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케이블 트레이 작업

(153)
수직엘보(버티칼 엘보) 지지대 보강 작업. ●수직엘보(버티칼 엘보) 지지대 보강 작업이다. *높이 1650의 수직 엘보가 이미 설치되어져 있고 홀다운클램프까지 결속되어져 있다. 위에서 아래로 떨어지는 트레이 양쪽에 ㄱ러그를 부착하고 연부 전산볼트 체결하여 고정하여 주는 작업이다. *먼저 위에 ㄷ형장을 가로로 쭉 된다. 수직 트레이 옆 면 중앙의 위치를 정확하게 잡아 ㄷ형강에 마킹하고 타공을 한다. 타공은 충전식 유압 펀칭기를 사용하여 펀칭한다. ㄷ형강에 타공을 하고 기존 설치된 ㄷ형강에도 타공하여 연부 육각볼트와 연부샹크 너트를 사용한다. *러그는 ㄱ앵글 75×75×6t를 잘라서 만든 기성품을 사용했다. 트레이 부착면에 붙을 옆면에는 구멍 2개 있고 러그 윗면 연부 전산볼트를 끼워 고정할 구멍은 하나이다.*러그를 수직엘보 in과 짧은 스트레이트 ..
50×50행거 연부전산볼트 길이 계산하기 +80으로 *450 케이블트레이(cable tray)는 50×50ㄱ앵글(형강)을 사용한다. 기성품도 역시 50×50×600으로 나온다. *전산볼트 길이는 어느 정도로 해야 할까? 전산볼트는 ㄱ앵글 밖으로 튀어 나오지 않아야 한다. 그리고 이 후 공정에서 전산볼트 여산을 사용할 수도 있으니... 그 부분을 감안한다면.... 전산볼트는 연부하고 있다.연부샹크너트 10+연부샹크너트10+연부연결너트 35(연부연결너트 길이70의 반)=55이다 *적어도 ㄱ앵글 아래로 55 정도의 여산을 주는 것이 좋다. 그런데 ㄱ앵글은 50이다. 그러므로 불가능하다는 말이다. 50에서 5mm 작은 45정도로 가야 한다. *50×50ㄱ앵글의 여산은 45로 정하자 *빔이나 ㄷ형강 위로 남길 여산은 35정도.30정도로 하나 계산하기 편하게 35로..
행거와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 렁(rung)의 방향이 일치하지 않아도 될까? *자재가 모두 다 준비되어져 있어서 작업을 한 번에 끝내면 좋은데..... 왠일인지 자재 수급이 원활하지 않다. 이 번 작업도 그러하다. 행거까지 다 걸었는데 케이블 트레이가 없어 미루어 두었다가 이제야 자재가 도착하여 다시 재개한 구간이다. 호리 Tee를 걸고 스트레이트를 걸었다. *호리 엘보 구간에 남겨둔 행거를 하나 걸었다. 먼저 ㄷ형강(50×100×50×6t)을 ㄷ형강과 ㄷ형강에 타공하여 서로 연결했다. 타공은 충전식 유압 펀칭기로 쉽게 2개를 했다. 연부 육각볼트와 연부 전산볼트로 고정했다. ㄷ형강과 ㄷ형강의 연결이라서 테이퍼와샤 2개를 사용했다. 새로 건 ㄷ형강에 타공을 2개하고 연부 전산볼트를 내렸다. 이 사이의 거리를 재서 ㄱ앵글을 주문했다. 구멍에서 각 각 25의 여유를 주어서 ㄱ앵글을 ..
단위 환산과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 명판 부착하기.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의 명판은 관통부에서 1M이내에 양쪽 모두, 10M마다 하나씩 양쪽으로 이다. ●단위 환산을 하여 대충 어느 정도인지 알아보자. 휴대폰 계산기 앱에 단위 환산 기능이 있어 사용해 봤다.*1cm=10mm 1M= 100cm= 1,000mm 10M= 1,000cm =10,000mm *현장의 큰 기둥과 큰 기둥 사이가 10M정도/케이블 트레이 렁 50개/트레이 3개와 1/3이 10M이다. *1M는 케이블 트레이 렁 5개고 트레이의 1/3이다. *300mm 트레이 렁 1개 반이다. ● 그렇다면 케이블 트레이의 저압 명판,고압 명판 등은 어디에 부착해야 할까? *벽체 관통부의 안쪽과 바깥 쪽의 트레이 렁 5개이내에 트레이 양쪽에 부착한다. *입상트레이 즉 바닥을 뚫고 나온 것에도..
EPS실이란? EPS room이란? *금일은 EPS실에서 접지 포살 작업을 했다. * 그런데 뭔지도 부르고 있는 EPS실 대체 무슨 뜻일까요? *여기의 문을 열면 바닥에서 수직으로 쭉쭉 뻣은 케이블 트레이들이 있고 트레이에는 굵직한 케이블이 꽉꽉 차있다. 접지도 얼마나 많은 지..... *EPS란 electrical Pipe shaft의 약자라고 한다. 해석하면 전기전용 통로가된다. *동력용 전선,전등용 전선, 전열용 전선 등 여러 종류의 전기 관련된 전선이 이 통로를 통하여 수직, 수평으로 설치된 통(shaft)이란 뜻이고 이런 것이 많이 모아 둔 곳이 EPS실 또는 EPS room이라고 한다.*실질적으로 여기를 열어 보면 바닥에서부터 위로 트레이들이 서 있고 밖에서 벽을 관통한 트레이가 수평으로 겹겹히 쌓여 있다. 그리고 그 트레이 위..
케이블트레이(cable tray) 레듀샤(reducer) 방향은?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 레듀샤(reducer)는 방향이 있다. 스트레이트는 문제없이 알 수가 있다. *레듀샤오른쪽 타입과 왼쪽 타입은 구분이 좀 어려울 때가 있다 *레듀샤 종류의 방향에 대해 알아보자. ●레듀샤 스트레이트(reducer straight).*레듀사 스트레이트(reducer straight)는 쉽다. 양쪽다 모두 줄어든다. ●다음을 보자*1번과 2번을 구분하여 보자 ●레듀사 왼쪽(reducer left) : 먼저 넓은쪽(w1)에서 좁은쪽(w2)으로 보고 선다. *1번은 왼쪽이 스트레이트이고 오른쪽이 줄어든다. 이런 레듀사를 레듀사 왼쪽(reducer left)이라고 한다. ●레듀사 오른쪽(reducer right): 똑같이 넓은쪽(w1)에서 좁은쪽(w2)으로 보고 선다. *2번..
밀워키 충전 전산볼트 커터의 사용법과 사용설명서 파일 ●현장에서 삼부 전산볼트와 연부 전산볼트를 재단할 때 사용하는 전동공구인 밀워키 충전 전산볼트 커터의 사용법에 대하여 알아 보자. ●간단하여 딱 보면 따라할 수 있지만, 사용 설명서에서는 어떻게 말하고 있는지를 알아보려고 한다. ●아래는 명칭이다.1. Benchtop supports:한국말로 어떻게 표현해야 할 지 모르겠는데...바닥에 눕혀놓고 작업할 때 이 부분이 작업대가 된다는 의미로 벤치탑서포트 2. LED 3. Fixed die 고정용 다이스 4. Movable die 이동용 다이스 5. Hex wrench (5 mm) 육각렌치(5 mm) 6. Release trigger 릴리스 트리거, 되돌아가기 버튼 7. Handle / Insulated gripping surface 손잡이/절연 그립 표면 ..
밀워키 충전 마그네틱 드릴 사용법과 사용 설명서 파일 *밀워키 충전 마그네틱 드릴 사용법을 사용 설명서를 토대로 봅니다. *10T이상 되는 빔을 타공할 때 마그네틱 드릴을 사용하고 있다.덜 두꺼운 것은 충전용 유압 펀칭기를 사용한다. *위의 사진은 밀워키 충전 마그네틱 드릴 세트이다.마그드릴이라고 약칭하기도 한다.무선이고 밧데리를 사용한다.현장에 이 세트 전체가 공급되는 것은 아니다.위에서 동그라미는 현장에서 보지 못했고,대신에 드릴 자동 시 분진이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커버와 라쳇바(깔깔이바)가 추가 되어지고 pp로프로 이탈 방지끈을 달아 두었다.실제 지금 현장에서 그렇다는 것이다. *위의 사진은 완전히 동일하지는 않지만 비슷한 유선 밀워키 제품이다. 전원스위치,작업용 핸들,회전형 자석조절기, 척 등이 자주 사용하는 것이다. *다음은 밀워키 충전 ..
충전식 유압 마끼다 홀 펀칭기 사용 방법 및 취급설명서 파일 * 우리 현장에서 사용하는 전동 공구이다. 충전식 유압 마끼다 홀 펀칭기!! 일반적으로 그냥 펀칭기라고 부른다. *펀칭기가 현장에 없었을 때는 보통 홀쏘로 타공을 했다. 지금은 거의 모두 다 펀칭기로 해결한다. *펀칭할 수 있는 두께는 8T까지라고 한다. *ㄷ형강이나 ㄱ앵글(형강)을 타공할 때 많이들 사용한다. *빔을타공할 때는 마그드릴로 타공한다.마그네틱 드릴을 마그드릴이라고 한다. *위의 사진이 바로 현장에서 사용 중인 펀칭기다. 무겁지만 한 방에 시원하게 타공이 되니 좋다. 여름에는 들기만해도 땀이 주럭 주럭 난다. 사진은 인터넷에서 복사해 왔다 *위의것도 인터넷에서 찾아 왔다. 명칭도 모르고 사용하다가 이것을 보고 조금 알게 되었다. 많이 사용하는 것을 보자. *7번 스트리퍼: 위의 사진의 1번 ..
사이드클램프50,홀다운클램프35/케이블 트레이(cable tray)작업 *기존에 되어져 있는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에 이어서 계속 신설하는 작업인데 간섭되는 것이 많아 같은 라인으로 못 가고 새로운 라인을 잡아 서포트를 걸었다. 기존의 행거를 그대로 사용할 수 없어 다시 제작했다. *ㄱ앵글(형강)은 75×75×6t를 사용하여 재단했다. *앵글에 타공까지 하려고 치수를 계산했다 *먼저 기준으로 트레이 면을 잡았다. 기존부터 해 온 트레이를 기준으로 트레이면 수치를 잡았다. *600트레이 이므로 기준 트레이면에서 600가면 반대편 트레이 면이 된다 . .여기서 안쪽으로 35하면 홀다운클램프 구멍이 된다. *트레이면 라인에서 바깥으로 50하면 사이드클램프의 구멍이 된다. *기성품이라면 25에 전산볼트 여기서 50하여 트레이 여기서 35하여 홀다운클램프다. 25+50+..
케이블트레이 본딩접지점퍼 설치하기 *입상 케이블 트레이를 박스컨넥터로 판넬과 연결 후에 판넬과 케이블트레이에 본딩접지점퍼를 연결하는 작업을 하려고 한다. *여기에 본딩접지점퍼로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와 판넬을 연결해야 한다. *입상 트레이에는 조인트에 있는 샹크볼트,샹크너트를 풀어서 본딩접지점퍼를 끼우고 다시 조은다. *이 때에 본딩접지점퍼의 앞 뒤를 구분해야 한다. 이것을 보면 한 쪽에는 쏙 쏙 들어간 부분이 있는 쪽과 그냥 맨들맨들한 쪽이 있다. *쏙 쏙 들어가 있는 부분이 트레이나 판넬 면에 접촉되도록 작업을 하면 된다. *트레이 쪽에는 샹크볼트,너트를 풀고 쏙 쏙 들어간 면이 트레이에 접촉되도록 끼우고 다시 조으면 된다. *다음은 판넬쪽이다. *판넬에는 13mm홀쏘로 타공을 한다. *타공된 주위에 있는 페인트를 미니와..
입상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와 박스 컨넥터, 판넬의 체결 *어제 이어 계속 작업을 한다. 내린 입상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와 판넬의 위치가 달라서 판넬을 조정하기로 했다. 판넬에 있는 인입구와 트레이 박스 컨넥터가 맞지 않아 재단하기로 했다 *일단은 입상 트레이와 판넬 위치를 보고 먼저 어느 정도 판넬을 움직일지를 결정했다. *판넬을 모두 해체하고 다시 마킹 작업을 한다. 역시 여기도 나비앙카(토글앙카)를 사용한다. *바이메탈 홀쏘 27(현장에서는 28이라고 하는 데 이런 규격이 있는 지....)과 드릴로 벽체를 타공한다. 이 때 쉽다고 한 번에 끝내려고 힘껏 작업을 하다보면 석고보드가 홀쏘에 끼이는 경우가 많다. 보통 벽체가 3겹인데 살살 흔들어 주며 한겹씩 3번에 한 구멍을 타공하면 잘 끼이지 않는다. 혹시라도 끼이더라도 드릴를 돌리며 딱딱한 ..
입상 케이블트레이(cable tray) 설치 작업 *입상 트레이를 판넬까지 내리고 고정하는 작업이다. *다른 팀이 수직으로 떨어지는 부분, 즉 버티컬 엘보(V/E) 90도 out까지 작업해 둔 상태다. *버티컬부분과 트레이 스트레이트(s/t)는 아랫면과 윗면을 바꾸어서 내려온다. 수평으로 오다가 벽체를 타고 쭉 내려가는 트레이이다.*먼저 c찬넬을 벽에 고정한다.벽과 트레이의 간격을 고려하여 c찬넬은 두 개 겹쳤다. 높이 80이다. 트레이는 600×100이다. c찬넬은 700으로 6개를 재단 야스리질, 징크프라이머 2회 도포하고 말린다. *700찬넬 양쪽 50에 드릴과 13미리 홀쏘로 타공한다. *찬넬에 찬넬캡을 끼운다. *찬넬 2개를 겹치고 땅콩피스나 직결피스로 고정한다. 양쪽 두 개. *이제는 벽체 타공. 레이저로 입상트레이의 한쪽을 맞추어 쏜다. 레..
나비앙카(토글앙카)사용하여 c찬넬 고정하기/케이블트레이(cable tray)작업 *석고보드 벽체에 바이메탈 홀쏘로 타공하고 나비앙카(토글앙카)를 사용하여 c찬넬을 고정하는 작업이다. *이렇게 고정한 찬넬에 케이블 트레이를 홀다운클램프와 스프링너트로 고정할 것이다. *석고보드 벽체 두께는 30정도다 *c찬넬은 40×40이다. *먼저 벽체에 치수를 마킹한다 *드릴에 바이메탈 홀쏘 27정도로 장착하여 타공을 한다. *석고보드가 바이메탈홀쏘에 잘 끼인다. 톡톡 두드려 빼낸다. 살살 돌리면서 조금씩 파내는 것도 요령이다. *위의 사진처럼 나비앙카(토글앙카)를 준비한다. 판매되는 것은 위에처럼 나비앙카,볼트 원형와샤가 세트로 되어있지만 우리 현장에는 나비앙카만 달랑 와 있다. *삼부전산볼트 100정도로 잘라 준비하고 삼부플랜지너트(샹크너트)도 준비한다.*그 다음은 c찬넬을 치수에 맞게 자르고 ..
고압 케이블 트레이(600×115)와 저압 케이블 트레이(900×100)를 사용하여 저압 케이블 트레이(600×100)로 바꾸기 *600×115고압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와 900×100저압케이블 트레이를 사용하여 600×100 저압 케이블 트레이로 바꾸는 작업이다. *우리 작업에 필요한 것은 600×100 저압 트레이인데 600사이즈의 트레이는 고압만 있다. *900×100저압 트레이를 치수만큼 재단한 후에 600고압 트레이 렁으로 교체하려고 한다. * 치수가 750이라서 어려운 작업은 아니다. *일단 900×100저압 트레이를 750으로 재단을 한다.컷쇼로 잘랐다. *재단한 900트레이의 렁은 풀어서 버린다.렁은 육각렌찌로 푼다. *이제는 600의 렁이 필요하다. 렁의 갯수는 100,300,500,700에 자리의 것으로 4개가 필요하다. *600×115고압 트레이를 분해하여 4개의 렁만 챙겨두고 나머진 모두 다 버..
렁(rung)제작 작업에 스텝드릴비트도 사용하자/케이블트레이(cable tray) 작업 *케이블트레이(cable tray) 작업 중 렁(rung) 작업을 하자. *사다리형 케이블 트레이의 렁은 100(처음),300,500....2900,3000(마지막100)이다. *트레이를 치수에 맞게 재단을 할 때 컷쇼를 사용한다. *자를 때에 렁 간격을 고려하여야 한다. *렁과 렁 사이가 300이하가 되어야 한다.렁과 렁은 보통 200이다. *렁과 조인트 부위가 일치하면 샹크너트를 끼울 수가 없다. 그러면 렁을 옮겨야 한다.*렁과 렁 사이가 300을 넘지 않도록 렁의 위치를 옮긴다 *렁의 위치를 잡고 기존의 렁을 푼다. 육각렌찌로 푼다 *렁의 구멍과 구멍 사이는 20이고 높이는 아래에서 13이다. *렁 타공 위치를 마킹하고 드릴로 타공한다. 타공이 작으면 볼트 자리가 툭 튀어 나온다. *스탭드릴비트로 ..
조인트(조이너,커넥터,연결대) 체결과 홀다운클램프,사이드클램프 체결하기/케이블 트레이(cable tray) 작업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 작업의 조이너를 체결하자.*조인트는 현장에서 조이너,조인트 커넥트,조인트,연결대..등으로 불리어지고 있다.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이 조인트이다. *트레이와 트레이를 연결하는 것이다. *현재 우리 현장에서 사용하는 것은 아래 모양이다.*4개는 구멍이 있고 4개는 구멍이 아니라 돌기처럼 생겼는데 밖에서 안으로 들어간 형태이다. 4개는 샹크볼트,너트로 체결하고 4개는 돌기가 트레이 바디 구멍에 쏙 들어가는 형태이다. 아래 위는 구멍 사이가 넓은 쪽이 위, 좁은 쪽이 아래이다. 역삼각형이다.*샹크볼트(shank bolt)와 플랜지너트 (flang nut)이다. 삼부이다. 보통 샹크 볼트, 샹크너트라고 부른다. 플랜지너트는 풀림 방지와 원형 와샤와 너트의 기능을 한다 원형와샤..
ㄱ형강(앵글) 행거 설치와 ㄷ형강 설치/케이블트레이(cable tray) *빔에 ㄷ형강을 설치하고 전산볼트를 내리고 ㄱ형강(앵글) 행거를 설치한다 *ㄷ형강은 50×100×50×5t를 치수에 맞게 재단하고 25×25에 타공을 한다. 일단 1개만 하고 설치 전에 빔의 구멍과 빔의 구멍을 재서 나머지 한 쪽도 타공을 한다. 대부분 한꺼번에 2개를 25×25에 타공을 해도 큰 무리는 없다. *ㄷ형강을 빔에 고정한다. 50mm볼트를 아래에서 위로 넣는다. ㄷ형강에는 테이퍼와샤를 반드시 끼워야 한다 *50mm볼트에 테이퍼와샤+ㄷ형강+빔+연부샹크너트 순으로 체결한다. *빔이나 ㄷ형강에 타공을 하여 전산볼트를 내린다. *빔 타공은 마그네틱 드릴로 ㄷ형강 타공은 충전식 유압펀칭기로 한다. *전산볼트 치수는 빔이나 ㄷ형강까지에서 도면 레벨의 차이 값에서 75×75 앵글은 +100, 50×50앵..
렁(rung)을 빼야 하는 경우. /케이블트레이(cable tray)작업 *케이블트레이(cable tray) 바디에는 렁(rung)있다.*렁(rung)이란 사다리의 가로대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트레이가 사다리 모양으로 생겼고 렁도 있다 *트레이는 온 장이 3,000이고 렁은 100 (처음),300,500,700,900......2,900,3000(마지막100) *렁의 간격은 200이다. *필요에 따라 트레이를 잘라서 제작해야 한다. *이 때 렁은 300을 넘어가면 안된다. *렁이 트레이 조이너 위치가 비슷하여 간섭이 생기면 렁을 옮겨야 한다. *육각렌띠로 풀고 조인다. *육각렌찌는 다이소에서 싸게 구입했다. 공구점에 가면 더욱 튼튼하고 좋은 것을 구입할 수가 있다. *렁을 런찌로 풀어서 렁 위치를 100정도 옮기고 렁구멍에 마킹하고 드릴로 타공을 한다. 간단하게..
케이블트레이(cable tray) 바디 제작 작업 *케이블트레이(cable tray) 바디 제작 작업을 하자. *100×1200(저압용)트레이 바디와 115×1200(고압용)트레이 바디를 준비한다. *바디 양중 시에 2인 1조로 하고 협착방지장갑(양중 장갑) 착용하고 유도원을 앞에 배치하여 양중한다. *절단은 컷쇼로 했다.밴드쇼로 하기도 한다. 밴드쇼로 자르려면 렁을 제거하고 잘라야 해서 번거롭다. *컷쇼 작업 시에는 자상방지장갑, 보안경,헤드랜턴을 착용하여 작업을 실시하고 잡아주는 사람도 역시 마찬가지로 착용한다. *트레이 바디를 세운 상태에서 자르기 위해서 트레이 거치대를 자체 제작했다. 우리가 직접 만든 것은 아니고 회사에서 만들어서 제공해 주는 것이다. *트레이 바디를 거치대에 끼워서 세우고 보조원은 잡아 준다 *다음은 트레이 조이너 견본을 만든..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 양중 작업 *1200,600케이블 트레이(cable tray)를 양중하려고 한다. *인원 배치부터하자 *위에 2명이 올라간다. *아래에도 2명 이상이 있어야 한다. 아래에서 올려주어야 한다. *pp로프로 트레이 양쪽을 매듭한다. 2점 고정. *안전블럭(완강기)로 중간을 잡아 준다. 이는 양중 중에 만약의 경우 트레이가 낙하할 경우 자동으로 트레이를 잡아주는 기능을 한다. *아래 사람들이 트레이를 세우고 위로 올려 준다. *위에서 두 사람이 각 각 로프를 잡고 함께 당긴다. *이 때 아래 사람들은 모두 피한다. * 이 작업을 여러 번 반복한다. *입상 트레이 작업 시에도 위와 같은 방법으로 작업을 한다고 한다. *실질적으로는 그냥 2개의 로프로 양중을 한다. *계속해서 반복적으로 똑같이 시행한다.
전산볼트 길이 계산 50×50은 +80, 75×75는 +100/케이블 트레이(cable tray) 작업 *케이블 트레이 작업 시에 빔에서 ㄱ형강까지 내릴 전산볼트 길이를 생각해 보자. *빔에서 전산볼트를 내리려고 한다. *ㄱ형강(앵글): 50×50×750×6t(600트레이) 75×75×1350×6t(1200트레이) ***전산볼트 여산 길이*** --빔 위 여산 40 --ㄱ형강 아래 여산 40 --예) 레벨 4,200 바닥에서 빔까지 거리 5,200 전산볼트 길이는? *+빔 위 여산+(바닥에서 빔까지의 거리 - 레벨)+ㄱ형강 아래 여산 *+40+(5,200-4,200)+40=1080 *바닥에서 빔까지의거리( 1번)-레벨(2번)+80 *3번+80 --빔 위 여산 40 --ㄱ형강 아래 여산 60 --예) 레벨 4,200 바닥에서 빔까지 거리 5,200 전산볼트 길이는? *+빔 위 여산+(바닥에서 빔까지의 거리 ..
ㄷ형강 제작 작업/케이블 트레이(cable tray) 작업 *ㄷ형강을 치수에 맞추어 제작해 보자. *ㄷ형강 사이즈는 50×100×50×5T×3,600을 사용하기로 한다. * ㄷ형강은 빔에 설치하고 이 형강에서 전산볼트를 내려서 ㄱ형강(앵글)을 설치하고 그 위에 케이블 트레이를 얹는다. *먼저 자재를 샵장까지 양중해 와야 한다.ㄷ형강은 무겁기에 2인이 들고 1명의 유도원이 앞장 서서 간다. 협착방지장갑을 착용해야 한다. *치수를 줄자로 재고 마킹한다. *밴드쇼로 자른다. 다른 방법으로 잘라도 된다. *밴드쇼로 사용시 착용해야 할 보호구는 자상방지장갑,보안경,방진마스크, 필요시에는 헤드랜턴,귀마개까지 요구하기도 한다.*타공을 한다.50면에 25×25로 마킹한다 *충전용 유압펀칭기로 펀칭한다. 쉽게 구멍을 만들 수 있다. *펀칭기에 있는 깊이 조절 부분을 육각렌치로 ..
케이블트레이(cable tray) ㄱ형강(ㄱ앵글) 재단 작업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 작업중이다. *사이즈는 75×75×6t×3,000을 잘라서 재단하려고 한다. *먼저 양중이다. 2인 1조로 하고 유도원을 배치하여 양중을 해야 하고 협착방지장갑을 착용해야 한다. * 치수를 재고 자른다. 자르는 것은 밴드쇼로 자른다. *밴드쇼 작업 시에는 역시 자상방지장갑을 착용해야하고 보안경,헤드랜턴,방진마스크도 준비한다. 어떤 때는 귀마개까지 요구할 때도 있다. *재단 후에 각 모서리를 조금씩 날려 각지지 않도록 한다. *모사리도 역시 밴드쇼로 작업을 한다. *45도로 조금 잘라야 하는 데 방향이 애매하다.기본적인 방식대로 방향을 바꾸어가면서 작업을 한다 밴드쇼를 세운 상태에서 작업을 하기도 하지만 허락되지 않는 방식이다. *타공을 한다. *충전용 유압 펀칭기로 ..
ㄷ형강의 길이는 양끝단 사이 치수+100,구멍과 구멍 사이치수+50,타공 25/케이블 트레이(cable tray) 작업 *ㄷ형강의 치수와 타공의 치수에 대해 알아보자. *별 거 없지만 간단하게 알아두는 것도 좋다고 생각하여 적어 본다. *위의 사진처럼 ㄷ형강을 연결해야 할 빔 끝단과 빔 끝단이 1800이라고 하자 *각 각 양 끝단에서 +50을 해 준다. 꼭 이렇게 해야만 하는 거는 아니지만 대부분 현장에서는 이렇게 한다. *+50+50=+100 *그러므로 ㄷ형강을 1800에서 100을 더한 값 1900으로 재단을 해야 한다. *재단한 ㄷ형강 1900에 타공을 해야 한다. 빔 양쪽에도 타공을 해야 한다. 그렇게해서 빔과 ㄷ형강을 고정하는 것이다. *먼저 ㄷ형강의 끝단에서 25지점에 한쪽만 타공해 둔다. 미리 타공해도 되지만 혹시 조금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기에 나중에 나머지 한쪽을 타공하기로 한다. *야스리질(쇠줄)과 징크..
ㄷ형강 설치하기/케이블트레이(cable tray) 작업 *케이블 트레이 작업 중이다. *먼저 ㄷ형강을 재단했다. ㄷ형강의 사이즈는 50×100×50이다 *치수에 맞게 자른다.밴드쇼로 자른다. *한 쪽만 25×25에 타공을 한다. 충전용 유압펀칭기로 하면 쉽게 할 수가 있다. 물론 다른 방법으로 타공해도 된다. *우린 충전용 유압펀칭기로 타공을 했다. *양쪽 다 타공을 미리 할 수도 있지만 혹시 오차가 있을 수 있으니 한 쪽만 타공하고 설치하면서 나머지 한 쪽은 타공하기로 한다. *자른 면을 야스리(쇠줄)로 정리하고 징크 프라이머로 도포 2회 이상을 해 준다. *도면을 보고 바닥에 마킹을 한다. *레이저레벨기로 띄우고 빔에 25에 마킹을 한다. *빔에 마킹된 자리를 타공한다. 타공은 충전용 마그네틱 드릴로 한다. *타공한 빔 구멍과 빔 구멍 사이를 자로 잰다...
DWG 도면 보는 모바일 앱 *전기 현장에서 일을 하다보면 도면을 많이 본다. 종이 도면도 나오지만 요즘은 휴대폰으로 도면 파일을 보내고 도면을 열어서 보고 한다. 보내온 도면을 보려면 앱이 있어야 한다. 그렇지않으면 이 파일을 열 수 있는 앱이 없다고 하며 파일을 열지 못한다. 쉽게 말하면 무용지물이다라는 말이다. *구글 플레이 스토어가서 dwg라고 입력하고 검색하면 많이 나온다. 아래는 가장 많이 사용하는 앱이다.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gstarmc.android DWG FastView - CAD도면뷰어&DWG 편집기 - Google Play 앱언제, 어디서든 도면을 확인, 편집및측정하세요.설계하시는 분들이 CAD 디자인, 드래프팅, 편집, 도면 뷰어 하기에는 ..
케이블트레이cable Tray 작업에 대한 메모 *케이블트레이(cable tray)행거의 지지 간격은 1800이하로 지지한다 *케이블 트레이 말단부에서 행거간 길이는 최대 500이내로 한다 *케이블 트레이 2단 설치시 수직간 간격은 (윗 트레이 아랫면에서 아래트레이의 윗면 까지의 간격) 250이상 이격한다 *전산 볼트 가공 후 징크 도포 2회 ***천장에 앙카링 시***** 앙카 욘부 천공깊이 52 앙카 삼부 천공깊이 40 슬리브의 110% 사용 ************************** *전기실 트레이 행거 거리 1200이내 *렁 간섭으로 인해 홀 다운 클램프를 체결할 수 없을 경우 사이드클램프(홀다운) 사용하여 체결한다. 여기서 렁 간섭이란 트레이의 렁과 서포트 앵글이 같거나 비슷한 위치인 경우를 말한다. *징크스프레이 도포시 2회 ****사..
방화구역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 설치를 위한 벽체 타공하기/트레이 면 +50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 작업에 돌입했다. 아침부터 어수선하다. 새롭게 시작하는 작업이라서 준비 작업부터 했다. 천장 상부에서의 작업이라 바닥에 합판으로 보양하고 생명줄을 쳤다. 내일에는 검사를 받고 통과하면 작업하게 된다. 작업 후에 조금의 시간이 남았다. *트레이가 벽체를 통과하는 것이 있다. 먼저 타공을 위한 마킹 작업을 했다.*타공의 사이즈는 트레이 각 면에서 +50을 더 한다. *트레이 450×100 *가로: 50+450+50=550 *높이: 50+100+50=200 *도면을 보고 트레이 위치를 잡는다. *550×200로 그리고 선을 따라 클린 테이프 또는 마킹 테이프(일반적으로 노랑색)로 붙인다. *테이프 위에 안으로 화살표를 하고 내면 타공이라고 적어두면 좋다. *안쪽과 바깥쪽을..
트레이(Tray)와 덕트(Duct) 품질에 대하여 1.홀다운 클램프체결: 렁과 렁 사이 행거에 체결하고 렁에 간섭되는 부분은 3개소 이하로 체결을 제외할 수 있다. (체결 띄고 띄고 체결) ,실질적으로는 대부분의 경우 행거 모두 다 체결한다. 렁 간섭으로 인해 홀다운 클램프를 체결할 수 없는 곳은 사이드 클램프라도 채운다. 2.엘보 부분 행거 규정대로 설치:굴곡부 중앙 1개소 대각으로 지지한다 3.트레이 설치 높이 확인: 도면과 일치 여부 확인, FL+1000 기준으로 레이저 레벨기로 측정, 시공 오차 범위는 기준점에서 x,y축 거리로 앞뒤 50mm이내 3.트레이 ground bonding jimper 및 모선 접지 확인 : 트레이와 트레이 연결부위 본딩점퍼설치 확인,트레이 내 모선접지와 본딩점퍼 연결 확인(모선접지 95SQ, 모선분리 35SQ) 4.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