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블 트레이 작업 (153) 썸네일형 리스트형 7600ㄷ형강에서 4400까지 6단 행거를 달려고 한다. 전산볼트 길이는? *100×50×6t,ㄷ형강 (레벨7600)에서 전산볼트를 내리고 1350(75×75×6t)앵글 6단을 레벨 4400(6단 중 가장 아랫쪽)까지 내리는 작업이다, 그러면 연부 전산볼트 길이를 얼마로 재단을 해야 할까? ●조건을 보자 *ㄷ형강의 레벨은 7600. *ㄷ형강은 100H×50w×6t로 100을 높이로 사용한다. *6단 행거 제일 아랫단의 레벨 4400. *6단 앵글은 하단 여장 60+앵글간 간격 (300×5=1500)+상단부 여장 150,즉 60+1500+150=1710으로 조립하여 두었다. *앵글과 앵글 간격은 300. *ㄷ형강 위 여장 60. *6단 행거세트 1710-60(행거 아래 여장)=1650 ● 그러면 전산볼트 얼마를 재단하여 연결하여야 할까?*7600-4400=3200 *3200-16.. 형강과 형강 레벨이 150일때 연결너트를 사용하여 체결할 수 있을까? 형강 윗쪽을 자르자 *이미 ㄷ형강을 설치하고 아래에 60을 남겨 두었다. 그 아래 연결너트를 사용하여 또 다른 형강을 1개를 더 설치하는 것이다. 레벨 차이는 150이다. 가능할까? *쉽지는 않을 것이다. 확인해 보자.* 남은 여장 60,연부샹크너트 10,연부육각연결너트 70,ㄷ형강 100H×50.2개의 형강 레벨차 150이다. *일단 전산볼트는 150을 재단하여 사용해야 한다. *이미설치된 형강 아래 샹크너트 하나가 채워져 있다(10). 여기에 샹크너트 하나 더 추가(10)+ 연부육각연결너트(70)+샹크너트(10)+샹크너트(10)+ㄷ형강(100)+샹크너트(10)+여장(샹크너트 제외 후:50) *모두 더하면 10+10+70+10+10+100+10+50=270이다. *최소한 전산볼트가 270은 되어야 한다. *실제 전산볼트는.. 케이블 트레이 양중용 지그 제작 및 T/L에 탑재하기. *앙카작업,그리고 앵글 작업, 다음으로 이제는 트레이를 올려야 한다. *먼저 미리 트레이 양중용 지그를 만들어야 한다. *지그 도면을 보내왔다.*위와같이 제작도를 보내주고 자재까지 보냈으니 그대로 만들면 된다. 실제 치수를 비교해 가며 제작한다. *이제 이것을 T/L에 팁재해야 한다. *무게가 제법이다. *일단 T/L 2대를 준비하고 각 각 2명씩 탄다. *(1번)T/ L 1대에는 전에 사용한 적이 있는 앵글세트 양중용 지그를 T/L옆면에 2개를 걸쳐둔다.앵글세트 양중용 지그×2 *제작된 트레이 양중용 지그를 앵글세트 양중용 지그에 몇 사람이 같이 건다(무거움) *트레이 양중용 지그를 와이어후크 2개로 T/L에 결속한다. *T/L(1번)을 위로 상승시켜 트레이 양중용 지그를 위로 양중해 주고 적장한 높이.. 6단 앵글 설치는 두 사람이 함께 하나씩 하자. T/L 옆 앵글세트 양중용 지그를 이용하자. *조립한 6단 트레이를 설치하는 작업이다. *1200×75×6t를 6단을 설치해야 하니 무게가 상당하다. *일단 T/L 옆면 바깥쪽으로 앵글 양중용 지그를 만들어서 설치했다. *정확한 명칭을 뭐라해야할 지를 잘 모르겠다. *용도는 T/L 옆면에 고리를 2개를 설치하고 고리에 6단 앵글을 걸처서 세워고 올라가는 것이다.*위와같이 지그를 2개 만들어서 2개를 T/L옆면에 건다. *이 지그에 6단 앵글을 세워서 걸친다. 무게가 상당하니 아래서 2명이 올려주면 T/L위에서 2명이 받아서 함께 걸친다. *와이어후크를 사용하여 앵글 세트와 T/L을 결속한다. *앵글 세트를 T/L을 상승시켜 양중한다. *위에 이미 내려둔 전산볼트에 거의 맞추어야 한다.*그 다음은 2명이 함께 한쪽씩 체결을 한다. 6단 앵글 세트에 .. 세트앙카에 너트가 들어가지 않을 때에는 앙카심에 전기테이프를 감고 첼라로 꽉 잡아주자. *천장에 앙카링 중이다. *가끔씩은 타공이 쉽지 않은 경우도 있다. 데크플레이트에 있는 철근에 걸린 것이다. 그 많은 공간 중에 어떻게 정확하게 철근의 위치에 타공 위치가 잡힐 수가 있을까? *보통의 경우는 쉽게 잘 박힌다. *철근으로 인해 사선으로 박았다. *펀칭기를 사용하여 박아 넣은 후에 펀칭기에 파이프를 넣고 수직으로 세운다.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겠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수직으로 세운 앙카심이 뺑글 뺑글 돈다. *그러면 앙카심을 손으로 잡아서 수직으로 세워 맞춘 후에 원형와샤 ,스프링와샤 ,너트를 채운다. 그러면 앙카는 단단하게 잡혀진다.● 그런데 이 번에는 예상치 못한 경우가 생겼다. *사선으로 앙카를 집어 넣고 펀칭기를 사용하여 삽입을 시도하는 데 슬리브의 1/2정도 들어가고 그 다음은 멈추.. 라인테이프로 벽체타공 부위 마킹하기,상하좌우 간격 각 각 50 *케이블 트레이가 벽체를 통과하여 지나간다. 이미 벽체 작업이 되어져 있으니 벽체를 타공하여 지나가야 한다. *일반적으로 트레이를 벽체를 세우기 전에 작업을 하고 나면 벽체 시공을 할 때 통과하는 트레이 주위를 규정에 맞게 시공하여 준다. 그 부위 작업은 벽체 시공팀이 한다. *지금처럼 벽체가 이미 되어져 있는 경우에는 트레이를 시공하는 팀이 타공 작업을 한다. ●벽체에 타공을 부위를 라인테이프로 표시를 해 보자.*케이블 트레이(cable tray)규격은 1200×100이다 *타공 부위 마킹은 트레이를 기준으로 상하죄우 모두 50의 간격을 띄고 마킹하면 된다. *먼저 레이저로 트레이의 앙카 라인에 맞추어서 좌쪽과 우쪽을 쏘고 T/ㄴ을 타고 올라가면 몇 군데 표시해 둔다. *표시에 맞추어 긴 수평계로 쭉쭉.. ㄷ형강에 6단 ㄱ앵글 세트 만들기. *6단 ㄱ앵글 세팅 후에 설치하는 작업이다. *ㄱ앵글 (75×75×6T) 사이즈 1350을 6개 셋팅하여 조립하여야 한다. *먼저 연부 전산볼트 길이를 정하여 재단하여야 한다. *가장 아랫단 레벨을 기준으로 한다(4400) *아랫단 하부에 남길 여장은 60으로 한다. *아래에 연결너트를 사용하여 사용할 경우를 대비하면 연부너트(10)×2개에 연결너트 점검창 센터까지 35를 더하면 10+10+35=55가 된다. 최소한 55이상의 여장이 필요하다. *ㄱ앵글 사이즈가 75×75 이므로 55이상, 넉넉 잡아 60으로 해도 ㄱ앵글 밖으로 나올 가능성은 없다. *만약에 50×50앵글을 사용할 경우에는 문제가 된다. 앵글에서 밖으로 삐져 나오기 때문이다. *이를 알고 요즘 규정이 바뀌었다.위와같이 50×50ㄱ앵글의 .. 천장에 박은 세트 앙카가 흔들린다. 50이동하여 새로 박는다. *박아 놓은 세트앙카가 흔들린다. 빠진다. *철근으로 인해 구멍이 너무 넓어졌다. *철근이다 싶으면 얼른 멈추고 구멍을 확인한다. 헤드랜턴으로 구멍을 비추고 보면 확인이 가능하다. *철근인 데 계속 힘을 주면 구멍이 넓어진다. 구멍이 넓어지면 어렵다. *구멍이 넓어진 상태에서 사선으로 비스듬히 박아도 역시 쉽지 않다. *구멍이 너무 넓어서,또는 너무 깊어서 또는 여러 상황에서 앙카가 고정되지 않고 빠져 나온다면 이 때는 방법이 없다.●과감하게, 용감하게 결정해야 한다. 반드시 용기를 내야한다. 양쪽 모두 50씩 이동하여 새로 박는다. 여기서 머뭇거리거나 약해져서 대충 넘어가면 나중에 반드시 흔들리거나 빠진다. *천장 앙카 작업 시에는 반드시 이런 경우가 생길 것을 예상하고 마음에 확신을 가지고 마음에 답.. 천장고에서 레벨까지 연부전산볼트 치수 계산하기,케이블 트레이 작업 중에 *연부 앙카를 천장에 박고 1500 연부전산볼트를 내려두고 또 다시 ㄷ형강(100×50) 레벨에 맞추어서 연부전산볼트를 내려서 ㄷ형강을 설치하는 작업이다. *ㄷ형강 아래,위로는 각 각 60의 여장을 준다.(연부연결너트를 ㄷ형강 아래 달려면 연부 샹크너트 2개와 연부연결너트 중간까지를 고려한 충분한 여장이 필요하다. 계산해 보면 10+10+35=55, 충분히 넉넉 잡아 60으로 한다.) *연부앙카를 박고 연결너트 체결한 후에 천장에서 연결너트 중간(점검창)까지 치수를 재면 48이 된다. 연부 앙카의 길이가 100인데 52는 천장 속으로 박아 넣고 48만 밖에 노출되는 것이다. *48을 약 50으로 잡고 계산한다. *앙카를 박은 후에 연결너트를 사용하여 1500 연부전산볼트를 작업의 편의상 내려둔다고 하자... 가위에 너트 스프링와샤 평와샤를 끼워서 세트앙카심에 대고 체결하여 보자. ●천장에 천공을 하고 세트앙카를 박고 1500 전산볼트를 내리는 작업이다. ●앙카 작업 시에 필요한 안전 장구류는 뭘까? *많이 필요하다. *헤드랜턴, 보안경, 방진마스크, 귀마개 그리고 진동방지장갑이다.●그러면 필요한 공구는 뭘까요? *앙카드릴, 펀칭기,망치, 작은 파이프,17/19견삭기(라쳇렌치,깔깔이),19스패너, 17스패너,수평계,가위, 실리콘, 실리콘건, 내화학장갑, 개인생명줄, 추락방지대, 중간발판 등이다. *모든 공구에는 이탈방지끈을 체결한다. ●여기에 전산볼트, 연결너트, 샹크너트, 앙카,보드마카, 황색마킹테이프,공중장애물 눈관리 등을 T/L에 실고 나면 역시 정신없다. ●세트앙카를 박은 후에 세트 앙카에 너트 스프링와샤 평와샤를 끼워 넣을 때 가위를 사용하여 체결해 보자. *보호구가 불편.. 천장에 연부 세트앙카를 사선으로 비스듬히(사선으로) 박는 방법 *천장에 연부 세트앙카를 박아서 1500전산볼트를 내리는 작업이다. *천장에 연부 세트앙카를 박는 작업을 마치고 점심식사를 먹으려고 가면서 함께 작업을 한 반장에게 또 다른 반장이 묻는다. 많이 배웠나? 대답은 뭐.. 배울게 있나요, 그냥하면 되지요..라고 한다. *사실 그렇다. 그냥 몇 번 보기만해도 누구나 다 할 수 있는 작업일 수도 있다. *천공을 하다보면 철근을 만날 때가 있다. 철근을 만나면 무의식적으로 더 세게 힘을 준다. 철근을 잘라 버릴 생각이라면 그렇게 해야 한다. 그렇지만 쉽지 않은 방법이다. *철근을 만나면 소리가 달라진다. 이 때 어떤 이는 힘을 빼고 뚫는다는 것이다. 그러면 살짝 미끄러지며 비껴서 뚫린다고 한다. *철근이 걸렸을 때는,소리가 이상하고, 먼지가 나지 않을 때는 얼른 .. 빔타공 후에는 사비 라카 프라이머(적색)를 뿌려 주자 *빔 타공 하여 전산볼트를 내리고 ㄷ형강으로 그네를 만드는 작업이다. *빔 타공은 무엇으로 해야 하나? 마그네틱 드릴이나, 펀칭기, 이것들로 해결하지 못하는 구간은 어쩔 수 없이 드릴로 해결을 해야 한다. *현장마다 룰이 조금씩 다르다. *마그네틱 드릴을 사용할 때 장갑을 협착저감장갑(협착방지장갑 또는 양중 장갑)을 착용하라고 교육을 한다. 저 번 현장에서는 자상방지장갑을 착용하여 작업을 했었다. *빔 타공을 하고 있는 데 옆에 다른 팀 반장님이 알려 준다. *빔 타공 후에 빨간색 사비 락카 프라이머를 뿌려주어야 한다고 한다. 이것 안했다고 불합리 받았다는 것이다.*우린 얼른 주문했다. *사실 우리도 적색 사비 락카 프라이머(간단히 사비 락카라고 한다.)는 없다. *지금까지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빔.. 천장에 세트 앙카 작업 및 앙카 박은 후에 전산볼트 수직 맞추기 *천장에 천공을 하고 앙카를 박고 연결너트를 삽입후에 1500 전산볼트를 내리는 작업이다. 케이블 트레이 작업 중이다. *먼저 앙카드릴로 천장에 천공을 해야 한다. *깊이를 잘 조절하고 수직으로 박아야 하고 수직으로 쭉 내려오게 전산볼트를 삽입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천공 깊이는 정해져 있다 . 연부 세트 앙카는 52mm이다. 거의 50mm에 맞추고 타공을 한다. *앙카 드릴 깊이를 조절하고 천공한다. *그 때 두 사람이 함께 작업한다면 서로 90도로 서서 수직을 보며 천공한다. *혼자 작업을 한다면 혼자 이쪽 저쪽을 보며 타공을 한다. *무엇보다도 자세를 수직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 중요하므로 자세를 제대로 잡을 수 있는 위치를 선점하는 것이 가장 좋다. *다음은 세트 앙카를 집어넣고 펀칭기와 망치로 .. 도면의 치수를 바닥에 마킹할 때 줄자를 최대한 쭉 펴고 기준점으로부터 마킹하자. *도면을 바닥에 그리고 도면의 치수를 실제 치수로 마킹하는 작업이다. 도면을 그대로 옮긴다고 보면 된다. *그 다음 바닥에 레이저를 띄워서 천장에 마킹을 한다. *장애물이 있어서 더 이상 올라가지 못해서 마킹을 할 수 없을 때는 연부전산볼트에 펜을 달아서 마킹을 한다. *바닥 마킹은 유성매직등으로 잘 지워지지 않는 것으로, 천장에는 보드마카펜과 같은 잘 지워지는 것으로 한다. *천장에 마킹한 것은 앙카를 박은 후에 다시 지워야 한다. *도면의 치수를 바닥에 옮길 때는 줄자를 쭉 펴고 놓고 한 점을 기준으로해서 치수를 재는 것이 오차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보통은 5000(5M)정도를 쭉 빼서 고정시킨 후에 아래처럼 치수를 마킹한다.*기준점에서 연속적으로 마킹한다. *1000,1200,1200,900.. 기둥 중심(센터) 잡는 방법 *바닥 마킹 작업 중에 기둥 중심(센터) 잡는 방법을 알아보기로 한다. *앙카 작업 전에 바닥에 도면을 보고 실제 치수대로 그리는 작업 중이다. *줄자,레이저,먹줄,유성펜,물파스 그리고 빗자루를 준비한다. *물파스는 왜? 이렇게 생각할 수도 있다. 물파스는 유성펜으로 잘 못 마킹한 것을 지우는 용도로 사용한다. *도면을 보고 기준점을 잡아야 한다. 도면에는 기준점을 따로 표기하고 있다. *도면에는 기둥 센터를 기준으로 하는 경우가 많다. *실제적으로는 기둥 중심(센타)가 정확히 어디인지를 알기가 쉽지 않다. ●기둥 크기가 1800이라고 하자. *1번 라인에서 임의의 점(2번)을 찍는다. *1번 라인을 기준으로 하고 2번 임의의 점에 레이저를 맞추어서 3번 직각 선을 만든다. *기둥과 3번 레이저 라인 사.. 세트앙카 심부터 박고 슬리브 박아 넣기 *케이블 트레이 작업의 첫 시작인 세트앙카를 천장에 박고 있다. *요구 조건이 까다롭다. *일단 타공 깊이는 52mm이다. 정확하게 맞추기가 쉽지 않다. 보통 50mm로 맞추어서 작업을 한다. *약간 깊기도 하고 살짝 얕기도 하다. 대부분의 경우 살짝 깊은 편이다.*이제는 연결너트의 점검창 중앙에 연부세트앙카 심 끝이 오게 맞추어야 한다. *원래는 천공 깊이를 조절하여 연결너트의 점검창을 맞추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 * 그러나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천공 살짝 깊이 나온다. 그러면 세트 앙카를 넣고 슬리브를 펀칭기를 이용하여 박아넣는다. *이 때 슬리브를 천장 바닥과 거의 같게, 아주 살짝 더 깊게까지 조절해 준다. *맞다. 이렇게 하는 것은 이상적이지 않다. *가장 이상적인 거는 슬리브가 천공 바닥.. 전산볼트에 연결너트 2개 끼우기.케이블 트레이 작업 *케이블트레이 작업을 위해서 위에서 앙카를 박아 내린 전산볼트를 중간에 자르고 다시 연부육각너트를 사용하여 붙이는 작업이다. *전산볼트 컷팅은 전산볼트 컷팅기로 자른다. *전산볼트 컷팅기를 사용하면 참 편하지만, 한 번에 잘 잘라야 한다. 실수하면 샹크너트를 넣지를 못해 고생한다. *다이스의 산과 전산볼트 나사산을 잘 맞추어서 자르는 것이 중요하다. 불을 밝게 하여 잘 보고 맞추면 좋다. 어두우면 실수할 확률이 높다. *자르려다가 취소하고 다시 되돌리려면 되돌림버튼을 누르고 스위치를 손가락으로 당겨 누르면 원위치로 돌아간다. 참고로 우리가 사용하는 전산볼트컷팅키는 밀워키 거다.●자, 이제는 위에처럼 자르고 위, 아래에 연결너트를 체결해 보자. *먼저 샹크너트를 1번에 1개, 2번에는 위 아래 2개, 3번.. ㄷ형강 관통시켜야 한단다. 전기실이라서 그런가. 케이블트레이(cable tray) 수정 작업에서 *계속해서 전기실에서 케이블트레이(cable tray) 수정 작업 중이다. 이미 트레이가 설치되어져 있다. 공조덕트가 직각으로 지나가야 하는 데 트레이의 전산볼트가 간섭이 되는 것이다. 역시 우리가 작업한 것은 아니다. *1300×900의 덕트가 지나가야 한다고.....수정 요청이 들어온 것이다. *기존의 전산볼트를 이용하여 ㄷ형강 100×50으로 그네를 만들고 그네에서 전산볼트를 내리는 것이다. *보통 ㄷ형강을 사용하는 대로 ㄷ형강 타공,전산볼트를 샹크너트와 테이퍼와샤로 고정한다. * 그런데 여기에서는 그렇게 할 수가 없다. *우리 품질팀에서 그렇게하면 안된다는 것이다. 그러면 어떻게?*위에처럼 ㄷ형강(50×100×6t)을 위 아래를 타공하여 관통형으로 설치해야 한다. *위,아래를 타공하여 전산볼트를 .. 덕트 간섭으로 인해 케이블 트레이 수정 및 작업 전산볼트 추락방지대,전산볼트 로프걸이 *케이블 트레이 작업이 완성되어져 있다. 우리가 작업한 것은 아니지만 우리에게 수정 작업이 들어왔다. 공조 덕트가 지나가는 데 케이블 트레이의 전산볼트가 간섭된다는 것이다. 그네를 띄워 전산볼트를 내리기로 했다.*위에처럼 전산볼트가 내려져 있고 케이블 트레이가 걸려 있다.1번 2번은 그네이다. *적색 네모가 공조 덕트가 지나갈 부분이다. *전산볼트 2개가 간섭된다 *전산볼트 3,4번을 5,6쯤에 자르고 *1,2번에 연결너트를 사용하여 그네를 내리고 *그네에 타공을 하여 5, 6을 연결한다. ●작업 전에 케이블 트레이 위에 올라갈 준비를 해야 한다. *트레이의 전산볼트를 이용하여 생명줄을 친다. *전산볼트 추락방지대와 전산볼트 로프걸이를 사용한다. *물론 pp로프만으로 해도 된다.●생명줄 설치를 간단히 보.. 1500 연부전산볼트 제작 작업,케이블 트레이(cable tray) 작업에서. *세트 앙카를 박을 구멍을 천정에 뚫고나서 연부 세트앙카를 박고나서 세트 앙카에 1500짜리 전산볼트를 달아준다. *1500짜리 연부 전산볼트 세트를 만들어보자. *3000짜리 연부전산볼트를 1500으로 자른다. *면치기나 야스리(쇠줄)로 절단면을 부드럽게 한다. 사실 밴드쇼로 자르면 거의 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가 많다. 샹크너트(플렌지 너트)가 들어가면 안해도 된다고 한다. 그래도 형식상이라도 하는 것이 좋다. *징크를 2회 도포한다. 이 때 방독면, 내화학장갑,보안경 착용 후에 작업한다. *조금 말린다. (휴식) *연부 전산볼트에 연부샹크너트(원래의 명칭은 플렌지너트라고 하나 현장에서는 그냥 샹크너트라고 한다.)를 돌려 끼운다. *임팩이나 드릴를 사용해도 된다. *19mm복스알을 사용한다. 전에는 1.. 세트 앙카 시공 기준, 전기실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 작업 *전기실에서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 작업 중이다. *전기실은 시공 기준이 조금 다른 것이 있다. *행거 간격 1200이내이다.(도면에도 이것이 적용되어 대부분 1150이하로 적용 되어져 있다)-보통 다른 곳에서는 1500이내로 하고 있으나 여긴 1200이내로 잡고 있다. *세트 앙카를 박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앙카에 대해 보자. *앙카와 앙카 사이 연부75 /산부 50 *천공부 앙카 삽입 후 펀칭실시 *너트 조임시 충전임팩 사용금지 *앙카 천공깊이 기준 연부 52 / 산부 40 *천공 깊이는 슬리브의 110%를 사용한다. 슬리브 길이 47(연부) 47(100%)+4.7(10%)=51.7(약52/슬리브의 110%이다.) *세트 앙카 전체 길이 연부 100/ 삼부 75 *연결너트 연부70/삼.. 수평생명줄 3m이내마다 결속 ,합판과 합판 간격은 200 *공지 사항 내용을 보자. ●수평생명줄 3m이내마다 결속 해 주세요. 5m아닙니다. 처짐으로 인해 포스트 기준 3m 입니다. 생명줄 잘못된 곳 확인 하시고 작업 진행 해 주세요.※수평생명줄은 포스트 5m마다 10자 매듭으로 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것이 변경되었다는 공지이다. 변경 이유는 처짐 때문이라고 한다. ●합판과 합판 간격은 200 즉, 트레이의 한칸이다. ※ 대부분의 경우는 합판과 합판을 붙이고 묶는다. 4점 고정한다. 덕트에 스토퍼는 무조건 모두 다 채운다. *덕트 스토퍼는 어느 정도로 채워야 할까? *전기에서는 덕트는 트레이와 동일하게 작업한다. 트레이의 홀다운클램프나 사이드클램프랑 동일한 기능을 하는 것이 덕트의 스토퍼다. 제어 덕트와는 스토퍼 사이즈도 다르다. *트레이에서는 한 두개 정도는 여건상 안 될 경우.생략할 수 있다라고 한다. 사실은 말 뿐이지만. 어쨌든 그렇다고 한다. *덕트도 여기에 준하여 작업한다. * 그런데 사전 검측 시에 펀치가 날라온다.급히 수정 보완하라는 것이다. * 펀치 내용은 바로 스토퍼를 빠짐없이 모두 다 채우라는 것이다.*여러 가지 이유가 있어 생략한 것이다. 개인적인 결정이 아니라, 팀의 결정이었다. *아무리 팀의 결정일지라도 검측에서 펀치리스트로 날라오면 수정, 보완 반드시 해야 한다. *이것은 팀의 오류다.개인의 오류가.. 샹크너트는 상당하밀 기억하자. *케이블트레이(cable tray), 레이스웨이(R/W)등의 작업 시에 샹크 너트를 체결할 때가 많다.대부분의 경우 아래 위에 두개를 동시에 체결하게 된다. 샹크너트 등을 채울 때 보통의 경우에는 별 생각없이도 잘 조으고 잘 푼다. 손으로 그냥 끼우고 풀면 된다. *그러나 어떤 경우에는 어느 방향이 풀리는 방향인지? 잠기는 방향인지가 어느 쪽인지를 확신하기 어려울 때가 많다.*이 때에 상당하밀을 기억한다. *상(위),당(당긴다),하(아래),밀(밀다) *위에 샹크너트에 스패너를 끼우고 당기면 잠긴다. *아래의 샹크너트에 스패너를 끼우고 밀면 잠긴다. *상당하밀,위에 거는 당기고 아래 거는 밀면 잠긴다는 것이다. *감각이 좋은 사람은 그냥 딱 되는 사람도 있다는 거 인정한다. *갑자기 막막해 지는 경우도 있.. 피터치(p-touch)는 내용 방향 위치를 고려하라 *요즘 또 다시 피터치(p-touch) 작업을 하고 있다. 쉽지만 애매한 작업이다. 그래서 잘 해야 본전인 작업이다. 중요도 면에서는 역시나 많이 중요하다.여기서 펀치가 제일 많이 쏟아지기 때문이다. *피터치는 태그(tag), 라벨, 눈관리,스티커...이라고도 한다. *피터치 부착하는 방향이 있다.그런데 이 방향을 잡는 기준이 애매하다. 수평은 좌에서 우라고 한다. 즉, 피터치 내용 중 from,to가 좌쪽에 오게 부착하라는 것이다. 인동선에서 보아서 좌에서 우측이다. 그러니까 인동선에서 어느쪽을 향하여 서느냐에 따라 피터치의 방향이 달라진다. 수직 방향은 아래에서 위로 붙인다.아래에 from, to가 있도록 부착한다. * 결론은 역시 물어보고 하면 된다 이다. 물어본다는 것운 결정을 나 자신이 하지 않.. 사이드 클램프 체결하는 방법,케이블 트레이(cable tray) 작업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 작업 중에서 별 거 아닌 데 생각만큼 쉽지않은 것이 사이드 클램프 체결 작업이다. *일단 제품에 하자가 있다. 트레이의 길이보다 작다. *녹색이 트레이(tray)이고, 적색이 사이드 클램프이다. 황색은 행거이다. *여기서 보는 바와 같이 행거와 사이드 클램프의 사이가 뜬다. 제품이 정상이라면 행거와 사이드 클램프가 밀착되어져야 한다. *이러한 경우라면 사이드클램프를 직각으로 하여 샹크너트를 꽉 조으면 당연히 윗부분이 벌어진다. 그렇다고 샹크 너트를 대충 헐렁하게 해 둘 수는 없다. * 사이드클램프를 체결하는 방법을 보자. *사이드 클램프를 살짝 넓혀서 90도보다 살짝 더 넓힌다. 너무 많이 벌려도 안된다. *행거 윗쪽의 샹크 너트를 푼다. 사이드클램프의 홈이 전산볼트.. 렁 볼트 풀고 렁 위치 이동하고 홀다운클램프 설치하기.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 행거에 홀다운클램프도 사이드 클램프도 없다. 그냥 건너 뛴 모양이다. 렁과 행거 간섭이 생겼고 렁 바로 옆에는 조인트가 체결되어져 있다.행거의 전산볼트가 간섭이 되어 렁 볼트를 풀기가 쉽지 않다.*사실 렁의 간섭이 생기면 홀다운 클램프를 채우지 않아도 된다고 sop(표준 작업 절차서)에는 말하고 있다. 그리고 이 번 정기안전교육 시간에도 품질 관리자도 그렇게 말했다. 렁의 간섭으로 홀다운 클램프를 체결하지 못하는 경우는 연속 2개소까지는 가능하다고 한다. 홀다운 클램프+없음+없음+홀다운 클램프... 이렇게 해도 된다는 것이다. *감리가 문제다. 이렇게 시공을 하면 펀치를 날린다. 그러면 우린 다시 작업을 해 주어야 한다. 갑질이다.품질 관리자가 된다고 하고 규정에도 .. 전산볼트 튜브 기억하자 고압 케이블 트레이 피팅류 작업 시에는 *아~ 또 깜빡했다. *고압 케이블 트레이 피팅류 작업 시에는 전산볼트 보호 튜브를 기억하자 *고압 덕트도 마찬가지이다 *갑자기 시작하는 것이라 적응이 잘 안된다. 그렇지만. 반드시 기억하고 하고 가야한다. 전산볼트 작업할 때 확인하고 설치하는 것이 좋다 *연부 전산볼트에 연부용 전산볼트 튜브를 끼우면 되는 작업이다. 간단한 작업인 데 , 작업하다 보면 깜박한다. *전산볼트에 전산볼트 튜브를 끼우는 이유는 고압 케이블을 포설할 때 전산볼트에 손상 당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보호 조치이다. *사이즈는 400mm로 잘라서 끼우면 되고 400보다 짧을 경우는 그 전산볼트 길이에 맞게 잘라서 끼우면 된다. *보양해야 할 구간은 피팅류 구간 전부 다 하고 피팅류와 연결된 스트레이트 첫번째 행거까지이다. *고압 케이.. 수직 버티칼 엘보 작업 *케이블 트레이 수직 버티칼 엘보 작업이다. 먼저 팀이 수직 버티칼 엘보 까지 걸어둔 상태다. 조인트로 연결하고 러그 달고 케이블 타이 잡고 명판 부착까지 진행할 계획이다.*수직 버티칼 엘보 out에 스트레이 트레이가 이미 연결되어져 있다.스트레이트 트레이와 수직버티칼 엘보 in을 연결해야 한다. *양 쪽 위쪽에 조인트를 걸고 살 짝 볼팅을 해 준다. *트레이와 트레이 면을 조절하여 맞추어야 한다. 우선 아래 위 조절을 한다. 행거로 조절을 한다. 행거의 너트를 잠그거나 풀어서 높낮이를 맞춘다. * 앞 뒤 조절이다. 앞이나 뒤로의 조절은 라쳇바를 걸고서 조절한다. *아래위 앞 뒤가 다 맞았으면 조인트에 산부샹크볼트 산부샹크너트를 넣고 조은다. 14mm복스알과 임팩으로 체결하거나 스패너,깔깔이로 체결한다...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 모선본딩 접지에는 아이마킹하지 않는다.정기품질교육 *9월의 정기 안전교육 중에 정기 품질 교육 내용을 정리하여 적는다. 금일은 전에 와는 다른 내용이 있다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에서 접지는 아이마킹하지 않는다. 요즘 트레이 작업 중에 모선본딩접지를 하고 있다. 접지 연접한다라고들 말한다. 95SQ모선 접지가 트레이 위를 따라 가고 35SQ 접지 케이브을 연접하고 반대편 끝단에는 35SQ 터미널을 찍고 녹색 발코 튜브를 넣은 후에 트레이 연결 조인트의 너트를 하나 풀어서 연결한다. 30M마다 분기하는 것으로 되어져 있지만 도면에 있는 위치에서 가까운 조인트에 연결한다. 도면에는 30M마다 분기되지는 않았다. 뭔가를 기준으로 한 지는 몰라도 도면에는 위치가 있다. 도면에 있는 위치대로 한다. 그리고는 반드시 아이마킹을 했다. 이것이 잘 못 되.. 이전 1 2 3 4 5 6 다음 목록 더보기