르게 해도 별 문제가 없다 케이블을 정리하기 위한 용도이기 때문이다. *회로가 2개 이상이 들어갈 때는 1000에 한 번씩 테이핑 하는 것을 추천한다. *일반등에 흑백녹. 비상등에 청청녹.UPS등에 적적녹이 들어간다. 이것이 함께 들어가는 경우 등에서 결선을 시도할 때 녹색을 구분하기가 쉽지 않다. 이 때를 대비하여 한 손 뻗어면 될 만한 거리쯤에 테이핑을 해 주면 좋다. 손을 ..
레이스웨이(R/W) 바디를 재단할 때는 항상 등기구 등센타 구멍을 고려하자. *바쁘게 작업중이다. 작업 뿐만 아니라 생각도 하며 하려니 실수도 많다.바쁘게 막 하다보면 습관적으로, 반사적으로 작업을 하는 때가 많다. 어떤 이는 이를 딱 보면 안다라고 표현을 한다. 생각하며 하려고 해도 깜박하고 실수를 할 때가 많다. *사실 함께 일하는 동료들의 도움이 있으면 좀 더 좋다. *레이스웨이 바디를 재단할 때는 항상 등기구가 달릴 때에 필요한 등구멍의 치수를 고려해야 한다. 기억하고 기억을 해야 한다. *좁은 공간에 A형안전발판 사다리(A형말비계)를 준비하고 사다리 허가서를 받고 사다리 위에 올라가서 작업을 하는 것이다. 티자 정션박스(클로스,3방)에 730짜리 바디 하나를 잘라 붙이는 작업이다. 빠르게 바디를 재단하여 붙여두고 내려와 점심을 먹으려고 출발... 그 때 갑자기 아차.. ..
45도 버티칼(수직) 엘보 시공 ,70×40 레이스웨이(R/W) 작업 중 *레이스웨이(R/W)작업 중 45도 버티칼(수직)엘보를 만나 시공하려 한다 *70×40 레이스웨이 이고 45도in,out을 사용하여 시공하려 한다. *먼저 45도 in,out대해 알아보자 *기본적으로 45도 버티칼 엘보 in,out을 서로 붙여 45도를 만들면 높이 165, 단관 195 엘보와 엘보 사이는 225이다. *in엘보의 접속부 90, 엘보 값(엘보 꼭지점에서 끝) 30이고 *out 엘보의 접속부 105, 엘보 값(엘보 꼭지점에서 끝) 15이다. *그럼 레이스웨이 70×40의 45도 버티칼(수직) 엘보를 시공해 보자 *먼저 도면에서 버티칼 엘보를 시공할 부분의 직선 길이를 재고 레벨의 차(높이)를 확인한다. 직선으로 잘라야 할 바디 전체 길이는 2450이고 높이는 200이다 . *최소 높이가 1..
90도 버티칼(수직) 엘보 시공 .70×40 레이스웨이(R/W) *70×40 레이스웨이(R/W) 90도 버티칼(수직) 엘보를 시공했다. *먼저 도면 치수에 맞게 레이저를 띄우고 시스템 찬넬을 걸었다. *레벨을 재고 행거의 전산볼트 길이를 계산하여 재단하고 행거를 조립한다. *행거를 달고 레벨을 맞춘다 *이제는 본격적을 90도 버티칼 엘보를 시공해야 한다. *먼저 도면을 보고 버티칼 없는 그냥 스트레이트 치수로 재단한다.2550에서 정션박스 값 100을 빼 주면 2450이다. 2450에서 재단을 해 보자. *먼저 정션박스를 보자 *위는 70×40규격이고 사각형은100×100, 분기되는 접속부는 70이다. *70×40의 90도 버티칼(수직) 엘보이다. 기본 높이 즉 in,out를 맞붙였을 때의 높이가 240이다.그러니까 최소 레벨 차이가 240이상이어야 한다는 것이고 2..
레이스웨이(R/W) 바디를 등구멍 계산하여 재단하기 *RaceWay 레이스웨이(R/W) 바디를 재단할 때 등기구의 등 구멍이 바디의 구멍에 맞추어서 해 주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등 구멍을 모두 22홀쏘로 뚫어야 한다. 등 구멍을 등 간격에 맞게 재단하는 방법을 보자. 먼저 등기구는 아래처럼 위치한다.*레이스웨이(R/W)의 바디에는 구멍이 있고 위에서 톡 때리면 떨어져 나가며 구멍이 생기도록 되어져 있다. 바디 처음에서 첫 구멍까지는 100 그 다음부터는 200 간격으로 마지막 구멍에서 바디 끝까지는 또 100이다. 등센타 구멍에서 앞으로 두 칸 (즉 400) 뒤로 두 칸(400)에 구멍을 내고 금구로 등기구를 부착한다. 등센타가 바디의 구멍에 위치해야 한다는 것이다. *등센타가 바디의 구멍에 위치하도록 재단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가장 기본적이고 단순..
레이스웨이(R/W) 정션박스와 정션박스 사이의 단관 길이 계산하기 *레이스웨이 작업 중이다. 거의 막바지 작업이다. 정션 박스에서 정션박스 사이의 단관 길이를 계산해 보자. * ㄴ자 엘보까지의 단관을 잘라서 붙여야 한다. 쭉욱 등을 달며 오다가 이제는 마지막으로 단관을 잘라 붙이는 작업이다. 도면 따라 쭉 하다보면 오차가 발생하는데 등이 없는 부분에서 수정해 주는 것이 좋다. *정션 박스의 단관을 계산하여 잘라 보자.*마지막이라서 레이저를 도면 치수에 맞게 쏘았다(노란색) *바디 치수는 70×40이다. 이 정션박스는 100×100이다. *정션박스(파란색)에서 줄자(적색)로 다음 정션박스의 센타까지(레이저 불빛까지) 잰다. 530이다. 정션박스에서 다음 정션박스 센타까지 재었으므로 -50만 빼 주면 된다. 정션 박스의 크기은 100이고 정션박스 센타에서 정션박스 면까지는..
케이블 트레이 아래에 레이스웨이 행거를 달 때는. *레이스웨이 작업 중이다. 시스템 찬넬을 걸고 행거를 걸 때 조심해야 할 위치가 있다. *트레이 아래를 지나갈 때 트레이를 향하여 전산볼트의 남은 길이가 길면 케이블에 닿아서 손상을 줄 수가 있다. 되도록이면 트레이 아래에 위치를 잡지 않도록 하고 트레이 옆에 잡아 주는 것이 좋다. 트레이 아래에 행거를 달아야 하는 경우이면 행거의 전산볼트 길이를 잘 조절하여 길게 남지 않도록 하고 전산볼트 캡도 씌워 주는 것이 안전하다. * 레이스웨이 분기점에는 300이내에 하나씩 달아주는 데 250쯤에 맞추어 달아주는 것이 안전하다.
레이스웨이(R/W) 피터치 부착 방법 변경 *레이스웨이(R/W) 작업 중에 피터치를 부착하는 방법이 변경되었다. 갑작스럽게 변경되었다. * 케이블에 3000에 하나씩 붙이는 것은 동일하다. *등 중앙에 붙이던 피터치는 붙이지 않는다. *정션박스 부분이다. 여기서도 케이블에는 붙이지 않는다. 분기되어진 곳에서 50mm 떨어진 곳에.렛.늬
레이스웨이(R/W) 구간 변경, 90도 엘보로 꺽어 가기.배관 피하기 *레이스웨이(R/W) 작업 중 레이스웨이 바디와 배관이 동일하게 지나가게 되어 90도로 변경하여 가기로 했다. 위의 사진처럼 A를 C로 변경하는 작업이다. *A의 치수 2400에서 정션박스 값 100을 빼 주면 실제적인 바디의 길이는 2400-100=2300이다. *1번처럼 400가서 90도 엘보를 사용하고 250으로 가고 다시 90도 엘보를 사용하여 원래 방향으로 가는 것이다. 먼저 재단해 놓은 2300을 가져 와서 300을 자르고 또 다시 100(정션박스 값)을 잘라서 버린다. 250으로 벌려서 갈 것이기에 단관은 250-100=150을 재단해 둔다. 엘보에 300 단관 150 끼우고 엘보에 1900을 끼우고 조립한다. *300+100(정션박스)+1900=2300이 된다 *2번 구간도 마찬가지로 재단..
레이스웨이 등 구멍 치수 계산하기.등가구 부착.입선 쥐꼬리 결선 *레이스웨이 바디를 마저 달고 입선하고 등기구 달고 결선까지 하는 작업을 했다. *먼저 정션박스에서 등센타까지 치수를 계산하여 재단하여야 한다 그 이후에는 쉽다 일정하게 3600으로 쭉쭉 간다. *먼저 도면을 보자.도면에서 등센타에서 레이스웨이 바디의 센타까지를 알 수 있다. 2835이다.여기서 정션박스 센타에서 레이스웨이 접속면까지 치수인 50을 뺀다.그러면 2835-50=2785이다. *보통 도면에서 등센타에서 R/W 한 면까지(센타 아님)재고 여기서 -15를 하면 등센타에서 정션박스 접속부(센타 아님)까지의 치수가 된다.2800-15=2785이다. 레이스웨이 면에서 센타까지 +35,정션박스 센타에서 접속부까지 -50,그러므로 +35-50= -15이다. *이렇게 하여 재단해야 할 바디는 센타 2785..
러그에서 행거까지 전산볼트(로드) 길이 계산하기.레이스웨이(R/W) 작업 중. *레이스웨이(R/W) 작업 중이다.트레이 밑으로 레이스웨이가 지나가는 구간이다. *기둥을 기준으로 줄자로 길이를 재어 표시한다. 두 점이 있어야 해서 또 다른 기둥에서도 길이를 재어 표시를 했다 . *두 점 사이를 먹줄로 매겨야 하지만 생략했다. *표시한 두 점으로 레이저를 쏜다 레이저를 기준으로 바닥에 몇 개의 점을 더 표시해 두었다. *레이저가 비추는 곳 즉 트레이 아래 서포트 앵글에 표시를 했다. * 앵글에 펀칭기로 타공을 한다. *타공 한 곳에 러그를 달아 둔다. *그 다음은 전산볼트(로드)의 길이를 계산하고 재단을 해야 한다 계산 방법은 이러하다 러그에서 바닥까지 거리를 잰다 레이저를 이용하여 재면 가장 정확하다 (4500) 다음은 도면에 기재된 레벨(4000)에 +30을 더한다(4000+30=..
레이스웨이 호리(젠탈) 엘보 치수 계산하기와 호리 단관 길이 계산하기. 이미 달려 있는 레이스웨이 바디 자르고 호리 넣기 *이미 레이스웨이 바디가 도면에 맞추어 제작 되어져 있다.스트레이트 구간이었는데 배관의 간섭으로 인해 호리(젠탈) 엘보 2개 즉 1셋트를 사용하여 400간격을 벌려서 갔다. *1번의 3방에 스트레이트로 걸리는 것이다.중간을 자르고 호리(2와3)를 넣어서 400벌려서 가는 것이다. *알아야 하는 것은 이미 도면의 치수에 맞게 재단되어져 있다는 것이다. * 만약 도면 치수가 2000이라면 왼쪽의 3방, 티자에서 그리고 오른쪽의 3방 티자에서 각각 50씩 빼주어야 한다. 70×40의 경우 대부분의 도면은 정션박스 센타와 센타의 치수이다 정션박스의 크기가 100이다 레이스웨이는 정션박스 센타에서 50되는 지점에서부터 접속이 된다. 그러므로 도면에 2000이라면 2000-100=1900이된다. 바디를 1900으로..
비계에 올라갈 때 개인생명줄,투광등,헤드랜턴 준비하고 출입대장 기록하자. *아래는 네이버에서 찾아 가져왔어요. *비계란? 건축공사 때에 높은 곳에서 일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임시가설물로, 재료운반이나 작업원의 통로 및 작업을 위한 발판이 되는데, 재료면에서 통나무비계·파이프비계, 용도면에서 외부비계·내부비계·수평비계·달비계·간이비계·사다리비계, 공법면에서 외줄비계·겹비계·쌍줄비계 등으로 나뉜다. *레이스웨이 작업 중인데 작업 구역이 하필이면 비계 구간이다. 비계에 올라 가려면 절차가 있다. 먼저 신고하고 허락을 받아야 한다. 우린 그저 우리 안전담당자에게 말해두면 된다. 그 외에 절차는 안담이 알아서 하고 허락이 되어지면 올라가라고 한다. 다른 일을 준비하며 기다린다. 만약에 비계에 쳐 놓은 망을 해체해야 한다면 망 해체 승인을 받아야 하니 좀 복잡해 진다. 미리 미리 얘기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